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와 여가 체험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를 분석하고, 그들이 진지한 여가 활동으로 참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239407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003
한국어
진지한여가 ; 스노보드 ; 현상학적연구 ; 여가체험 ; Serious leisure ; Snowboarding ; Phenomenology ; Leisure experience
335.5 판사항(4)
서울
vii, 95p. : 삽도 ; 26cm .
지도교수: 이철원
참고문헌: p. 81-8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와 여가 체험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를 분석하고, 그들이 진지한 여가 활동으로 참여하...
본 연구는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와 여가 체험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를 분석하고, 그들이 진지한 여가 활동으로 참여하게 될 때 느끼는 체험과 전문인이 되기까지의 심층적 과정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체험과 문화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현장에서 진술하는 내용을 바탕으로 '스노보드를 하게 된 동기'와 '스노보드를 하면서 경험하는 체험'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현상에 대한 의미 파악이 가능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연구틀로 연구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세평적 사례 선택 방법(reputational case selectional)과 유의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7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총 10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심층면접(개인면접, 단체면접), 내용분석(체험기술, 자기소개서, 반성일지, 문헌자료, 면접노트), 참여관찰(현장관찰일지, 비디오녹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처리되어 주제별 약호화, 의미범주화, 의미개념화의 3단계 분석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스노보드 참여자의 참여 동기는 시작동기, 참여지속동기, 일상화의 동기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났으며 이는 또다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첫째, 시작의 동기는 ①호기심, ②두려움, ③타인의 영향, ④스키장 방문으로 세분화되었다. 둘째, 참여지속의 동기는 ①재미와 흥미, ②학습기회, 학습 욕구, 한계 극복 욕구 등의 자기향상 욕구, ③차별성, ④기분전환으로 세분화되었다. 셋째, 일상화의 동기는 ①생활화, ②교류감으로 세분화되었다.
진지한 여가로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여가체험에 관한 결과는 크게 신체적 체험, 정서적 체험, 사회적 체험, 인지적 체험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체험 요인은 다시 여러 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구체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체험은 ①몸감, ②상쾌함, ③신체 만족감, ④활동감, ⑤힘겨움의 5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둘째, 정서적 체험은 ①자부심, ②경쟁심, ③성취욕, ④열정, ⑤희열감, ⑥성취감, ⑦기다림, ⑧두려움 극복의 8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셋째, 사회적 요인은 ①전이, ②공감대, ③반복된 단절, ④갈등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며 넷째, 인지적 요인은 ①변화, ②제약, ③투자, ④희생의 4가지 요인으로 구분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과 타인에 의한 권유로 스노보드를 시작하여 긍정적인 체험과 부정적인 체험을 동시에 경험한다. 스노보드를 통해서 상쾌함이나 신체 단련에 의한 신체상의 만족감, 스스로의 신체 능력에 대한 자부심, "아.. 내가 해냈구나.. 성공했다."하는 성공 경험에서 오는 성취욕, 열정, 성취감을 체험한다. 이러한 정서적 체험으로 인해 타인에게 스노보드를 전이시키고 그들끼리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긍정적인 사회적 체험을 한다. 또한 좋아하는 계절의 변화, 규칙적인 생활의 유지, 술자리 기회의 감소, 스타일의 변화 등의 개인적 변화를 체험하며, 이와 동시에 연구 참여자들은 작거나 큰 신체적 상해를 입고, 스노보드가 위험한 운동이라고 인식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연령, 체력에 대한 한계를 느낀다. 또한,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위험한 운동이라는 인식이 두려움으로 나타난다. 일상적(casual leisure) 여가와는 상대적인 의미를 가지는 진지한(serious) 여가 활동을 하는 연구 참여자들이 스노보드를 타는 시즌에 다른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갈등이 형성되고 상황적, 금전적, 입지적, 시간적인 제약을 체험한다.
이상과 같이 연구 참여자들은 긍정적인 체험을 하는 동시에 부정적인 체험을 하는데 이는 포기하거나 중단하는 계기를 형성하지 않고 오히려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행동 양식의 진지한 여가 체험을 형성하게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nowboarders' motivations and their leisure experiences. Specifically, an analysis of snowboarders' motivations, the developments of their serious participation level in snowboarding, and changes in their ex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nowboarders' motivations and their leisure experiences. Specifically, an analysis of snowboarders' motivations, the developments of their serious participation level in snowboarding, and changes in their experience as "professional" snowboarding were studied in depth.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fundamentally, it was necessary to comprehend their experiences and cultural phenomenon beforehand and approach them.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rvey snowboarders' "motivation" and their "snowboarding experienc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l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to understand snowboarders' experiences. To this end, 7 snowboarders were sampled randomly through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 process. Then, data were collected for 10 weeks through in-depth interviews (personal and group-wise) and analysis of contents (described experiences, self-introduction, reflective diaries, relevant literature, interview memos, etc.).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ree stages: theme-wise grouping, semantic categorization and semantic 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nowboarders' motivations can be divided into starting motivations, motivations for continued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for internalization, while being further sub-divided as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First, they were motivated to start snowboarding out of ①curiosity, ②fear, or ③peoples' influence, and ④incidental visits to ski resort. Second, they were motivated to continue snowboarding out of ①amusement and interest, or ②learning opportunities, learning desire, desire to overcome a limit, or desire for self-improvement, ③spontaneously or ④desire for recreation. Third, they were motivated to internalize snowboarding as their life style or for social exchanges.
Snowboarders' leisure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largely into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experiences. Each category could again be divided into several sub-categories.
First, the physical experiences could be further divided into ①bodily experience, ②pleasant experience, ③physical satisfaction, ④sense of activities, and ⑤toil. Second, the emotional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pride, ②competition, ③achievement, ④passion, ⑤pleasure, ⑥self-achievement, ⑦sense of waiting, and ⑧overcoming of fear. Third, the social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transfer, ②consensus, ③repeated separation and ④conflict. Fourth, the cognitive experiences could be divided into ①change, ②restriction, ③investment and ④sacrifice.
Most participants started snowboarding out of curiosity or due to others' recommendation, and then,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e positive experiences were physical training and satisfaction thereof, pride in physical capacity, self-achievement of "I have done it, successfully", passion, a sense of achievement, and so on. Owing to such emotional experiences, they tended to recommend snowboarding to others and thereby formed a community of consensus resulting in a positive social experience. They were also able to experienced seasonal changes, maintain a regular life style, while reduce opportunities for drinking and experience trivial to a general change in lifestyl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were subject to trifle serious injuries as a result, they perceived that snowboarding was risky, and felt that their physical strength had weakened as they got older. Moreover, they feared that snowboarding was a dangerous sport. In addition, those who had been engaged in snowboarding seriously tended to be separated from society during snowboarding season. As a result, they experienced a sense of conflict as well as situational, financial, social and temporal limits.
All in all, althought the participant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snowboarding activities, most eventually invested more in snowboarding in order to experience their own unique life style rather than give up or stop snowboard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