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섭외노동분쟁의 법적문제에 관한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4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사회의 불안정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정...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점은 급속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사회의 불안정을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정부는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관련 법률을 제정해왔지만, 도리어 이는 노동분쟁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의 노동분쟁 중에서도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섭외노동분쟁이다. 세계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노동력의 국경 간 이동 또한 급증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도 예외가 아니다. 노동력의 국경 간 이동은 2개국 이상이 연루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국 관리규정과 고용 및 근로관계법규 등에서 비롯된 다양한 법적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논문은 중국 섭외노동분쟁의 법적 쟁점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섭외노동분쟁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섭외노동분쟁은 분쟁당사자인 노동자와 고용단위의 일방 혹은 쌍방이 외국인 혹은 외국기업이거나, 이들 간의 노동행위의 제공지역 혹은 노동계약의 체결지가 외국인 경우 발생한 노동분쟁을 뜻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섭외노동분쟁의 당사자가 외국인인 경우와, 중국인인 경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섭외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관할권과 준거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관할권 해석에서 중요한 ‘경내의 고용단위’의 범위에 대해서는 아직도 이견이 존재하고 있다. 중국은 섭외노동분쟁에서도 중재전치주의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쟁의조정중재법’의 적용범위에 있다면 반드시 노동중재를 거쳐야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사안에 따라 중재 또는 소송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관련 법률에 어떤 변화가 발생할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중국은 일반적인 섭외노동분쟁사건에서는 중국의 법률을 준거법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섭외노동계약에 관련된 분쟁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하에 외국의 법률을 준거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당사자자치를 허용하고 있다. 강행규정에 있어서는 국제적 관습을 따르고 있으나, 강행규정과 당사자자치원칙의 적용에 여전히 논란이 존재하고, 일부 강행규정은 외국인 피고용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중국의 노동관계 법률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has the largest labor force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new strains have emerged in China’s labor disputes that raise concerns about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mode. The number of foreign-related disputes is also increasing. Responding...

      China has the largest labor force in the world. In recent years, new strains have emerged in China’s labor disputes that raise concerns about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mode. The number of foreign-related disputes is also increasing. Responding to the upsurge in disputes in recent years, the Chinese government has issued new regulations to establish an efficient dispute resolution system.
      With this background, the author wants to focus on the legal issues on foreign-related labor disputes in China. Jurisdiction and governing laws concerning foreign-related labor disputes are important issues in protecting labor’s interest.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in the decision about governing law of foreign-related labor dispute. In conclusion, it seems unclear how well the dispute resolution system may help to improve foreign-related labor relations, but China should continue to minimize the potential for the occurrence of dispu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중국 섭외노동분쟁의 개념과 유형
      • III. 중국 섭외노동분쟁에 관한 법적 쟁점
      • IV. 결론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중국 섭외노동분쟁의 개념과 유형
      • III. 중국 섭외노동분쟁에 관한 법적 쟁점
      • I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許軍珂, "論當事人意思自治原則在涉外勞動合同中的適用空間" (1) : 2009

      2 孫建, "論我國涉外勞動爭議的法律適用問題" (83) : 2005

      3 兪飛, "勞動爭議解決" 廈門大學出版社 2008

      4 하현수, "중국의 노동쟁의 현황 및 처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중재학회 20 (20): 93-120, 2010

      5 장윤미, "중국 노동쟁의 처리의 특징과 갈등의 제도화 모색" 동아연구소 (46) : 165-192, 2004

      6 박진철, "중국 노동분쟁해결제도" 부산대학교 47 (47): 2006

      7 김영진, "중국 노동관계 법제화의 정치경제학적 연구 - 노동쟁의 처리절차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87-118, 2008

      8 김지형, "국제적 근로계약관계의 준거법" 한국법학원 (68) : 2002

      9 최홍엽, "국제근로계약의 준거법과 해외투자기업 산업연수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9) : 265-298, 2005

      10 萬靜, "涉外勞動關係與勞動合同法的碰撞" (15) : 2008

      1 許軍珂, "論當事人意思自治原則在涉外勞動合同中的適用空間" (1) : 2009

      2 孫建, "論我國涉外勞動爭議的法律適用問題" (83) : 2005

      3 兪飛, "勞動爭議解決" 廈門大學出版社 2008

      4 하현수, "중국의 노동쟁의 현황 및 처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중재학회 20 (20): 93-120, 2010

      5 장윤미, "중국 노동쟁의 처리의 특징과 갈등의 제도화 모색" 동아연구소 (46) : 165-192, 2004

      6 박진철, "중국 노동분쟁해결제도" 부산대학교 47 (47): 2006

      7 김영진, "중국 노동관계 법제화의 정치경제학적 연구 - 노동쟁의 처리절차를 중심으로" 아태지역연구센터 31 (31): 87-118, 2008

      8 김지형, "국제적 근로계약관계의 준거법" 한국법학원 (68) : 2002

      9 최홍엽, "국제근로계약의 준거법과 해외투자기업 산업연수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9) : 265-298, 2005

      10 萬靜, "涉外勞動關係與勞動合同法的碰撞" (15) : 2008

      11 董勤, "涉外勞動爭議中勞動法適用問題" (3) : 2005

      12 蘇如飛, "涉外勞動合同的法律適用問題硏究" (74) : 2009

      13 於賢淑, "我國涉外勞動爭議若干問題的思考" (3) : 2006

      14 呂瑞, "刍议涉外勞動爭議的法律適用" (19) : 2009

      15 김용길, "中國 勞動爭議의 仲裁에 관한 考察" 한국중재학회 19 (19): 127-153, 2009

      16 周敏健, "上海首例涉外勞動糾紛案勝訴的啓示" (10) : 2002

      17 Yun Zhao, "China's New Labor Dispute Resolution Law: a Catalyst for theEstablishment of Harmonious Labor Relationship?" 30 : 4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12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