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선교적 제자도’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발언의 주체와 대상을 표현하는 인칭대명사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구조분석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03456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44(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선교적 제자도’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발언의 주체와 대상을 표현하는 인칭대명사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구조분석을...
본 논문은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선교적 제자도’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발언의 주체와 대상을 표현하는 인칭대명사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인지와 구조분석을 통해 61장에 속한 네 단락의 의미가 고찰된다.
첫 번째 단락(1-절)에서는 한 사람 야훼 종의 부르심을 통해 온 공동체가 변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가난한 자들에게 전해지는 복된 소식을 통해 ‘마음이 상한 자들’, ‘포로된 자들’, ‘갇힌 자들’, ‘우는 자들’이 자유와 회복을 맛보고 위로를 얻는다. 두 번째 단락(5-7절)에서는 회복되는 이스라엘 공동체는 열방과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된다. 그들의 새로운 관계는 서로를 유익하게 하는 상생의 관계요, 함께 기쁨을 누리는 공존의 관계이다. 세 번째 단락(8-9절)에서는 여기에는 야훼께서 어떤 분이신가가 소개되어 있고, 그분이 약속하신 바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를 보여준다. 네 번째 단락 (10-11절)에서는 첫 번째 단락의 ‘야훼의 종’의 소명과 활동을 통해서 선포되고 구현된 하나님의 구원이 그 구원을 경험한 자를 통해 구원에 대한 감격과 감사의 응답을 이끌어낸다. 야훼의 종 ‘나’가 또 다른 야훼의 종 ‘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는 열방들 앞에서 야훼의 ‘공의’와 ‘찬양’을 이끌어내는 또 다른 야훼 종의 역할을 감당할 것이다.
이사야 61장에 대한 주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선교적 제자도에 대한 교훈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로, ‘야훼의 종’으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둘째로, ‘의의 참나무’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셋째로, ‘제사장’과 ‘봉사자’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넷째로, ‘구원의 증인’으로서 실천되는 선교적 제자도이다. 이 모든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서 가장 완전하게 실천된다. 따라서 이사야 61장의 선교적 제자도를 실천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라가는 제자도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missionary discipleship” based on the exegesis of Isaiah 61. The meaning of the four paragraphs in Chapter 61 is examined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and accurate recognition of changes of personal pronouns that express the ...
This paper explores “missionary discipleship” based on the exegesis of Isaiah 61. The meaning of the four paragraphs in Chapter 61 is examined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and accurate recognition of changes of personal pronouns that express the subject and object of speech.
In the first paragraph (vv. 1-4), we see the whole community changing through the call of one servant of Yahweh. Through the good news to the poor, the brokenhearted, the captives, the trapped, and the crying ones enjoy freedom and recovery. In the second paragraph (vv. 5-7), the restored Israeli community has a new relationship with the nations. Their new relationship is a win-win relationship that benefits each other and a symbiotic relationship that rejoices together. The third paragraph (vv. 8-9) introduces who Yahweh is and how His promises will be done. In the fourth paragraph (vv. 10-11), the salvation of God proclaimed and embodied through the vocation and activity of the servant of Yahweh in the first paragraph leads the response of gratitude and thanksgiving through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I” as Yahweh’s servant creates another “I” as Yahweh’s servant. He will take on the role of another Yahweh’s servant, leading Yahweh"s justice and praise before the nations.
An exegesis on Isaiah 61 provides the following lessons about missionary discipleship. First, it is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servant of Yahweh. Second,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oak of righteousness.” Third,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priest” and a “servant.” Fourth, missionary discipleship is practiced as a witness of salvation. All of this is done most fully in the life and work of Jesus Christ. Hence, the practice of missionary discipleship in Isaiah 61 is also to be a follower of Jesus Chris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세훈, "한 권으로 읽는 이사야서" 이레서원 2004
2 박경철, "한 권으로 읽는 구약성서" 한신대학교 출판부 105-134, 2010
3 곽철호, "이사야의 영향사와 61:1-2의 예수님의 나사렛 회당 선포(누가복음 4:18-19), 그리고 그리스도인에게 미치는 효과" 10 (10): 5-34, 2013
4 김회권, "이사야 61장1-11절에 나타난 선교신학: 시온과 열방의 관계에 대한 주석적 고찰" 세계선교연구원 (13) : 141-170, 2004
5 Westermann, C., "이사야 (3)" 한국신학연구소 1990
6 Kraus, H. J., "시편의 신학" 비블리카아카데미아 2004
7 권성달, "성서 속의 식물들" 대한성서공회 2015
8 하경택, "교회력에 따른 2019 예배와강단" 기독교문사 342-363, 2018
9 하경택, "교회력에 따른 2017 예배와강단" 기독교문사 299-313, 2016
10 Gerstenberger, E. S., "“hn[ II,” ThWAT VI"
1 장세훈, "한 권으로 읽는 이사야서" 이레서원 2004
2 박경철, "한 권으로 읽는 구약성서" 한신대학교 출판부 105-134, 2010
3 곽철호, "이사야의 영향사와 61:1-2의 예수님의 나사렛 회당 선포(누가복음 4:18-19), 그리고 그리스도인에게 미치는 효과" 10 (10): 5-34, 2013
4 김회권, "이사야 61장1-11절에 나타난 선교신학: 시온과 열방의 관계에 대한 주석적 고찰" 세계선교연구원 (13) : 141-170, 2004
5 Westermann, C., "이사야 (3)" 한국신학연구소 1990
6 Kraus, H. J., "시편의 신학" 비블리카아카데미아 2004
7 권성달, "성서 속의 식물들" 대한성서공회 2015
8 하경택, "교회력에 따른 2019 예배와강단" 기독교문사 342-363, 2018
9 하경택, "교회력에 따른 2017 예배와강단" 기독교문사 299-313, 2016
10 Gerstenberger, E. S., "“hn[ II,” ThWAT VI"
11 Ruszkowski, L., "Volk und Gemeinde im Wandel: Eine Untersuchung zu Jesaja 56-66" Vandenhoeck & Ruprecht 2000
12 Kellermann, U., "Tritojesaja und das Geheimnis des Gottesknechts" 58 : 46-82, 1991
13 Chisholm, R. B., "The Christological Fulfillment of Isaiah’s Servant Songs" 163 : 387-404, 2006
14 Oswalt, J. N., "The Book of Isaiah. Chapters 40-66" W.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8
15 Smith, P. A., "Rhetoric and Redaction in Trito-Isaiah: The Structure, Growth and Authorship of Isaiah 56-66" Brill 1995
16 Gignilliat, M., "Oaks of Righteousness for His Glory" 23 : 391-405, 2011
17 Rendtorff, R., "Kanon und Theologie" Neukirchener Verlag 141-161, 1991
18 Höffken, P., "Jesaja: Der Stand der theologischen Diskussion"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2004
19 Berges, U., "Jesaja: Der Prophet und das Buch" Evangelische Verlagsanstalt 2010
20 Koole, J. L., "Isaiah III. Vol. 3: Isaiah 56-66 (Historical Commentary on the OT)" Pharos 2001
21 Gowan, D. E., "Isaiah 61:1-3, 10-11" 35 : 404-409, 1981
22 Blenkinsopp, J., "Isaiah 56-66: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Yale University 2003
23 Goldingay, J., "Isaiah 56-66" Bloomsbury 2014
24 Brueggemann, W., "Isaiah 40-66 (Westminster Bible Compani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8
25 Whybray, R. N., "Isaiah 40-66" Eerdmans 1981
26 Firth, D. G., "Interpreting Isaiah: issues and approaches" IVP Academic 2009
27 Berges, U., "Das Buch Jesajas: Kompositon and Endgestalt" Herder Verlag 1998
28 김태훈, "A Study on Isaiah Quotation in Luke 4:18-19: Recovery of Sight for the True Recognition of Jesus" 한국기독교학회 (63) : 37-55, 2009
방효원, 방지일 선교사의 동일화 연구: 중국 산동의 선교사역을 중심으로
19세기 개신교 국제 선교사 대회에 나타난 선교 이양의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