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에 관한 실증 연구 :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Core Competencies of the Community Leaders in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51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가전략으로 녹색성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면서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농촌 고유의 자원을 소득화 하는 전략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농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농촌관광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도시민의 여가시간 증가로 웰빙(Well- being), 로하스(LOHAS) 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와 환경, 생명,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가치변화로 농업과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크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지역의 아름다운 경관,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사업이 녹색성장의 동력원이자, 새로운 사업적, 정책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농촌관광정책사업에 성공한 마을의 주된 공통점은 마을 리더들이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다른 마을과 차별화를 두고 지역주민의 공동체 형성을 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을 추진하는 마을리더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의 역량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여러 부처의 농촌관광정책사업 중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리더의 역량과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과 전문가 패널회의를 거쳐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으로 ‘인간관계 역량군’의 4요소, ‘감성/인지 역량군의 7요소’, ‘관리 역량군’의 6요소, ‘의사소통 역량군’의 4요소,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7요소’ 등 5개 역량군에 총 28개의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35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유의 표집하고, 각 마을별로 지도자 5명씩 총 17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149매의 질문지가 유효 분석자료로 사용되었으며,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차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은 지역사회에서 농촌관광사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57.7%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농촌관광사업에 종사의 만족도는 63,2%이고, 농촌관광의 전문성에 대해서도 89.9%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농촌관광 사업의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79.1%가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핵심역량의 5개 역량군은 모두 상관관계가 높으며, 역량 간의 상호 연관된 특성이 있다. 따라서 마을리더들에 대한 영역에서의 역량 강화는 다른 영역의 역량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역량군의 중요도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4.20), 의사소통 역량군(4.17), 감성/인지 역량군(4.10), 그리고 관리 역량군(4.00)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4.00)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역량의 중요도 수준에서 전체 평균보다 높은 평균은 보이고 있는 항목들이 있었다. 이는 ① 인간관계 역량군의 관계 형성, 고객지향성, 공동체 형성, 의사결정력 등 4개 역량, ② 감성/인지 역량군의 조직헌신성, 변화선도력, 문제해결력 등 3개 역량, ③ 관리 역량군의 팀워크, 비전창출, 자원관리 역량의 3개 역량, ④ 의사소통 역량군의 경청, 의사소통, 정보공유력 등 3개 역량, ⑤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벤치마킹 및 경영능력 등 2개 역량이었다. 이는 향후 더욱 관심을 두고 강화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판단된다.
      넷째, 현재의 역량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3.18), 의사소통 역량군(3.11), 관리 역량군(3.01), 감성/인지 역량군(3.00), 산업지식/기술 역량군(2.96)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보다 높은 역량은 16개 요소이고, 낮은 역량은 12개 요소이다.
      다섯째,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 역량 수준의 격차는 평균 1.04로, 그 중 감성/인지 역량군(1.10)과 의사소통 역량군(1.06)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을리더들의 학력, 리더의 유형(직책), 영농규모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의 특성은 의사소통 역량군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에서 유의차를 많이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론에 기초하여 향후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에서는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사전에 진단하고, 중요 역량과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을리더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군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특히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는 감성/인지 역량군, 의사소통 역량군,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별로 그리고 리더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마을현장에서의 대면적인 컨설팅 및 실습을 통한 역량 강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마을 리더의 선발에 학력과 영농규모를 감안하여 리더 직책을 부여하고, 장기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마을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을리더의 역량을 진단하는 조사도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고, 역량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기준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역량진단의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주 대상이었던 농촌전통테마마을 등 농촌관광 정책사업 이외에도 농촌관광과 관련된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분석하는데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진단을 위한 역량 모델링에 초점을 둔 관계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량에 대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들이 연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최근 국가전략으로 녹색성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면서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농촌 고유의 자원을 소득화 하는 전략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농촌 지역을 활...

      최근 국가전략으로 녹색성장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면서 녹색관광과 연계하여 농촌 고유의 자원을 소득화 하는 전략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농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농촌관광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도시민의 여가시간 증가로 웰빙(Well- being), 로하스(LOHAS) 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와 환경, 생명,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적 가치변화로 농업과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크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촌지역의 아름다운 경관,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사업이 녹색성장의 동력원이자, 새로운 사업적, 정책적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농촌관광정책사업에 성공한 마을의 주된 공통점은 마을 리더들이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여 다른 마을과 차별화를 두고 지역주민의 공동체 형성을 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을 추진하는 마을리더의 핵심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의 역량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 여러 부처의 농촌관광정책사업 중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리더의 역량과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과 전문가 패널회의를 거쳐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으로 ‘인간관계 역량군’의 4요소, ‘감성/인지 역량군의 7요소’, ‘관리 역량군’의 6요소, ‘의사소통 역량군’의 4요소,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7요소’ 등 5개 역량군에 총 28개의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는 35개 농촌전통테마마을을 유의 표집하고, 각 마을별로 지도자 5명씩 총 17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한 149매의 질문지가 유효 분석자료로 사용되었으며,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차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은 지역사회에서 농촌관광사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57.7%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농촌관광사업에 종사의 만족도는 63,2%이고, 농촌관광의 전문성에 대해서도 89.9%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농촌관광 사업의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79.1%가 낙관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둘째, 핵심역량의 5개 역량군은 모두 상관관계가 높으며, 역량 간의 상호 연관된 특성이 있다. 따라서 마을리더들에 대한 영역에서의 역량 강화는 다른 영역의 역량을 강화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역량군의 중요도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4.20), 의사소통 역량군(4.17), 감성/인지 역량군(4.10), 그리고 관리 역량군(4.00)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4.00)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역량의 중요도 수준에서 전체 평균보다 높은 평균은 보이고 있는 항목들이 있었다. 이는 ① 인간관계 역량군의 관계 형성, 고객지향성, 공동체 형성, 의사결정력 등 4개 역량, ② 감성/인지 역량군의 조직헌신성, 변화선도력, 문제해결력 등 3개 역량, ③ 관리 역량군의 팀워크, 비전창출, 자원관리 역량의 3개 역량, ④ 의사소통 역량군의 경청, 의사소통, 정보공유력 등 3개 역량, ⑤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의 벤치마킹 및 경영능력 등 2개 역량이었다. 이는 향후 더욱 관심을 두고 강화해야 할 중요한 역량으로 판단된다.
      넷째, 현재의 역량 수준은 인간관계 역량군(3.18), 의사소통 역량군(3.11), 관리 역량군(3.01), 감성/인지 역량군(3.00), 산업지식/기술 역량군(2.96)의 순으로 나타났고 전체 평균보다 높은 역량은 16개 요소이고, 낮은 역량은 12개 요소이다.
      다섯째, 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현재 역량 수준의 격차는 평균 1.04로, 그 중 감성/인지 역량군(1.10)과 의사소통 역량군(1.06)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을리더들의 학력, 리더의 유형(직책), 영농규모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들의 특성은 의사소통 역량군과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에서 유의차를 많이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결론에 기초하여 향후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리더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에서는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사전에 진단하고, 중요 역량과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 역량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을리더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군은 상관관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특히 많은 격차를 보이고 있는 감성/인지 역량군, 의사소통 역량군, 산업지식/기술 역량군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마을별로 그리고 리더 유형별로 특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마을현장에서의 대면적인 컨설팅 및 실습을 통한 역량 강화 방안이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마을 리더의 선발에 학력과 영농규모를 감안하여 리더 직책을 부여하고, 장기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마을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마을리더의 역량을 진단하는 조사도구는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고, 역량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도입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기준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역량진단의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주 대상이었던 농촌전통테마마을 등 농촌관광 정책사업 이외에도 농촌관광과 관련된 마을리더들의 역량을 분석하는데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들의 역량 진단을 위한 역량 모델링에 초점을 둔 관계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나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역량에 대한 실증분석을 토대로 역량을 개발하고 강화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들이 연구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n Korea Rural tourism is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measure for rural area activation. One of the common factors shared among those communities which succeeded in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 is that the community leaders demonstrate outstanding competencies with commitment to work in building up the community of resident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primary objective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leaders and to assess the level of their current competencies. This study compared the core competencies with the current level of them to find out how much and how each competencie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community leader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at show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in the project among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s of several government department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derived 28 different kind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in total,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5 competency categories. They are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the leaders of 35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149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es of data.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frequency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analyses of the assessed results shows;
      First,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the community leaders have inter-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the area for the community leaders could be contributing in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remaining other areas.
      Second, those important competencies which should be given priority in reinforcement in the future are those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y the community leaders. Those are the competencies such as (1) 4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relationship building, Customer Orientation, community building and decision making (2)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Organization Commitment,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3)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team work, creating visions, resources management (4)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 good listen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5) 2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benchmarking and management ability.
      Third, some competency groups showed big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These groups include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and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Forth, from the view points of detailed competencies of each group, the competencies showing the large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are benchmarking, information sharing, self-management/development capacity, merchandise development capacity,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Fif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did not have any big influence on the leaders' competencies, nonetheless, the variables like education background, farm size, position of leader and years of serving for the rural tourism project can bring significant results to the competency empowerme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education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it is necessary to make prior assessments on the leaders' competencies, then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ompetency showing a large gap from the important one.
      Secondly, because those competency group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require have very high correlation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d operate programs focusing on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which show large gaps in particular.
      Third, since the rural tourism villages hav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their leaders, the measur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uch as on-site confrontational consulting and exercises at the village should be introduced.
      번역하기

      Recently, in Korea Rural tourism is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measure for rural area activation. One of the common factors shared among those communities which succeeded in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 is that the community leaders d...

      Recently, in Korea Rural tourism is getting attentions as a new alternative measure for rural area activation. One of the common factors shared among those communities which succeeded in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 is that the community leaders demonstrate outstanding competencies with commitment to work in building up the community of resident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primary objective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leaders and to assess the level of their current competencies. This study compared the core competencies with the current level of them to find out how much and how each competencie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n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community leader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that show relatively higher performance in the project among the rural tourism policy projects of several government department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derived 28 different kind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in total, which could be classified into 5 competency categories. They are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the leaders of 35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s, and 149 copies of collected questionnaire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es of data. Using SPSS Statistics Package, frequency analysis,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analyses of the assessed results shows;
      First,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the community leaders have inter- related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hat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the area for the community leaders could be contributing in the competency reinforcement in remaining other areas.
      Second, those important competencies which should be given priority in reinforcement in the future are those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y the community leaders. Those are the competencies such as (1) 4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relationship building, Customer Orientation, community building and decision making (2)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Organization Commitment,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3)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team work, creating visions, resources management (4) 3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 good listen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5) 2 competencies of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benchmarking and management ability.
      Third, some competency groups showed big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These groups include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Competenc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group, and ‘Competency in Management' group Forth, from the view points of detailed competencies of each group, the competencies showing the large gaps between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nd current competencies held by the leaders are benchmarking, information sharing, self-management/development capacity, merchandise development capacity, change leadership,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Fif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did not have any big influence on the leaders' competencies, nonetheless, the variables like education background, farm size, position of leader and years of serving for the rural tourism project can bring significant results to the competency empowerment.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education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of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it is necessary to make prior assessments on the leaders' competencies, then to establish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ompetency showing a large gap from the important one.
      Secondly, because those competency groups needed for the rural tourism community leaders require have very high correlation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d operate programs focusing on ‘Competency in Cognition/ Emotion' group, ‘Competency in Communication' group and ‘Competency in Industrial Knowledge/ Technology' group, which show large gaps in particular.
      Third, since the rural tourism villages hav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their leaders, the measures for competency reinforcement such as on-site confrontational consulting and exercises at the village should be introduc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4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 5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 1
      • 1. 연구의 배경 = 1
      • 2. 연구의 목적 = 4
      • 제 2 절 연구범위 및 방법 = 5
      • 1. 연구의 범위 = 5
      • 2. 연구의 방법 = 6
      • 3. 연구의 체계 =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8
      • 제 1 절 리더의 역량 = 8
      • 1. 리더 역량의 개념 = 8
      • 2. 리더 역량의 분류 = 13
      • 제 2 절 역량 모델링의 의의 = 17
      • 1. 역량모델링의 정의 = 17
      • 2. 역량모델링의 절차 및 방법 = 18
      • 제 3 절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특성 = 24
      • 1. 농촌관광 인력의 특성 = 24
      • 2. 농촌관광정책에서 마을리더의 유형과 역할 = 26
      • 3.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역량개발의 중요성 = 33
      • 제 4 절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 역량의 선행연구 고찰 = 34
      • 1. 성공한 농업인 역량의 선행 연구 = 34
      • 2. 관광산업 및 직업기초 관련 역량의 선행 연구 = 39
      • 3. 농촌관광마을의 리더 역량의 선행연구 = 43
      • 4. 관련 문헌을 통한 시사점 = 45
      • 제 3 장 농촌관광정책의 현황과 특성 = 48
      • 제 1 절 농촌관광과 농촌관광마을의 특성 = 48
      • 1. 농촌관광의 개념과 특성 = 48
      • 2. 농촌관광 마을의 역할 = 54
      • 제 2 절 농촌관광정책사업의 현황과 특성 = 56
      • 1. 정부 부처별 농촌관광정책사업의 특성 비교 = 56
      • 2. 농촌전통테마마을 사업의 현황 = 61
      • 제 4 장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도출 및 진단 설계 = 66
      • 제 1 절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도출 = 66
      • 1. 역량도출 방법 및 절차 = 66
      • 2. 핵심역량 도출 과정 = 68
      • 3.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예비 핵심역량 설정 = 73
      • 4.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한 핵심역량의 최종 도출 = 77
      • 제 2 절 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진단 설계 = 81
      • 1. 핵심역량 진단의 연구 모형 = 81
      • 2. 역량진단 조사도구의 작성 = 82
      • 3. 조사대상 선정과 자료수집 방법 = 82
      • 제 5 장 농촌전통테마마을 리더의 핵심역량 진단 분석 결과 = 85
      • 제 1 절 응답자의 배경적 특성 및 농촌관광사업의기본인식 = 85
      • 1. 응답자의 배경적 특성 = 85
      • 2. 응답자의 농촌관광사업에 참여 유형과 인식 = 87
      • 제 2 절 마을리더의 핵심역량 진단 분석 결과 = 89
      • 1. 역량군별 상관관계 = 89
      • 2. 마을리더의 역량별 차이 비교 = 91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 100
      •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 100
      • 제 2 절 결론 및 제언 = 102
      • 참고문헌 = 105
      • 부록 1 농촌관광정책사업 마을리더의 핵심역량 도출위한 전문가 의견 조사 = 119
      • 부록 2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 핵심역량 진단 설문서 = 127
      • 부록 3 농촌전통테마마을의 마을리더 역량 진단분석 결과 (평균차 분석) = 138
      • ABSTRACT = 1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