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현대 수필론 연구 = (A)study on the theory of the Korean contemporary ess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87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now essay has not won the proper evaluation it deserves though, of which portion has never been outstripped by any other literature genre in the coll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reafter, strayed away from the central issue, it has been dealt as the outside matter. The general acknowledgment on essay has also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but stays still in those of 1930's years. The writer starts the study with the question thought that it is caused from the pheonomenon that there has not been products by systematical study on the essay theories.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at essay be rightly positioned as one of the literature genres by systemizing the contemporary essay theories in Korea.
      In the mean time, because studies on essay theories have been performed occasionally but most have stated repetitive observation with same words and have been nothing but simple theoretical researches, those studies have showed the limitation in the systemization of essay theory in Korea inevitably. Futhermore study on essay theory is efficient when theories connect with works. However, prior studies have not been performed in a harmonizing way. Therefore the writer will systemize the theories by scrutinizing the feature that various theories have been adopted at works and suggest the direction which essay take from now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arch is followed as, firstly, the writer sets the time period from 1930’s to present because, to meet the purpose of diagnosing essay in the present and persueing the rise of essay in the future, a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 creation-development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ssay theory is needed . In the first chapter, the research's objective, method and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re set. The second chapter abstracts the influence given to the Korean essay by Korean classical essay, other Eastern and Western counrtries' essay. It is made by observing the general defini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ose essays. After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essay , the writer regards this as the background of present essay theory's appearance. The third chapter divides essay's structural elements into 'genre theory', 'subject theory', 'form theory'. Each category of relating theorists will be examined diachronically. At the same time how their theories are applied through out their works will be studied. For example, the form theory of essay is designed to study theory on authors and works synthetically . The 'Genre theory' is simplified as 'aesthetic accommodating of super genre' and theorists under this "Genre theory" are Jin-seob Kim and Gwang-seob Kim for 'applying diverse literature genre', Jae-cheon Yun for 'extending the connections among literature genres', Jin-gwan Jung for 'creating the experimental writing techniques'. Next the 'Subject theory' is simplified as 'juxtaposition of lyricism and critical awareness'. Theorists under 'Subject theory' are Hwa Im for 'the organic combination of morality and thought', Tae-gil Kim for 'expression of consciousness about social subject', Baeg-il Jang for' philosophical signification of various material ', Yu-sik Lee for' groping ways through the change of subject'. Finally, 'Form theory' is simplified as 'an aesthetic expression of subject consciousness'. Theorists under 'Form theory' are Gi-rim Kim for 'the realization of critic consciousness through sensible rhetorics', Tae-jun Lee for 'configuration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riting style' Heug-gu Han for 'intention of lyrical expression techniques', O-yeong Yun for 'realization of the internal rhythm of significance and resonance', and Cheon-deuk Pi for 'precise structuring order among simpleness'.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uture of essay. In the first paragraph, the critical points are examined with bisecting them by the form and content, which is needed to overcome errors foun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essay theories. Second paragraph presents the moving trend of persueing ex-centrism and expending the field of essay as the alternative solution on the points at issue. The pages specifically discusse the solutions for the errors.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setting which has imposed limitation on the length of essay and the errors of already established essay theories which made a name, 'unformed literature' as the name of essay literature by the formality perspective. The solutions lead to creating fusion essay, introducing 'the point of view' and freeing essay's length setting. The content mainly discusses the 'argumentation on fictiveness'. Also, a suggestion is made to use the word 'imagination' instead of 'fiction' and reserches current position of essay which is expanding in diverse ways like 'essay on ecology' and 'essay on children'. On the basis of studies stated above, the writer examines that essay is being duely positioned as one of the regular literature genr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번역하기

      Until now essay has not won the proper evaluation it deserves though, of which portion has never been outstripped by any other literature genre in the coll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reafter, strayed away from the central issue, it ha...

      Until now essay has not won the proper evaluation it deserves though, of which portion has never been outstripped by any other literature genre in the collection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reafter, strayed away from the central issue, it has been dealt as the outside matter. The general acknowledgment on essay has also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but stays still in those of 1930's years. The writer starts the study with the question thought that it is caused from the pheonomenon that there has not been products by systematical study on the essay theories. Therefore it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at essay be rightly positioned as one of the literature genres by systemizing the contemporary essay theories in Korea.
      In the mean time, because studies on essay theories have been performed occasionally but most have stated repetitive observation with same words and have been nothing but simple theoretical researches, those studies have showed the limitation in the systemization of essay theory in Korea inevitably. Futhermore study on essay theory is efficient when theories connect with works. However, prior studies have not been performed in a harmonizing way. Therefore the writer will systemize the theories by scrutinizing the feature that various theories have been adopted at works and suggest the direction which essay take from now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search is followed as, firstly, the writer sets the time period from 1930’s to present because, to meet the purpose of diagnosing essay in the present and persueing the rise of essay in the future, a systematic arrangement of the creation-development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ssay theory is needed . In the first chapter, the research's objective, method and the examination of preceding researches are set. The second chapter abstracts the influence given to the Korean essay by Korean classical essay, other Eastern and Western counrtries' essay. It is made by observing the general definition and formation process of those essays. After conside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essay , the writer regards this as the background of present essay theory's appearance. The third chapter divides essay's structural elements into 'genre theory', 'subject theory', 'form theory'. Each category of relating theorists will be examined diachronically. At the same time how their theories are applied through out their works will be studied. For example, the form theory of essay is designed to study theory on authors and works synthetically . The 'Genre theory' is simplified as 'aesthetic accommodating of super genre' and theorists under this "Genre theory" are Jin-seob Kim and Gwang-seob Kim for 'applying diverse literature genre', Jae-cheon Yun for 'extending the connections among literature genres', Jin-gwan Jung for 'creating the experimental writing techniques'. Next the 'Subject theory' is simplified as 'juxtaposition of lyricism and critical awareness'. Theorists under 'Subject theory' are Hwa Im for 'the organic combination of morality and thought', Tae-gil Kim for 'expression of consciousness about social subject', Baeg-il Jang for' philosophical signification of various material ', Yu-sik Lee for' groping ways through the change of subject'. Finally, 'Form theory' is simplified as 'an aesthetic expression of subject consciousness'. Theorists under 'Form theory' are Gi-rim Kim for 'the realization of critic consciousness through sensible rhetorics', Tae-jun Lee for 'configuration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riting style' Heug-gu Han for 'intention of lyrical expression techniques', O-yeong Yun for 'realization of the internal rhythm of significance and resonance', and Cheon-deuk Pi for 'precise structuring order among simpleness'.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future of essay. In the first paragraph, the critical points are examined with bisecting them by the form and content, which is needed to overcome errors found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essay theories. Second paragraph presents the moving trend of persueing ex-centrism and expending the field of essay as the alternative solution on the points at issue. The pages specifically discusse the solutions for the errors.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setting which has imposed limitation on the length of essay and the errors of already established essay theories which made a name, 'unformed literature' as the name of essay literature by the formality perspective. The solutions lead to creating fusion essay, introducing 'the point of view' and freeing essay's length setting. The content mainly discusses the 'argumentation on fictiveness'. Also, a suggestion is made to use the word 'imagination' instead of 'fiction' and reserches current position of essay which is expanding in diverse ways like 'essay on ecology' and 'essay on children'. On the basis of studies stated above, the writer examines that essay is being duely positioned as one of the regular literature genr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수필문학은 한국 현대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음에도,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논점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수필문학에 대한 제반 인식 또한 여전히 1930년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자는 여기에 대한 원인이 수필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현대 수필론을 유형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수필문학의 위상을 제대로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수필론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동어 반복적이고 평면적 이론의 탐색에 그치는 등 한국 수필론을 체계화하는 데에는 미흡한 형편이었다. 더욱이 수필문학 연구는 수필론과 수필작품을 연계하여 고찰했을 때 효과적임에도, 이론과 작품을 아우르는 통합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필문학의 다양한 이론이 작품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수필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근거로 앞으로 수필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시대적 범위는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설정했다. 현재의 수필문학을 진단하고 미래문학을 지향한다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한국 현대 수필론의 생성과 발전 과정의 체계적 정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의 고전수필과 동·서양 수필문학의 일반적 정의와 형성 과정을 살펴 그들이 한국 수필문학에 끼친 영향을 추출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현대 수필론 출현의 배경으로 한국 수필문학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수필문학의 구성 요소를 ‘장르론’, ‘주제론’, ‘형식론’으로 분류하여 통시적으로 해당 이론가의 수필론을 고찰한 후, 그들의 수필론이 작품 속에 어떻게 용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공시적 고찰을 겸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장르론’ 유형은 ‘초장르의 미학적 수용’으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으로 김진섭·김광섭은 ‘다양한 문학 장르의 활용’, 윤재천은 ‘문학 장르 간의 연계성 확장’, 정진권은 ‘실험적 창작 기법의 발안’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주제론’ 유형은 ‘서정성과 비판의식의 병치’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임화는 ‘모럴과 사색의 유기적 결합’, 김태길은 ‘사회적 주제의식의 발로’, 장백일은 ‘다양한 제재의 철학적 의미화’, 이유식은 ‘주제 변혁을 통한 활로 모색’으로 수필론을 추출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형식론’ 유형에서는 ‘주제의식의 미적표현’이라고 집약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김기림은 ‘감각적 수사를 통한 비판의식의 실현’, 이태준은 ‘개성적·예술적 문체의 형상화’, 한흑구는 ‘서정적 표현기법의 지향’, 윤오영은 ‘함축과 여운의 내재적 리듬 구현’, 피천득은 ‘평이함 속의 치밀한 구성 양식’으로 수필론을 요약하여 논의하였다.
      Ⅳ장은 수필문학의 미래를 진단해 보았다. 1절에서는 수필론이 전개되는 과정 중 발견된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쟁점을 형식과 내용으로 이분화하여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쟁점에 대한 대안 제시로 탈중심주의의 추구와 수필문학의 영역 확대를 위한 움직임을 소개했다. 이 장에서 본격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류 극복을 위한 쟁점으로 형식 측면에서 ‘무형식의 문학’이라는 기존의 수필론과 수필 분량의 제한적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퓨전수필의 창작, 시점의 도입, 분량의 자유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내용 측면에서는 ‘허구성 논란’에 대해 고찰하고, ‘허구’라는 용어 대신 ‘상상’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자는 건의와 생태수필, 동수필 등 다각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수필문학의 현 위치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지금까지 수필문학은 한국 현대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음에도,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논점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수필문학에 대...

      지금까지 수필문학은 한국 현대문학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았음에도, 그에 합당한 평가를 받지 못한 채 논점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수필문학에 대한 제반 인식 또한 여전히 1930년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자는 여기에 대한 원인이 수필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현대 수필론을 유형적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수필문학의 위상을 제대로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수필론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동어 반복적이고 평면적 이론의 탐색에 그치는 등 한국 수필론을 체계화하는 데에는 미흡한 형편이었다. 더욱이 수필문학 연구는 수필론과 수필작품을 연계하여 고찰했을 때 효과적임에도, 이론과 작품을 아우르는 통합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필문학의 다양한 이론이 작품에 수용된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수필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근거로 앞으로 수필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시대적 범위는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로 설정했다. 현재의 수필문학을 진단하고 미래문학을 지향한다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한국 현대 수필론의 생성과 발전 과정의 체계적 정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연구목적과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의 고전수필과 동·서양 수필문학의 일반적 정의와 형성 과정을 살펴 그들이 한국 수필문학에 끼친 영향을 추출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현대 수필론 출현의 배경으로 한국 수필문학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수필문학의 구성 요소를 ‘장르론’, ‘주제론’, ‘형식론’으로 분류하여 통시적으로 해당 이론가의 수필론을 고찰한 후, 그들의 수필론이 작품 속에 어떻게 용해되고 있는지에 대한 공시적 고찰을 겸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장르론’ 유형은 ‘초장르의 미학적 수용’으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으로 김진섭·김광섭은 ‘다양한 문학 장르의 활용’, 윤재천은 ‘문학 장르 간의 연계성 확장’, 정진권은 ‘실험적 창작 기법의 발안’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주제론’ 유형은 ‘서정성과 비판의식의 병치’로 집약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임화는 ‘모럴과 사색의 유기적 결합’, 김태길은 ‘사회적 주제의식의 발로’, 장백일은 ‘다양한 제재의 철학적 의미화’, 이유식은 ‘주제 변혁을 통한 활로 모색’으로 수필론을 추출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형식론’ 유형에서는 ‘주제의식의 미적표현’이라고 집약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이론가들의 수필론은 다음과 같다. 김기림은 ‘감각적 수사를 통한 비판의식의 실현’, 이태준은 ‘개성적·예술적 문체의 형상화’, 한흑구는 ‘서정적 표현기법의 지향’, 윤오영은 ‘함축과 여운의 내재적 리듬 구현’, 피천득은 ‘평이함 속의 치밀한 구성 양식’으로 수필론을 요약하여 논의하였다.
      Ⅳ장은 수필문학의 미래를 진단해 보았다. 1절에서는 수필론이 전개되는 과정 중 발견된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쟁점을 형식과 내용으로 이분화하여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쟁점에 대한 대안 제시로 탈중심주의의 추구와 수필문학의 영역 확대를 위한 움직임을 소개했다. 이 장에서 본격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오류 극복을 위한 쟁점으로 형식 측면에서 ‘무형식의 문학’이라는 기존의 수필론과 수필 분량의 제한적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퓨전수필의 창작, 시점의 도입, 분량의 자유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내용 측면에서는 ‘허구성 논란’에 대해 고찰하고, ‘허구’라는 용어 대신 ‘상상’이라는 용어를 채택하자는 건의와 생태수필, 동수필 등 다각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수필문학의 현 위치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 검토 = 3
      • 3. 연구 방법 및 범위 = 9
      • Ⅱ. 한국 현대 수필론의 형성 = 12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 검토 = 3
      • 3. 연구 방법 및 범위 = 9
      • Ⅱ. 한국 현대 수필론의 형성 = 12
      • 1.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배경 = 12
      • 1) 고전수필의 전통 계승 = 12
      • 2) 동·서양 수필문학의 영향 = 21
      • 2. 한국 현대 수필론의 배경 = 35
      • 1)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발생 = 35
      • 2) 한국 현대 수필론의 생성 = 39
      • Ⅲ. 한국 현대 수필론의 양상 = 42
      • 1. 장르론 - 초장르의 미학적 수용 = 42
      • 1) 다양한 문학 장르의 활용 - 김진섭·김광섭 = 43
      • 2) 문학 장르 간의 연계성 확장 - 윤재천 = 55
      • 3) 실험적 창작 기법의 발안 - 정진권 = 64
      • 2. 주제론 - 서정성과 비판의식의 병치 = 68
      • 1) 모럴과 사색의 유기적 결합 - 임화 = 69
      • 2) 사회적 주제의식의 발로 - 김태길 = 74
      • 3) 다양한 제재의 철학적 의미화 - 장백일 = 79
      • 4) 주제 변혁을 통한 활로 모색 - 이유식 = 84
      • 3. 형식론 - 주제의식의 미적 표현 = 90
      • 1) 감각적 수사법의 실현 - 김기림 = 92
      • 2) 개성적·예술적 문체의 형상화 - 이태준 = 98
      • 3) 서정적 표현 기법의 발현 - 한흑구 = 103
      • 4) 함축과 여운의 내재적 리듬 구현 - 윤오영 = 109
      • 5) 평이함 속의 치밀한 구성 양식 - 피천득 = 116
      • Ⅳ. 한국 현대 수필문학의 미래 = 122
      • 1. 한국 현대 수필론의 오류 극복을 위한 쟁점 = 122
      • 1) 무형식론에 대한 대응 = 122
      • 2) 허구론 논쟁 = 131
      • 2. 미래문학으로서의 위상 제고 = 150
      • 1) 탈중심주의를 통한 수필문학의 장르 구축 = 150
      • 2) 주제의 확장을 통한 수필문학의 영역 확대 = 160
      • Ⅴ. 결론 = 180
      • Ⅵ. 참고 문헌 = 184
      • Abstract = 1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