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제 강점 후반기 재조선 일본인들의 근대도예(近代陶藝) 성립과정과 특징적 양상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제 강점 후반기 도자공예계의 변모가 창작 장르의 기반을 구축함과 동시에 그 연장선상에서 도예가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초점 맞춰졌다. 이 과정을 통해서 도자예술은 다방면에서 근대성을 표출할 수 있는 여건과 활동들을 보장받았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근대도예의 성립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근대도예 성립과정은 일제 강점 중반 이후에 표출된 다양한 요업 이력들이 함축되어 나타난 결과로서 이해되기보다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의 일환으로서 성장한 바가 컸기 때문에, 다분히 정치적 함의가 내포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 함의로 인해 드러난 창의적 개발의 제한과 전문교육의 부재는 이 시기 도자예술계 성장에 직접적인 한계였다. 또한 근대도예 성립의 중심에서 선두지휘한 재조선 일본인 관료들은 소위 엘리트계층 집단이었으며, 이들은 조선의 도자문화에 대한 진부한 향토성을 강조하는 반면 일본적 취향을 적극 이입하여 근대화로의 성장을 근본적으로 저해했다. 특히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입증된 근대도예의 흐름은 당대 문화통치의 전개 방향과 이로 인해 발생된 폐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일제 강점 후반기 도자공예계의 변모가 창작 장르의 기반을 구축함과 동시에 그 연장선상에서 도예가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초점 맞춰졌다. 이 과정을 통해서 ...

      본 논문은 일제 강점 후반기 도자공예계의 변모가 창작 장르의 기반을 구축함과 동시에 그 연장선상에서 도예가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초점 맞춰졌다. 이 과정을 통해서 도자예술은 다방면에서 근대성을 표출할 수 있는 여건과 활동들을 보장받았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근대도예의 성립을 의미했다. 그럼에도 근대도예 성립과정은 일제 강점 중반 이후에 표출된 다양한 요업 이력들이 함축되어 나타난 결과로서 이해되기보다 조선총독부의 문화정치의 일환으로서 성장한 바가 컸기 때문에, 다분히 정치적 함의가 내포된 것으로 평가된다. 그 함의로 인해 드러난 창의적 개발의 제한과 전문교육의 부재는 이 시기 도자예술계 성장에 직접적인 한계였다. 또한 근대도예 성립의 중심에서 선두지휘한 재조선 일본인 관료들은 소위 엘리트계층 집단이었으며, 이들은 조선의 도자문화에 대한 진부한 향토성을 강조하는 반면 일본적 취향을 적극 이입하여 근대화로의 성장을 근본적으로 저해했다. 특히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입증된 근대도예의 흐름은 당대 문화통치의 전개 방향과 이로 인해 발생된 폐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a new ceramic craft industry in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e genre, an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a ceramic artist along the lines of that exten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conditions and activities for the expression of modernity in various fields of ceramic art were guaranteed, which ultimately meant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eramics. Nevertheles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dern ceramics is evaluated as a political implication that has grown and maintained as a part of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ather than being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implied history of active ceramics since the middle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limitations of creative development and the absence of professional education due to its implications were the direct limitations of the ceramic art world at this time. In addition,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 who took the lead at the center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eramics were a so-called elite class group. And While emphasizing the banal locality of Joseon's ceramic culture, they actively introduced Japanese tastes, impeding the growth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the flow of modern ceramics, proven through the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can be view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clearly shows the direction of cultural rule at the time and the evils that have arisen from it.
      번역하기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a new ceramic craft industry in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e genre, an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a cerami...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a new ceramic craft industry in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creative genre, an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a ceramic artist along the lines of that extension. Through this process, the conditions and activities for the expression of modernity in various fields of ceramic art were guaranteed, which ultimately meant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eramics. Nevertheles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dern ceramics is evaluated as a political implication that has grown and maintained as a part of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ather than being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implied history of active ceramics since the middle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limitations of creative development and the absence of professional education due to its implications were the direct limitations of the ceramic art world at this time. In addition, the Japanese Colonial Settler who took the lead at the center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ceramics were a so-called elite class group. And While emphasizing the banal locality of Joseon's ceramic culture, they actively introduced Japanese tastes, impeding the growth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the flow of modern ceramics, proven through the Joseon Art Exhibition(朝鮮美術展覽會), can be view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clearly shows the direction of cultural rule at the time and the evils that have arisen from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일제 강점 후반기 도자공예게의 변화와 근대성 표출
      • 3. 재조선 일본인들의 신(新)도자문화 구현과 근대도예의 성립과정
      • 4.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근대도예의 시각과 특징
      • 5. 맺음말
      • 1. 서론
      • 2. 일제 강점 후반기 도자공예게의 변화와 근대성 표출
      • 3. 재조선 일본인들의 신(新)도자문화 구현과 근대도예의 성립과정
      • 4.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근대도예의 시각과 특징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