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본주의적 u-Healthcare 서비스 도입을 위한 사례연구: K 보건소의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u􀀐Healthcare Services from a Humanistic Convergence Perspective : Focusing on a Pilot Project of K Public Health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77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u-Health는 개인용 생체정보 측정 장치나 유무선 통신망 인프라를 사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질병의 예방, 상태파악, 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 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K 보건소의 u-Health 기반의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u-Healthcare 서비스에 대한 사례연구로 이용자들이 서비스에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 이용자와 제공자간 소통은 적합한지, 아울러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개인적 관심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자는 공감을 형성하고 있는지 등의 인본주의적 관점에 서의 접근이다.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서비스의 질, 서비스에 대한 가치부여, 서비스 제공자와의 의사소통 및 공감형성,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를 살펴보았으며, 자료는 편의추출로 수집하였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재이용의도와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외의 변수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건소의 지역사회 기반 대사증후군 관리 u-Healthcare 서비스가 소득이 적은 대상자들에게 공공보건의료서비스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과 의사소통 및 공감형성이 다른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u-Healthcare 서비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개인적 관심에 공감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용자와 의료진간의 충분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인적, 시스템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번역하기

      u-Health는 개인용 생체정보 측정 장치나 유무선 통신망 인프라를 사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질병의 예방, 상태파악, 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 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

      u-Health는 개인용 생체정보 측정 장치나 유무선 통신망 인프라를 사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제약 없이 질병의 예방, 상태파악, 치료, 예후, 건강 및 생활 관리의 개인 맞춤형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K 보건소의 u-Health 기반의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u-Healthcare 서비스에 대한 사례연구로 이용자들이 서비스에 어떠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 이용자와 제공자간 소통은 적합한지, 아울러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개인적 관심에 대하여 서비스 제공자는 공감을 형성하고 있는지 등의 인본주의적 관점에 서의 접근이다.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서비스의 질, 서비스에 대한 가치부여, 서비스 제공자와의 의사소통 및 공감형성, 서비스 만족도, 재이용의도를 살펴보았으며, 자료는 편의추출로 수집하였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재이용의도와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외의 변수들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건소의 지역사회 기반 대사증후군 관리 u-Healthcare 서비스가 소득이 적은 대상자들에게 공공보건의료서비스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과 의사소통 및 공감형성이 다른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u-Healthcare 서비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개인적 관심에 공감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용자와 의료진간의 충분한 의사소통과 피드백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해 인적, 시스템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우,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223-230, 2016

      2 홍경진,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공공기관 건강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53-61, 2012

      3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한국비교문학회 (72) : 5-34, 2017

      4 구자준, "인간중심 디자인의 요소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287-300, 2017

      5 박민진, "유헬스케어(u-Health Care) 도입전후 방문건강관리 건강지표의 관찰" 한국생활환경학회 15 (15): 42-50, 2008

      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4

      7 지식경제부, "신사업창출전략" 지식경제부 2010

      8 최영남,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41-554, 2015

      9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사용자 중심 U헬스케어디자인 연구" 인제대학교 출판부 2014

      10 김수민, "기술수용 및 이용에 관한 통합 이론을 활용한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79-388, 2013

      1 유승우, "헬스케어 서비스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223-230, 2016

      2 홍경진, "헬스 리터러시 측정을 위한 공공기관 건강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53-61, 2012

      3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한국비교문학회 (72) : 5-34, 2017

      4 구자준, "인간중심 디자인의 요소가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적합성, 실현가능성, 지속성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5 (15): 287-300, 2017

      5 박민진, "유헬스케어(u-Health Care) 도입전후 방문건강관리 건강지표의 관찰" 한국생활환경학회 15 (15): 42-50, 2008

      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유헬스 서비스 참조모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4

      7 지식경제부, "신사업창출전략" 지식경제부 2010

      8 최영남,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41-554, 2015

      9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사용자 중심 U헬스케어디자인 연구" 인제대학교 출판부 2014

      10 김수민, "기술수용 및 이용에 관한 통합 이론을 활용한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79-388, 2013

      1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2010-1st year)" 질병관리본부 2010

      12 이재국, "공공부문 u-Health 서비스 효과성 분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6 (36): 123-136, 2011

      13 양영배,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한 유헬스 시스템의 행위 의도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9 (19): 747-755, 2015

      14 송태민, "u-Health 서비스 효과분석-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를 중심으로" 79 : 1-8, 2011

      15 정진욱, "U-health system 활용이 남녀노인의 대사증후군 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553-560, 2013

      16 백진경, "Selected Issues in Global Health Communications" IntechOpen 28-39, 2018

      17 연명흠, "CADY 웹사이트 건강정보의 디자인 개선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291-300, 2013

      18 Sunghee H Tak, "4차 산업혁명시대 노인 간호" 한국노인간호학회 160-165, 2018

      19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1-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ence Humanities ->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