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exual Attitude Self-Open Self-Esteem Mediating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78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양육태도,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QR코드 설문방식으로 남자 390명(52%), 여자 367...

      본 연구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양육태도,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QR코드 설문방식으로 남자 390명(52%), 여자 367명(48%)을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과 SPSS Process Macro v4.2의 Process Macro Model 6을 통해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방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은 직접효과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태도와 자기개방에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자기개방은 성태도와 직접효과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성태도 형성에 보호요인임을 밝힌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report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3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report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390 men (52%) and 367 women (48%)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QR co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SPSS Process Macro v4.2, and the series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rough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lf-openness. On the other hand, self-openness did not affect sexual attitudes. Thir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sexual attitud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for cultivating healthy sexual attitudes of adolescents was propos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