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알아본 대학생의 관심사 변화 분석: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Interests in Online Community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Corona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9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re than tens of billions of gigabytes of big data have been generated per day.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speed network-based environment and the daily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big data is: SNS, through which platform users share their daily lives and feelings. By using SNS, the main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and how they have changed through Covid-19 can be tracked.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school life during the pandemic; by conducting social big data mining on ‘Every time’- a social network service designed mainly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 employed: texts from 'Every tim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semantic analys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1) the main interests revolving around ‘lectures’, ‘assignments’, ‘part-time jobs’, and ‘concerns’ have changed; (2) The function of ‘Every time’ is not confined to the platform for information exchange only. It also offers emotional support and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value of ‘Every time’ as a source of big data and argues that universities should refer to ‘Every time’ when making education policies.
      번역하기

      More than tens of billions of gigabytes of big data have been generated per day.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speed network-based environment and the daily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occu...

      More than tens of billions of gigabytes of big data have been generated per day. This increase may b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a high-speed network-based environment and the daily distribution of mobile device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occurrence of big data is: SNS, through which platform users share their daily lives and feelings. By using SNS, the main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and how they have changed through Covid-19 can be tracked. In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school life during the pandemic; by conducting social big data mining on ‘Every time’- a social network service designed mainly for college students. The method employed: texts from 'Every tim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semantic analyses. The study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1) the main interests revolving around ‘lectures’, ‘assignments’, ‘part-time jobs’, and ‘concerns’ have changed; (2) The function of ‘Every time’ is not confined to the platform for information exchange only. It also offers emotional support and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value of ‘Every time’ as a source of big data and argues that universities should refer to ‘Every time’ when making education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용,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COVID-19 환경에서의 대학생 이슈 분석"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2021

      2 류재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연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29-136, 2018

      3 정희정,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59-1381, 2020

      4 김보영,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3) : 7-31, 2020

      5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6 정향기,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92-412, 2020

      7 백종남,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 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539-545, 2020

      8 미현, "총여학생회 폐지와 디지털 시대의 반격(backlash)의 역동" 42 : 79-92, 2020

      9 최연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21 : 1-17, 2005

      10 이종임,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혐오-언어’표현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5-37, 2021

      1 박준용,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COVID-19 환경에서의 대학생 이슈 분석"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2021

      2 류재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연관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29-136, 2018

      3 정희정, "코로나위기에서의 온라인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59-1381, 2020

      4 김보영, "코로나19로 인한 비자발적 ‘대학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3) : 7-31, 2020

      5 박은경,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20-338, 2020

      6 정향기,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 (23): 392-412, 2020

      7 백종남,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사태로 인한 대체 방법으로서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대한 대학생의 효능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539-545, 2020

      8 미현, "총여학생회 폐지와 디지털 시대의 반격(backlash)의 역동" 42 : 79-92, 2020

      9 최연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21 : 1-17, 2005

      10 이종임,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의 ‘혐오-언어’표현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5-37, 2021

      11 임다미, "일학습병행제 대학연계형 계약학과의 성과관리체계 개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2 (12): 145-162, 2020

      12 서건수, "인터넷 커뮤니티의 특성과 개인 특성이 사용자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3 (13): 1-22, 2003

      13 임호준, "위드임베딩과 텍스트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강의평가 감정 분석" 1953-1955, 2017

      14 이보민, "온라인에서 공유하는 수강후기" 10 : 90-91, 2019

      15 여민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몰입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71-179, 2016

      16 오보람, "온라인 커뮤니티 인지적 정보특성이 신뢰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6

      17 김성혁, "오락을 목적으로 한 대학생들의 온라인 여가활동 유형별 인터넷 자기효능감, 즐거움 및 고독감 차이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375-394, 2011

      18 공수자, "여자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21-40, 2006

      19 이병찬, "여가공간으로서의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의 정보교류특성, 유용성과 참여지속의도의 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55-64, 2015

      20 장휘숙, "성인초기의 발달과업과 행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2 (22): 19-36, 2009

      21 조은영,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달과업 지향성의 차이-관계와 과업을 중심으로" 1 : 352-353, 2005

      22 최순화, "사이버 커뮤니티의 가치평가" 삼성경제연구연 361-389, 2000

      23 문양호, "사관생도와 대학생의 스트레스 분석 및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485-501, 2006

      24 송태민, "빅데이터 연구=Cracking the big data analysis: 한 권으로 끝내기" 한나래아카데미 2015

      25 유예림,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보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6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 "빅데이터 개론(BIG DATA)" 광문각 2019

      27 나정은, "비대면 교육상황에서의 러닝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 - 자율 공부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15-33, 2020

      28 임수진, "부모애착과 심리적독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2 (12): 349-363, 2015

      29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30 최홍규,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미디어 분석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31 이한샘, "대학생이 인식하는 주요 발달과업과 대학생의 적응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32 유민아, "대학생의 전공 선택 관련 소셜미디어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33 정기화, "대학생의 발달과업 내 자아분화 관련 개인상담 사례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9

      34 이성원, "대학생들의 온-오프라인 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산업 창업경영대학원 2018

      35 최유숙, "대학생 커뮤니티의 혐오표현 양상: C대학 에브리타임 핫게시물을 중심으로"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0) : 33-53, 2019

      36 임신일, "국내·외 시험불안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529-553, 2013

      37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양서원 1998

      38 구교태, "가상 커뮤니티 이용 욕구(needs)와 행위(behavior)에 관한 연구 - 대학생들의 인터넷 카페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30 : 7-34, 2005

      39 Armstrong, A., "The real value of on-line communities" 134-141, 1996

      40 정보배, "SNS의 특성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NS 사용성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41 안지은, "SNS 이용동기와 자기조절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1 (31): 227-243, 2020

      42 Farrior, J. S, "Online Communities, White Paper" Kellogg Graduate School for Management 1999

      43 Wellman, B., "Networks in the Global Village" Westview Press 331-366, 1999

      44 김미화, "K대학의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12 (12): 49-60, 2020

      45 Williams, R. L., "Four smart ways to run online communities" 41 (41): 81-91, 2000

      46 Kruger, R. 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Sage Publication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