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동과 굼벵이 섭취가 고당식이 흰쥐의 에너지 및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ith grub powder ingestion and voluntary exercise on energy metabolism and Lipid Metabo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69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itegrub intake and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in the hyperglycemic diet group.
      To accomplish this goal, 42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sucrose diet and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hitegrubs intake and exercise.
      Hyperglycemic diet with whitegrub feeding and hyperglycemic diet with whitegrub intake with spontaneous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and swimming group showed significant fat loss.
      Blood lipid content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G and T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regardless of exercise, and glucose and LDL-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with exercise however HDL-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with exercise. In the hyperglycemic group fed the whitegrub, the GOT and GTP levels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less of exercise.
      Lipid metabolism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FABP and CPT-1 was increased in the hyperglycemic diet and exercise group but not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energy metabolism analysis, expression of Akr, AMPK and GLUT 4 showed a similar trend.
      In the hyperglycemic group, whitegrub ingestion proved to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This effect was also higher when exercise was performed concurrentl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whitegrub is highly utilized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l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performance of athlete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itegrub intake and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in the hyperglycemic diet group. To accomplish this goal, 42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sucrose diet and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hitegrub intake and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in the hyperglycemic diet group.
      To accomplish this goal, 42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sucrose diet and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whitegrubs intake and exercise.
      Hyperglycemic diet with whitegrub feeding and hyperglycemic diet with whitegrub intake with spontaneous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and swimming group showed significant fat loss.
      Blood lipid content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G and T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regardless of exercise, and glucose and LDL-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with exercise however HDL-C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fed with the whitegrubs with exercise. In the hyperglycemic group fed the whitegrub, the GOT and GTP levels in the bloo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less of exercise.
      Lipid metabolism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FABP and CPT-1 was increased in the hyperglycemic diet and exercise group but not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energy metabolism analysis, expression of Akr, AMPK and GLUT 4 showed a similar trend.
      In the hyperglycemic group, whitegrub ingestion proved to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This effect was also higher when exercise was performed concurrentl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whitegrub is highly utilized as a functiona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lso,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performance of athlete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가설 5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가설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운동과 체중 및 지방량 6
      • 2. 운동과 혈중 성분 7
      • 3. 운동과 에너지대사 8
      • 4. 운동과 지방대사 9
      • 5. 식용곤충 섭취와 운동의 효과 11
      • 6. 식용곤충 이용과 현황 12
      • Ⅲ. 연구방법 15
      • 1. 실험동물 및 사육방법 15
      • 2. 식이조성 및 섭취방법 16
      • 3. 실험재료 17
      • 4. 운동방법 17
      • 5. 시료재취 방법 17
      • 6. 분석항목 18
      • 1) 체중측정 18
      • 2) 혈중성분 분석 18
      • 3) 단백질 발현량 분석 18
      • 7. 자료처리 방법 19
      • Ⅳ. 연구결과 20
      • 1. 체중변화 20
      • 2. 지방량 변화 22
      • 3. 혈중 성분변화 24
      • 1) Glucose 농도 변화 24
      • 2) Total-cholesterol 농도 변화 26
      • 3) Triglyceride 농도 변화 28
      • 4) HDL-cholesterol 농도 변화 30
      • 5) LDL-cholesterol 농도 변화 32
      • 6) GPT 농도 변화 34
      • 7) GOT 농도 변화 36
      • 4. 단백질 발현량 분석 38
      • 1) Akt 발현량 변화 38
      • 2) AMPK 발현량 변화 40
      • 3) GLUT 4 발현량 변화 42
      • 4) CPT-1 발현량 변화 44
      • 5) L-FABP 발현량 변화 46
      • V. 논 의 48
      • VI. 결론 및 제언 54
      • 참고문헌 59
      • Abstract 7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윤은영, 황재삼, "곤충식품 개발 현황 및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49(4): 31-39, 2017

      2 최영철,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곤충산업현황과 전망", 한국농촌경제 연구소 세계 농업정보 (159호), 95-112, 2013

      3 김우경, 임정현,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본 균형 잡힌 식생활", 보건복지부. 6, 2015

      4 김남정, 황재삼, 최영철, 이상범, 박인균, "곤충의새로운 가치 –21세기 고부가 가 치 생명산업", RDA Interrobang (4호), 1-20, 2011

      5 송윤주, 하경호, 정효지, "한국인의 당류 섭취현황과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 식 품과학과 산업, 49(3): 2-11, 2016

      6 김배성,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농업부문 곤충자원 활용현황과 시사점", 한국농촌 경제 연구소 세계농업정보 (159호), 113-128, 2013

      7 권태동, 김이슬, "벼메뚜기 섭취와 트레드밀 운동 수행에 대한 혈중 지질 및 항산 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7(5) : 1605-1614, 2018

      8 이정필, "<[농업이 미래다] 의약품 소재로 각광받는 곤충…왕지네, 아토피에 ‘특 효’>", 《이투데이》, 2017.03.23.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71279#csidx5f9e60e93455037 8b8e6d4c7dbcd2ca, 2017

      9 김안순, "식용곤충 단백질이 주름개선에 미치는 영양에 대한 고찰. 미간행석사학 위논문", 한성대학교, 2017

      10 이은수, "AMPK 활성조절을 통한 CAPE의 인슐린 시그널 조절 기작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1 윤은영, 황재삼, "곤충식품 개발 현황 및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49(4): 31-39, 2017

      2 최영철,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곤충산업현황과 전망", 한국농촌경제 연구소 세계 농업정보 (159호), 95-112, 2013

      3 김우경, 임정현,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본 균형 잡힌 식생활", 보건복지부. 6, 2015

      4 김남정, 황재삼, 최영철, 이상범, 박인균, "곤충의새로운 가치 –21세기 고부가 가 치 생명산업", RDA Interrobang (4호), 1-20, 2011

      5 송윤주, 하경호, 정효지, "한국인의 당류 섭취현황과 만성질환에 미치는 영향", 식 품과학과 산업, 49(3): 2-11, 2016

      6 김배성,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농업부문 곤충자원 활용현황과 시사점", 한국농촌 경제 연구소 세계농업정보 (159호), 113-128, 2013

      7 권태동, 김이슬, "벼메뚜기 섭취와 트레드밀 운동 수행에 대한 혈중 지질 및 항산 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7(5) : 1605-1614, 2018

      8 이정필, "<[농업이 미래다] 의약품 소재로 각광받는 곤충…왕지네, 아토피에 ‘특 효’>", 《이투데이》, 2017.03.23.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71279#csidx5f9e60e93455037 8b8e6d4c7dbcd2ca, 2017

      9 김안순, "식용곤충 단백질이 주름개선에 미치는 영양에 대한 고찰. 미간행석사학 위논문", 한성대학교, 2017

      10 이은수, "AMPK 활성조절을 통한 CAPE의 인슐린 시그널 조절 기작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11 권태동, 전병덕, 손진화, 김이슬, 김경환, "누에나방(Bombyx moriL.) 번데기 분말 섭취와 저항성 운동훈련에 의한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5): 1565-1573, 2018

      12 옥정석, 홍지영, "주 유 무산소성 복합운동이 비 만 여성 노인의 체력 및 신체 조성, 근육지수,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22(1): 30-38, 2013

      13 김동인, "갈색거저리 물추출물과 애기뿔쇠똥구리에서 유래된 CopA3 펩타이드의 NF-kB, MAPK 경로의 염증, 미백 메커니즘 검증 및 W/O/W 제형 적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