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의 범위와 한계 = The Proper Range of Freedom of Speech in a Multicultura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6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speech, hate speech, and freedom of religion through the Danish cartoon affair and Charlie Hebdo terrorist attack.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proper range of freedom of speech beyond a simple dichotomy between freedom of speech and blasphem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forementioned events and their aftermaths show that freedom of speech can be limited by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 and that the guideline of such regulations would be a given identity like race, ethnicity, gender and region, which one could not choose by oneself. Religion in modern western tradition, on the other hand, belongs to a non essential factor of identity that one can choose and convert anytime. While it can be the target of criticism for this reason, in this case one should make a distinction between criticism against religion itself and criticism against people who follow that religion. While the former can be protected under the freedom of speech, the latter can not be protected and becomes an object of hate speech regulation. Although legal regulation can bring about some effects through its symbolic message, the law itself functions to prohibit certain values or action as well as to produce prohibited value or ac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deliberation and subversion reasoning than on regulation through law. The conditions to participate in deliberation such as mutual respect, rational dialogue, and political rights between social minority and majority, natives and newcomers will both enhance the political legitimacy of decision making procedure in various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rough such deliberation, we can reach a consensus of how freedom of speech as an abstract principle would be interpreted and implemented given the local context in a more concrete way.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speech, hate speech, and freedom of religion through the Danish cartoon affair and Charlie Hebdo terrorist attack.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proper range of freedom of speech beyond a simpl...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speech, hate speech, and freedom of religion through the Danish cartoon affair and Charlie Hebdo terrorist attack.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proper range of freedom of speech beyond a simple dichotomy between freedom of speech and blasphem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forementioned events and their aftermaths show that freedom of speech can be limited by the regulation of hate speech, and that the guideline of such regulations would be a given identity like race, ethnicity, gender and region, which one could not choose by oneself. Religion in modern western tradition, on the other hand, belongs to a non essential factor of identity that one can choose and convert anytime. While it can be the target of criticism for this reason, in this case one should make a distinction between criticism against religion itself and criticism against people who follow that religion. While the former can be protected under the freedom of speech, the latter can not be protected and becomes an object of hate speech regulation. Although legal regulation can bring about some effects through its symbolic message, the law itself functions to prohibit certain values or action as well as to produce prohibited value or action at the same time. Therefore we should focus more on deliberation and subversion reasoning than on regulation through law. The conditions to participate in deliberation such as mutual respect, rational dialogue, and political rights between social minority and majority, natives and newcomers will both enhance the political legitimacy of decision making procedure in various democratic politi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rough such deliberation, we can reach a consensus of how freedom of speech as an abstract principle would be interpreted and implemented given the local context in a more concrete w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덴마크 만평 사건과 샤를리 엡도 사건을 통해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에서 대표적인 도전 가운데 하나인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 그리고 종교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를 정치이론 차원에서 추론하고, 표현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가 혐오표현의 범주를 피해서 양립할 수 있는 가능 성을 심의다문화주의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두 사건에서 나타난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규제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표현의 자유가 혐오표현의 규제에 의해 제약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자 신이 선택할 수 없었던 주어진 정체성에 근거한 혐오표현이 우선 해당되고 종교 역시 선택 가능한 후천적 정체성 요소에 해당되어 표현의 자유가 보장하는 비판의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종교자체에 대한 비판과 그 종교를 따르는 개인 및 집단에 대한 혐오표현은 구 분되어야 한다. 전자는 표현의 자유의 권리가 보장되지만 후자는 혐오표현으로 규제의 대상이 된 다. 그렇지만 법적 규제는 그 상징성에 의해 영향력을 발휘하더라도 특정 가치의 금지와 생산을 동 시에 진행하는 기능 때문에 오히려 심의와 전복적 사유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심의에 참여하는 윤리적 조건들, 예를 들어 사회적 소수와 다수, 원주민과 이민자가 상호존중과 합리적 대화, 정치적 권리의 원칙을 지키면서 이뤄낸 정책결정들은 민주적 정당성을 증진시키며 이 심의의 과정에서 우 리는 추상적인 원칙으로서 표현의 자유가 구체적인 지역의 맥락에서 해석되고 실천되는 방식에 합 의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덴마크 만평 사건과 샤를리 엡도 사건을 통해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에서 대표적인 도전 가운데 하나인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 그리고 종교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를 정...

      이 글은 덴마크 만평 사건과 샤를리 엡도 사건을 통해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에서 대표적인 도전 가운데 하나인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 그리고 종교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관계를 정치이론 차원에서 추론하고, 표현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가 혐오표현의 범주를 피해서 양립할 수 있는 가능 성을 심의다문화주의 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두 사건에서 나타난 표현의 자유와 혐오표현의 규제 여부를 둘러싼 논쟁은 표현의 자유가 혐오표현의 규제에 의해 제약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자 신이 선택할 수 없었던 주어진 정체성에 근거한 혐오표현이 우선 해당되고 종교 역시 선택 가능한 후천적 정체성 요소에 해당되어 표현의 자유가 보장하는 비판의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종교자체에 대한 비판과 그 종교를 따르는 개인 및 집단에 대한 혐오표현은 구 분되어야 한다. 전자는 표현의 자유의 권리가 보장되지만 후자는 혐오표현으로 규제의 대상이 된 다. 그렇지만 법적 규제는 그 상징성에 의해 영향력을 발휘하더라도 특정 가치의 금지와 생산을 동 시에 진행하는 기능 때문에 오히려 심의와 전복적 사유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심의에 참여하는 윤리적 조건들, 예를 들어 사회적 소수와 다수, 원주민과 이민자가 상호존중과 합리적 대화, 정치적 권리의 원칙을 지키면서 이뤄낸 정책결정들은 민주적 정당성을 증진시키며 이 심의의 과정에서 우 리는 추상적인 원칙으로서 표현의 자유가 구체적인 지역의 맥락에서 해석되고 실천되는 방식에 합 의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원, "혐오표현의 제재 입법에 관한 소고 - 주요국 입법례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7 (27): 103-136, 2016

      2 홍성수, "혐오표현의 규제: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보호를 위한 규제대안의 모색"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287-336, 2015

      3 국가인권위원회, "혐오표현 실태 조사 및 규제방안 연구" 2016

      4 조규범, "혐오표현 규제의 국제적 동향과 입법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5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2015

      6 김남국, "표현의 자유와 혐오발언의 처벌"

      7 김남국, "영국과 프랑스에서 정치와 종교: 루시디 사건과 헤드스카프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341-362, 2004

      8 김남국, "심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 39 (39): 87-108, 2005

      9 김남국, "샤를리 에브도와 프랑스 공화주의 전통"

      10 신지원, "반인종차별 정책에 관한 연구: 미국, 캐나다, 호주 사례 연구" IOM 이민정책연구원

      1 박지원, "혐오표현의 제재 입법에 관한 소고 - 주요국 입법례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27 (27): 103-136, 2016

      2 홍성수, "혐오표현의 규제: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보호를 위한 규제대안의 모색" 법과사회이론학회 (50) : 287-336, 2015

      3 국가인권위원회, "혐오표현 실태 조사 및 규제방안 연구" 2016

      4 조규범, "혐오표현 규제의 국제적 동향과 입법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7

      5 마사 너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2015

      6 김남국, "표현의 자유와 혐오발언의 처벌"

      7 김남국, "영국과 프랑스에서 정치와 종교: 루시디 사건과 헤드스카프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341-362, 2004

      8 김남국, "심의 다문화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적 생존" 한국정치학회 39 (39): 87-108, 2005

      9 김남국, "샤를리 에브도와 프랑스 공화주의 전통"

      10 신지원, "반인종차별 정책에 관한 연구: 미국, 캐나다, 호주 사례 연구" IOM 이민정책연구원

      11 장주영, "미국수정헌법 제1조와 표현의 자유 판결" 육법사 2015

      12 김남국,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 세계 인권 선언에서 문화다양성 협약까지" 한국국제정치학회 50 (50): 261-284, 2010

      13 김비환,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비판" 30 (30): 5-23, 1996

      14 김문현, "기본권 영역별 위헌심사의 기준과 방법" 헌법재판소 2008

      15 "Yates v. United States 354 U.S. 298"

      16 Todd, Emanuel, "Who is Charlie? Xenophobia and the New Middle Class" Polity Press 2015

      17 "Virginia v. Black, 538 U.S. 343"

      18 Tate, John Williams, "Toleration, Skepticism, and Blasphemy: John Locke, Jonas Proast, and Charlie Hebdo" 60 (60): 664-675, 2016

      19 Rostboll, Christian, "The Use and Abuse of Universal Values in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2 (2): 401-422, 2010

      20 Morsink, Johanne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9

      21 Modood, Tariq, "The Liberal Dilemma: Integration or Vilification?" 44 (44): 4-7, 2006

      22 Waldron, Jeremy, "The Harm in Hate Speech"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23 Kass, Leon, "The Ethics of Human Cloning" AEI Press 1998

      24 Devlin, Patrick, "The Enforcement of Morals"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25 Hansen, Randall, "The Danish Cartoon Controversy: A Defence of Liberal Freedom" 44 (44): 7-16, 2006

      26 Parekh, Bhikhu, "The Content and Context of Hate Spe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7 Dworkin, Ronald, "The Content and Context of Hate Spe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8 Waldron, Jeremy, "The Content and Context of Hate Spe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29 Rosenfeld, Michel, "The Content and Context of Hate Spe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0 Kahan, Dan M., "The Anatomy of Disgust in Criminal Law" 96 : 1621-1657, 1998

      31 Pollitt, Katha, "THe Courage of Charlie Hebdo"

      32 "Schenk v. United States, 249 U.S. 47"

      33 Klausen, J, "Rotten judgment in the state of Denmark"

      34 Parekh, Bhikhu, "Rethinking Multicultur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35 Bleich, Erik, "Religion, violence and the state in Western Europe" 2006

      36 "R.A.V. v. City of St. Paul, 505 U.S. 377"

      37 The Telegraph, "Prophet Mohammed Cartoons Controversy: Timeline"

      38 Rwals, John,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1993

      39 Laegaard, Sune, "Normative Interpretations of Diversity" 9 (9): 314-333, 2009

      40 "NSPA v. Skokie 432 U.S. 43"

      41 Modood, Tariq, "Multicultural Politics: Muslims, Ethnicity and Racism in Britain" Minnesota and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5

      42 Kim, Nam-Kook, "Multicultural Challenges and Sustainable Democracy in Europe and East Asia" Palgrave 2014

      43 O’Leary, Brendan, "Liberalism, Multiculturalism, Danish Cartoons, Islamist Fraud, and the Rights of the Ungodly" 44 (44): 22-33, 2006

      44 Hietalahti, Jarno, "Insults, Humor, and Freedom of Speech" 27 (27): 245-255, 2016

      45 Klug, Brian, "In the Heart of the Moment: Bringing ‘Je suis Charlie’ into Focus" 27 (27): 223-232, 2016

      46 Fourest, Caroline, "In Praise of Blasphemy: Why Charlie Hebdo is Not Islamophobic" Grasset 2015

      47 Butler, Judith, "Gender Trouble" Routledge 1990

      48 Kiwan, Nadia, "Freedom of Thought in the Aftermath of the Charlie Hebdo Attachs" 27 (27): 233-244, 2016

      49 Carens, Joseph, "Free Speech and Democratic Norms in the Danish Cartoons Controversy" 44 (44): 33-42, 2006

      50 Cottee, Simon, "Flemming Rose: The Reluctant Fundamentalist"

      51 Malik, Maleiha, "Extreme Speech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2 Butler, Judith, "Excitable Speech: 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Routledge 1997

      53 Veninga, Jennifer Elisa, "Echoes of the Danish Cartoon Crisis 10 Years Later" 27 (27): 25-34, 2016

      54 "Dennis v. United States 341 U.S. 494"

      55 Kim, Nam-Kook, "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New Labour’s Britain" 15 (15): 125-144, 2011

      56 Kim, Nam-Kook, "Deliberative Multiculturalism in Britain" Peter Lang 2011

      57 The New York Times, "Danish Cartoon Controversy"

      58 Barry, Brian, "Culture and Equ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9 Modood, Tariq, "British Muslim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ism" 24 (24): 2007

      60 "Brandenburg v. Ohio 395 U.S. 444"

      61 Butler, Judith, "Bodies that Matter" Routledge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7 0.6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