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를 대상으로 부부의 무급 노동 분담 정도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석을 위해 사회적 역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541545
서울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22.7
2022
한국어
306 판사항(22)
서울
(The)Effect of division of unpaid work in dual-earner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on female's depressive symptomatology : focusing on social-role theory
iv, 61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손은정
참고문헌: p. 51-59
I804:11019-2000006458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를 대상으로 부부의 무급 노동 분담 정도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석을 위해 사회적 역할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를 대상으로 부부의 무급 노동 분담 정도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석을 위해 사회적 역할 이론(Social-Role Theory)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 가족 패널(KLoWF)조사 7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종 283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여성의 우울 지수이며 CES-D 10으로 측정되었다. 주요 독립변수는 맞벌이 가구 내 전체 무급 노동 시간에서 배우자가 기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배우자 상대적 가사 분담률’및 ‘배우자 상대적 돌봄 분담률’과 배우자와의 분담에 대한 여성의 주관적 평가를 나타내는 ‘배우자의 가사 분담 만족도’ 및 ‘배우자의 돌봄 분담 만족도’이다. 분석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촉진 요인, 사회적 역할 요인 중 근로 환경 요인을 통제한 후 무급 노동 분담 요인이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급 노동 분담 요인에 해당하는 배우자의 돌봄 분담 만족도가 높을수록 여성의 우울이 감소하였다. 둘째, 통제 변수 중 미취학 자녀를 돌보는 맞벌이 여성 주변에 자녀 돌봄을 지원해주는 사람이 존재할 때
여성의 우울이 감소하였다. 셋째, 무급 노동 분담 요인에 해당하는 배우자의 상대적 가사 및 돌봄 분담률과 배우자의 가사 분담 만족도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 내 여성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해 본 연구가 가지는 사회복지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가구 남성의 육아 참여 확대 및 여성의 돌봄 분담 만족감을 향상하기 위해 남성 육아 참여자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맞벌이 가구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의 조기 개입과 예방을 위한 심리적 지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정책적 함의로는 남성의 적극적인 육아 분담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유연근무제 확대 적용과 남녀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보완, 마지막으로 맞벌이 가구 내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한 돌봄 서비스 정책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