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종북(從北)’ 관련 판례의 특성과 판례에 나타난 법원의 표현의 자유 인식 = The Characteristics of Pro-North Korean-Related Precedents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se Prece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4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pro-North Korean cases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these sui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cedents of pro-North Korean statements were found in the conservativ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regimes, and the subjects of those statements were agencies, journalists, and members with a conservative perspective. The objects of pro-North Korean expression were restricted to political parties, groups and individuals with a progressive perspective. Second, pro-North Korean expression was used in a variety of areas, both on- and off-line. Third, the court perceiv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a narrow sense in all cases where the plaintiff won. Fourth, the court recogniz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as an expression when it was judged to be a simple expression of opinion with no mention of specific facts, when it recognized no publicity of the expression, and when it was interpreted as a broad concept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which the expression appeared. Finally, grounds for punishment of individuals that us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were found when there was a lack of confirmation and testing for expression, when the reason for referring to someone as pro-North Korea was offered in an additional explanation or interpretation, or when the negative effects of the expressi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makes two proposals to resolve the freedom of expression controversy over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a smooth fash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ourt perceived the concept of pro-North Korea expression in a narrow sense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re was enough probability to regard pro-North Korea as hate speech. The court, however, did not define pro-North Korea expression as hate speech. This study thus proposes the foundations for a tentative "Relief Commission for Hate Speech Intervention and Damage"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he press,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is proposed commission is intended to restore the honor of the victim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hen they file a report for damage due to hate speech. This is accomplished by having experts make a judgment regarding the hate speech in question and announcing the outcome through various types of media. The current study also proposes that when a case is disclosed, the judicial branch should actively reflect the judgment of the Commission as well as raise considerations of additional punishment for malicious hate spee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pro-North Korean cases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these sui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cedents of pro-North Korean statements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pro-North Korean cases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these sui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cedents of pro-North Korean statements were found in the conservativ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regimes, and the subjects of those statements were agencies, journalists, and members with a conservative perspective. The objects of pro-North Korean expression were restricted to political parties, groups and individuals with a progressive perspective. Second, pro-North Korean expression was used in a variety of areas, both on- and off-line. Third, the court perceiv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a narrow sense in all cases where the plaintiff won. Fourth, the court recogniz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as an expression when it was judged to be a simple expression of opinion with no mention of specific facts, when it recognized no publicity of the expression, and when it was interpreted as a broad concept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which the expression appeared. Finally, grounds for punishment of individuals that used pro-North Korean expression were found when there was a lack of confirmation and testing for expression, when the reason for referring to someone as pro-North Korea was offered in an additional explanation or interpretation, or when the negative effects of the expressi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makes two proposals to resolve the freedom of expression controversy over pro-North Korean expression in a smooth fash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court perceived the concept of pro-North Korea expression in a narrow sense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re was enough probability to regard pro-North Korea as hate speech. The court, however, did not define pro-North Korea expression as hate speech. This study thus proposes the foundations for a tentative "Relief Commission for Hate Speech Intervention and Damage"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he press,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This proposed commission is intended to restore the honor of the victim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hen they file a report for damage due to hate speech. This is accomplished by having experts make a judgment regarding the hate speech in question and announcing the outcome through various types of media. The current study also proposes that when a case is disclosed, the judicial branch should actively reflect the judgment of the Commission as well as raise considerations of additional punishment for malicious hate spee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종북’은 혐오표현의 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다만, 법률적 용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북이라는 용어는 각종 언론을 통해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종북이라는 표현에 근거한 판례까지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인식 아래 이 연구는 종북 관련 사건이 실제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소송에 나타난 우리 법원의 종북 표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북 판례는 보수정권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나타났고, 발언의 주체는 보수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기관, 언론인, 구성원이었다. 종북 표현의 대상자는 진보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정당, 단체, 인물들로 한정되고 있었다. 둘째, 종북이라는 표현은 온라인,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표출되고 있었다. 셋째, 원고가 승소한 모든 사건에서 재판부는 종북을 협의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재판부는 종북이라는 표현을 했다고 해도 구체적 사실의 적시 없이 단순한 의견을 표명한 것이라고 판단할 경우, 표현이 된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연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예컨대 내부 전산망에 관련 글이 게시되었을 경우), 종북을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할 경우 종북이라는 표현을 정당한 표현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북이라는 표현이 위법하다고 인정한 근거는 종북이라는 표현을 위한 확인, 검증이 부족한 경우, 종북이라고 불릴만한 악의적(부정적) 이유 등을 부연설명하거나 해석을 곁들인 경우, 표현이 가져올 부정적 효과를 고려한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대부분의 재판부가 종북을 협의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종북이라는 표현을 혐오표현으로 볼 개연성이 충분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그러나 우리 법원이 종북을 혐오표현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와 국가인권위원회, 언론, 언론중재위원회, 시민사회단체의 협력 아래 가칭 ‘혐오표현 중재 및 피해 구제위원회’ 등을 신설, 혐오표현을 당한 당사자의 신고가 이루어질 경우 위원회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혐오표현에 대한 판단을 수행케 하고, 그 결과를 각종 언론에 공표함으로써 피해자의 명예를 단기간에 회복시키는 방식, 사건의 소송 비화시 위원회의 판단을 사법부에서 적극 반영하는 방식, 악의적 혐오표현일 경우 가중처벌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종북’은 혐오표현의 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다만, 법률적 용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북이라는 용어는 각종 언론을 통해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종북이라는 표현에 근거한 판...

      ‘종북’은 혐오표현의 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다만, 법률적 용어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북이라는 용어는 각종 언론을 통해 활발히 사용되고 있고, 종북이라는 표현에 근거한 판례까지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 인식 아래 이 연구는 종북 관련 사건이 실제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소송에 나타난 우리 법원의 종북 표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북 판례는 보수정권인 이명박, 박근혜 정권에서 나타났고, 발언의 주체는 보수적 관점을 가지고 있는 기관, 언론인, 구성원이었다. 종북 표현의 대상자는 진보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정당, 단체, 인물들로 한정되고 있었다. 둘째, 종북이라는 표현은 온라인,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표출되고 있었다. 셋째, 원고가 승소한 모든 사건에서 재판부는 종북을 협의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재판부는 종북이라는 표현을 했다고 해도 구체적 사실의 적시 없이 단순한 의견을 표명한 것이라고 판단할 경우, 표현이 된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연성이 인정되지 않을 경우(예컨대 내부 전산망에 관련 글이 게시되었을 경우), 종북을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할 경우 종북이라는 표현을 정당한 표현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북이라는 표현이 위법하다고 인정한 근거는 종북이라는 표현을 위한 확인, 검증이 부족한 경우, 종북이라고 불릴만한 악의적(부정적) 이유 등을 부연설명하거나 해석을 곁들인 경우, 표현이 가져올 부정적 효과를 고려한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대부분의 재판부가 종북을 협의의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종북이라는 표현을 혐오표현으로 볼 개연성이 충분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그러나 우리 법원이 종북을 혐오표현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와 국가인권위원회, 언론, 언론중재위원회, 시민사회단체의 협력 아래 가칭 ‘혐오표현 중재 및 피해 구제위원회’ 등을 신설, 혐오표현을 당한 당사자의 신고가 이루어질 경우 위원회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혐오표현에 대한 판단을 수행케 하고, 그 결과를 각종 언론에 공표함으로써 피해자의 명예를 단기간에 회복시키는 방식, 사건의 소송 비화시 위원회의 판단을 사법부에서 적극 반영하는 방식, 악의적 혐오표현일 경우 가중처벌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영, "혐오표현(Hate Speech)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137-169, 2015

      2 심윤지, "혐오․차별 제재 목소리 고조… 16개국선 이미 형사 처벌법제화" 한국일보

      3 임재형, "한국사회의 혐오집단과 관용에 관한 경험적 분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9 (29): 149-174, 2014

      4 나영(2016, "한국 사회 혐오표현의 배경과 양상: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12-28, 2000

      5 이재진,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 결사의 자유"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6 최종환, "통일 관련 언론보도 논조 및 프레임 분석 연구: 김대중 및 박근혜 정부의 보수와 진보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127-151, 2016

      7 권순택, "채널A, 민언련에 ‘종북’ 딱지 붙였다가 손해배상1000만원" 미디어스

      8 김정인, "종북프레임과 민주주의의 위기" 한국역사연구회 (93) : 209-233, 2014

      9 조윤호, "조선일보, ‘종북’ 사상검증이 ‘표현의 자유’라고?" 미디어오늘

      10 조윤호, "임수경 “종북 색깔론, 의원인 나도 자기검열 하게돼”" 미디어오늘

      1 박해영, "혐오표현(Hate Speech)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137-169, 2015

      2 심윤지, "혐오․차별 제재 목소리 고조… 16개국선 이미 형사 처벌법제화" 한국일보

      3 임재형, "한국사회의 혐오집단과 관용에 관한 경험적 분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9 (29): 149-174, 2014

      4 나영(2016, "한국 사회 혐오표현의 배경과 양상: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12-28, 2000

      5 이재진,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 결사의 자유"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1

      6 최종환, "통일 관련 언론보도 논조 및 프레임 분석 연구: 김대중 및 박근혜 정부의 보수와 진보신문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127-151, 2016

      7 권순택, "채널A, 민언련에 ‘종북’ 딱지 붙였다가 손해배상1000만원" 미디어스

      8 김정인, "종북프레임과 민주주의의 위기" 한국역사연구회 (93) : 209-233, 2014

      9 조윤호, "조선일보, ‘종북’ 사상검증이 ‘표현의 자유’라고?" 미디어오늘

      10 조윤호, "임수경 “종북 색깔론, 의원인 나도 자기검열 하게돼”" 미디어오늘

      11 신동호, "우리 안의 ‘증오 선동’" 경향신문

      12 최진호,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 개입 : 1987년 이후 13~17대 대선캠페인 기간의 주요일간지 사설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534-571, 2012

      13 김혜영, "법원, “임수경은 종복” 비난 박상은에 배상판결" 뷰스앤뉴스

      14 오민애, "법원, “이정희 전 대표 부부는 ‘종북 부부’” 종편채널손해배상책임 인정" 민중의 소리

      15 박주연, "법원 “민언련은 종북세력”에 “그렇게 말할 만 했다” 판결" 미디어워치

      16 허재현, "법원 ‘함부로 ‘종북’이라고 했다가는…’" 한겨레

      17 강진아, "배우 문성근, ‘종북좌파’ 비방 보수인사에 2심도 일부승소" 뉴시스

      18 김미란, "낸시랭 종북주의자란 말한 적 없어" 미디어워치

      19 이정기, "광우병 촛불집회에 나타난‘미디어 2.0’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6) : 193-244, 2010

      20 윤주헌, "검찰 “2심 재판부, 종북개념 너무 좁게 해석”" 조선일보

      21 이재진, "가상공간에서의 혐오언론의 문제: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6 : 104-146, 2000

      22 김동현, "野, ‘종북 좌빨’ 등 혐오발언 처벌 법안 추진" 연합뉴스

      23 최연진, "從北은 정치 논쟁거리...법적 판단대상 아니다" 조선일보

      24 김세옥, "“민언련 종북” 채널A 정정보도에 손해배상까지" PD저널

      25 방현덕, "“민변 안에 北변” 발언 하태경, 민변에 승소" 연합뉴스

      26 김용국, "“너 종북이지?”... 이 말했다간 이렇게 됩니다" 오마이뉴스

      27 이항우, "‘종북(從北)’의 정치사회학: 비판적 담론분석" 53-54, 2015

      28 김효실, "‘종북 매도’가 표현의 자유라는 조선일보" 한겨레

      29 조영환, "‘從北(종북)’이란 용어 규정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뉴데일리

      30 민중의 소리, "[사설] ‘민언련 종북’ 비방 이유 있다는 법원 판결"

      31 김서중, "[미디어] 종북몰이, 언론도 한몫 했다" 86 : 325-358, 2015

      32 나성원, "[從北프레임 해부-사법기관 판단] ‘이정희 종북’ 민・형사소송 법원“배상하라”- 檢 “무혐의”" 국민일보

      33 위평량, "20대 총선 여․야 4당의 경제분야 공약 비교분석" 52 : 150-164, 2016

      34 김영석, "'변희재 소송' 이긴 이재명 "일베충 기다려라”" 오마이뉴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