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모형 연구-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에 적용 방안 - = A Study on the Capstone Design Model to Practice Presentation Tasks Based on the Online Flat Form - A Method of Applying for the Foreign Students of Academic Purpos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9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apstone design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task execution practice course that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perform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this purpose, 30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erceptions of their perceptions of academic presentations and preferred presentation tasks, followed by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and ‘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By referring to the theory, the capstone design model for the execution of the presentation task based on the online platform was designed. Next, a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platform(Zoom) to observe the execution of the model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was designed as a model by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to practice the presentation task execution required for academic 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conduct a study to verify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n many international students, but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actice tool for foreign students to practice their presentation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apstone design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task execution practice course that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perform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this purpose, 3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the capstone design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task execution practice course that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perform through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an online platform. For this purpose, 30 academic-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erceptions of their perceptions of academic presentations and preferred presentation tasks, followed by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and ‘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By referring to the theory, the capstone design model for the execution of the presentation task based on the online platform was designed. Next, a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platform(Zoom) to observe the execution of the model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r academic purpos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was designed as a model by focus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to practice the presentation task execution required for academic purpose international student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conduct a study to verify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on many international students, but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practice tool for foreign students to practice their presentation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리,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2 홍은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 신효원,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의 개발 및 활용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177-198, 2007

      4 유정아,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51-72, 2011

      5 홍윤혜, "학술적 문어담화와 구어담화의 장르 비교 분석 : 연구 논문과 연구 발표의 수사적 행위 요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4

      6 張亞楠, "학문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발표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7 여미란,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토론 평가 연구 : 교육토론(Academic Debate)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8

      8 종기,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불안감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9 안민정,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교재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특수대학원 2016

      10 박선윤, "학문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도구 개발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11 채숙희, "학문 목적의 한국어 발표 교육 내용 연구 - 한국인 학부생용 교재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회 (96) : 243-272, 2016

      12 하은경,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조별 발표 과제 수행을 위한 회의 담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3 백소영,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연구" 어문연구학회 81 : 283-301, 2014

      14 방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15 이선영,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통제 전략 사용 양상" 우리어문학회 (56) : 321-352, 2016

      16 윤신애,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 필요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한이연,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실제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8 황현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요구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왕문아,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표 불안감 완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20

      20 박혜미,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 유형 개발 방안 : 말하기 숙달도 평가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1 고민영,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과제 개발 연구 : 사고 확장 과제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2 이민아, "학문 목적 중국 학습자의 발표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설명하기와 설득하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조영우, "테크놀로지 지원 외국어학습 코칭의 가능성 탐색: 개념과 실행 모형"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1 (21): 267-297, 2018

      24 손상희,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을 활용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연구 -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61) : 123-134, 2020

      25 박향춘, "중국인 학습자의 발표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26 남민지, "중국인 학습자의 발표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 학문 목적 발표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문화창조대학원 2015

      27 Li Qian,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학 입학 초기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국제대학원 2017

      28 Yang Xichen,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29 무민민,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를 활용한 학문 목적 발표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30 상효경,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 스트레스의 관계 : 학업 자아개념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31 엄나영, "자기주도 섀도잉 학습법(SSDL)이 발표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대학 한국어과 학습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32 김수현,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의 효과분석" 20 (20): 153-157, 2012

      33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4 박성익,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고찰" 교육연구소 5 (5): 137-158, 2004

      35 이정민, "입문기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개론 과정의 도입에 관한 제언" 이중언어학회 (39) : 239-263, 2009

      36 김지학, "유학생 대상 학문목적한국어 교육에 대한학습자 요구 분석-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1 (11): 125-156, 2018

      37 양용칠,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을 지원하는 교수설계 전략의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20 (20): 3-23, 2004

      38 이은영,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최근 소비자학 연구 트렌드 분석" 한국상품학회 37 (37): 1-7, 2019

      39 이덕희, "요구 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0 김윤주,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발표 양상 연구" 한국화법학회 (32) : 25-52, 2016

      41 이혜경, "외국인 유학생의 복합양식 문식성 계발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교육 내용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42 안민화,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담화 응집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43 이영준,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 능력 자가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589-616, 2013

      44 김운옥, "완성형 평가(cloze method)를 활용한 발표 교육 연구 - 베트남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지 사용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9) : 23-64, 2019

      45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46 강명희,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전략의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18 (18): 3-22, 2002

      47 강란숙, "쉐도잉 기법 사용 기반 발표 연습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반응 분석 연구 - 한국인 대학생 프리젠테이션 대회 수상작을 모델링 동영상 자료로 활용" 한국문화융합학회 38 (38): 135-169, 2016

      48 Gregory, G. H., "수준별 개별화 교수-학습전략" 학지사 2005

      49 최문정,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50 서윤미, "섀도잉(Shadowing)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51 밍휘,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구어 화제 전환 표현 교육 연구 : 설명적 말하기 담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2 강소산,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119) : 345-373, 2019

      53 허선, "베트남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연구 : 귀인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8

      54 김성옥, "발표 담화표지 학습이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5 박선희, "발표 담화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상 불일치 양상 연구" 언어과학회 (90) : 113-132, 2019

      56 윤유라, "대학생의 핵심역량 양성을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으로서 독서토론활동의 가능성: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6 (6): 65-92, 2021

      57 류계영,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8 Otto, K., "공포를 날려버리는 학술적 글쓰기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9 Smit, R.,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small schools" 28 (28): 1152-1162, 2012

      60 Corno, L,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itivation" 18 : 88-108, 1983

      61 Brown, "The Principle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Hall 2000

      62 Eyring, J.,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Heinle and Heinle 346-359, 1991

      63 이나은, "Shadowing 학습법이 중학생의 영어 구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64 Pintrich, P.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65 Tomlinson, C. A.,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1

      66 Zimmerman, B. J.,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2011

      67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68 Zimmern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of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 614-628, 1986

      69 Zimmerman, Barry 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70 McChlery, 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arning styles of accounting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Africa" 14 (14): 299-315,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