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병원종사자들의 VDT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위한 기초자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35562
논산 :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6
2006
한국어
512.876 판사항(4)
충청남도
88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1-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병원종사자들의 VDT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위한 기초자료...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병원종사자들의 VDT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04년 8월 10일부터 2004년 8월 31일까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 중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문재동, 이민철과 김병우(1991)의 VDT증후군 자각증상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박인숙(1995)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1을 이용하여 Cronbach's Alpha,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지각한 VDT증후군 증상은 최대점수 4점 중 평균 1.57(±0.70)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를 나타냈고, 이 중 근골격계 증상이 2.08(±0.81)점, 안관련 증상은 1.56(±0.80)점, 전신적 증상은 1.50(±0.82)점, 심리적 증상은 1.36(±0.76)점, 피부관련 증상은 1.27(±0.87)점으로 측정되어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관련 증상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최대점수 4점 중 평균 2.53(±2.08)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항목별로는 위생적 생활이 3.10(±0.48)점, 조화로운 관계는 2.86(±0.50)점, 자아실현은 2.66(±0.55)점, 식이조절은 2.66(±0.55)점, 정서적지지는 2.59(±0.57)점, 규칙적 식사는 2.58(±0.90)점, 자아조절은 2.29(±0.59)점. 휴식 및 수면은 2.29(±0.57)점, 운동 및 활동은 2.25(±0.57)점, 전문적인 건강관리는 1.91(±0.65)점으로 측정되어 위생적 생활을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었고,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가장 낮게 수행하고 있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의 차이는 성별, 연령,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직업에 대한 만족도,수입에 대한 만족도, 직위, 컴퓨터 이용경력, 1일 VDT 사용시간, 휴식간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수행하는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연령, 최종학력, 정기적 건강검진 유무,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직업에 대한 만족도, 수입에 대한 만족도, 직위, 컴퓨터 이용경력, 1일 VDT 사용시간, 휴식간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가 지각한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는 병원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를 통하여 VDT증후군 증상을 적게 지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VDT 작업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실제로 실천가능한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중재를 개발하여 VDT증후군 증상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hospital workers perceive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to define the relationship among severa variab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developing the appropriate nursing int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hospital workers perceive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to define the relationship among severa variab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developing th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hospital VDT workers.
In the survey performed from 2004 August 10th to August 31st, the subject of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was 221persons among th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the 4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s were Moon et al.(1991) VDT syndrome scale modified by present researcher and Park (1995)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the Chronbach' s alpha,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SPSS 10.1.
Summarized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subject persons perceive was 1.57 (± 0.70) in maximum score 4(some low-end degree), with those of MSDs(Musculoskeletal Disorders) highest 2.08 ( ± 0.81), of eye-related symptoms 1.56(± 0.80),of general body symptoms 1.50(± 0.82), of psychological symptoms 1.36(± 0.76), and of skin-related symptoms 1.27(± 0.87).
2. The mean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was 2.53(± 2.08) in maximum score 4(some high-end degree), with those of sanitary life 3.10(± 0.48), of harmonized relationship 2.86(± 0.50), of self-achievement 2.66(± 0.55), of diet control 2.66(±0.55), of emotional support 2.59(± 0.57), of regular diet 2.58(± 0.90), of self-control 2.29(± 0.59), of rest and sleep 2.29(± 0.57), of motion and activity 2.29(±0.57), and of professional health-maintenance lowest 1.91(± 0.65).
3. About the differences of VDT syndrome sympto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sex, age, healthcondition, the degree of job-satisfaction, degree of income-satisfation,job-position, computr use career, daily VDT use hour, and rest interval.
4. About the differences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g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presence of periodic medical health-examination, health condition of the person oneself, degree of job-satisfaction, degree of income-satisfaction, job position, computer use career, daily VDT use hour, and rest interval.
5. The relationship between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subject perceive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was negative correlation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r=-0.370, p=0.000).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re a hospital workers doe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less they perceives less VDT syndrome symptoms. Therefore, the nurses should endeavor to prevent VDT syndrome symptoms by developing and performing th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so that the hospital VDT workers practice health-promotion behavio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