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역량기반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설계 방식 탐색 - 캐나다 BC주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비교 중심으로 - = Exploring the Way of Designing the Content System for the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Music Curriculum in British Columbia, Canad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25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캐나다 BC주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 교 분석을 통해, 역량기반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설계 방식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나라의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를 음악과 교과역량 및 핵심역량과의 관계, 내용체계 구조, 내용체계 제시방식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용체계 설계 방식에 대 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음악 교과 본질에 기반한 음악과 교과역량 설정 및 교과 역량 중심의 핵심역량 연계, 교과역량 중심의 내용체계 구조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자율 성과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내용체계 설계, 내용체계 각 구성요소의 위계 제시, 학 습의 과정적⋅절차적 측면에 대한 내용 제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캐나다 BC주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 교 분석을 통해, 역량기반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설계 방식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캐나다 BC주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 교 분석을 통해, 역량기반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설계 방식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나라의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를 음악과 교과역량 및 핵심역량과의 관계, 내용체계 구조, 내용체계 제시방식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용체계 설계 방식에 대 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음악 교과 본질에 기반한 음악과 교과역량 설정 및 교과 역량 중심의 핵심역량 연계, 교과역량 중심의 내용체계 구조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자율 성과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내용체계 설계, 내용체계 각 구성요소의 위계 제시, 학 습의 과정적⋅절차적 측면에 대한 내용 제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종모,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46 (46): 77-103, 2017

      2 김래영,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핀란드와 캐나다의 교육과정 개혁 사례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61-189, 2017

      3 송주현, "학교 음악교육의 음악 교과 역량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117-146, 2015

      4 박지애,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5, 2019

      5 박지현, "음악적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음악교과 핵심 역량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23-731, 2017

      6 이경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비교 –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61-84, 2019

      7 이경언,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핵심역량 논의의 방향"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1-15, 2011

      8 김수민, "우리나라와 캐나다 BC(British Columbia)주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24 (24): 57-71, 2020

      9 권덕원, "역량 중심의 국악교육 방안 탐색" 한국국악교육학회 42 (42): 7-33, 2016

      10 민경훈, "역량 기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논의"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43-161, 2020

      1 양종모, "핵심역량과 음악 교과 역량의 국제비교: 한국, 일본, 싱가포르, 영국, 미국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46 (46): 77-103, 2017

      2 김래영,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핀란드와 캐나다의 교육과정 개혁 사례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61-189, 2017

      3 송주현, "학교 음악교육의 음악 교과 역량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117-146, 2015

      4 박지애,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25, 2019

      5 박지현, "음악적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음악교과 핵심 역량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723-731, 2017

      6 이경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제시 방식에 대한 국제 비교 – 한국, 프랑스, 핀란드, 호주를 중심으로 -"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61-84, 2019

      7 이경언,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핵심역량 논의의 방향"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3) : 1-15, 2011

      8 김수민, "우리나라와 캐나다 BC(British Columbia)주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교과교육연구소 24 (24): 57-71, 2020

      9 권덕원, "역량 중심의 국악교육 방안 탐색" 한국국악교육학회 42 (42): 7-33, 2016

      10 민경훈, "역량 기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논의"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43-161, 2020

      11 권점례,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에 대한 국제 비교: 프랑스, 호주,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34 (34): 135-160, 2020

      12 류지영,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의 설정과 적용 -캐나다 BC주 시각예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62 : 123-154, 2020

      13 서영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 활용 방안 탐색 — 캐나다 BC주 자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 54 (54): 71-106, 2019

      14 최수진, "국내 고등학교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행 모습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69-196, 2018

      15 소경희, "교육개혁 실천에 있어서 교사들의 ‘의미-만들기(sense-making)’ 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131-155, 2020

      16 Ministry of Education, "music curriculum. No. 2015-74"

      17 Bergqvist, E., "The role of the formal written curriculum in standards-based reform" 49 (49): 149-168, 2017

      18 So, K. H., "Th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curriculum to foster future-oriented competencies"

      19 Ministry of Education,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No. 2015-80"

      20 Kwon, J. 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ubject curriculum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cused on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mathematics,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subjec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21 OECD, "Concept note: Knowledge for 2030.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A series of concept notes" OECD 71-82, 2019

      22 B. C. Ministry of Education, "Canada BC’s curriculum"

      23 Bae, J. G., "A study o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ubject curriculum (Ⅱ): Monitoring and its results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9

      24 Song, J. H., "A study on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design pla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25 Choi, S. J., "A study on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alyzing validity of OECD competencies framework and exploring practic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South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7

      26 김지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반영된 음악 교과 역량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33-51, 2019

      27 박지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도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161-180, 2019

      28 정영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11-237, 2019

      29 정혜승,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29-50, 2016

      30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 양상과 실천 요인에 관한 교육과정 선도교원의 의견 분석 및 논의" 안암교육학회 23 (23): 5-33, 2017

      31 임유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77-302, 2016

      32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33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34 이광우,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구성의 반성적 고찰-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97-622, 2017

      35 이상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참여 경험을 통해 살펴본 교과역량 설계의 실태 분석" 한국교육학회 57 (57): 287-316, 2019

      36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curriculum general introduction english version development study" Ministry of Education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7-09-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Music Educators Society ->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3 1.00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