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四時纂要』가 조선 전기 농업사에 끼친 영향 : 重刻本 『四時纂要』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448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선조 24년에 판각된 『四時纂要』(重刻本)를 통해 조선 전기 농업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겠다. 唐末 五代 시기에 저술된 이 책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영향을 주...

      본고는 선조 24년에 판각된 『四時纂要』(重刻本)를 통해 조선 전기 농업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겠다. 唐末 五代 시기에 저술된 이 책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이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는 고려 말로 추정된다. 한반도에 유입된 이후 조선 세종 시기 권농을 위해 활용되었으나 세종 이후 수령들이 권농에 관심을 가지지 않게 되면서 『사시찬요』가 사람들에게 서서히 잊혀진다. 그러나 15~16세기 조선에서는 국가, 지방관, 지식인들이 여러 農書를 편찬하였다. 이런 환경은 『사시찬요』를 발견한 유희잠과 박선도 그 영향을 받았다. 두 사람은 이 책을 전파하고자 했으나, 자본문제로 힘들었다. 그러나 박선이 경상좌병사가 되면서 重刻本을 판각한다. 박선의 발문에서 판각한 이유를 분명하게 자본이 해결되었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언급하였다. 그러나 박선이 근무한 당시 울산은 왜구로 인한 외부적인 피해, 부정부패 및 자연재해 등의 문제로 인해 힘든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중각본을 판각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ill look at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e 『sìshízuǎnyào(四時纂要)』(重刻本) engraved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jo. Written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book affecte...

      This paper will look at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e 『sìshízuǎnyào(四時纂要)』(重刻本) engraved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jo. Written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book affected not only China but also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timated that the book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fter its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used for Kwonnong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but after Sejong, the leaders were not interested in Kwonnong, and 『sìshízuǎnyào』 was slowly forgotten by people. However,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of Joseon, the state, loc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compiled several agricultural books. This environment was influenced by Yoo Hee-jam and Park Sun-do, who discovered 『sìshízuǎnyào』. The two tried to spread this book, but it was difficult due to capital problems. However, as Park Sun becomes a left soldier in Gyeongsang Province, he engraves 重刻本. In Park Sun’s statement, it was clearly mentioned that the reason for the engraving was that capital was clearly resolved. However, at the time Park Sun worked, Ulsan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external damage, corruption, and natural disasters caused by Japanese pirates. It is presumed that the engraving was made while solving this sit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四時纂要』의 한반도 유입과 그 영향
      • Ⅲ. 조선 전기 『사시찬요』의 전파와 중각본 편찬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四時纂要』의 한반도 유입과 그 영향
      • Ⅲ. 조선 전기 『사시찬요』의 전파와 중각본 편찬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