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지기(明治期) 국민교육과 전쟁 · 전쟁영웅 - 창가(唱歌)교육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52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goal of early Meiji education including shōka education lay on founding common national ideology as formation of national polity and on making loyal subjects, after mid-Meiji era, that is the first Sino-Japanese War period, going through so...

      While the goal of early Meiji education including shōka education lay on founding common national ideology as formation of national polity and on making loyal subjects, after mid-Meiji era, that is the first Sino-Japanese War period, going through some wars, loyalty and patriotism appearing in texts for shōka education shows that shōka was used a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ool to spread stories of militarism and loyal courage for enhancing loyal and patriotic ideology and fighting spirit. Also, shōka education took important roles not only in-class education through textbooks but also in various sites for enhancing fighting spirit and patriotism, such as militaristic exercise, athletic meeting, and so on. The original goal for which shōka was adopted into modern Japanese education system was to have perceptional feeling vigorous and mind delighted, to move mind happy, and to brace up good nature. However, shōka education in Meiji era was shifted from the early period for moral education focussing on emotional purity to the late period for educational tool to enhance loyalty, patriotism and fighting spirit. Needless to say, such a trend till the war defeat in 1945 became more severe with new media like radio broadcast and record distribution. This article, limiting its objective within Meiji era and mostly concerning shōka education, examines how education, especially shōka education, was related to establishing Japan's ideological ident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imperialism and militarism soa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국체(國體)의 형성과 국민교육
      • Ⅲ. 덕목교육(德目敎育)과 모리 아리노리(森有礼)
      • Ⅳ. 메이지 전기 창가(唱歌)교육의 특징
      • Ⅴ. 메이지기 후기 창가(唱歌)교육과 전쟁·전쟁영웅
      • Ⅰ. 머리말
      • Ⅱ. 국체(國體)의 형성과 국민교육
      • Ⅲ. 덕목교육(德目敎育)과 모리 아리노리(森有礼)
      • Ⅳ. 메이지 전기 창가(唱歌)교육의 특징
      • Ⅴ. 메이지기 후기 창가(唱歌)교육과 전쟁·전쟁영웅
      • VI. 맺음말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가미겐, "「戦争体験」と近現代日本社会" 일본연구소 0 (0): 5-21, 2010

      2 "「唱歌」という奇跡 十二の物語" 文藝春秋 2003

      3 윤종혁, "한국과 일본의 학제 변천 과정 비교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4 박규태, "일본애니메이션 속의 전쟁표상" 일본연구소 0 (0): 43-63, 2010

      5 오성철, "일본교육의 사회사" 경인문화사 2011

      6 이건상, "일본 교육의 역사" 논형 2011

      7 이권희, "메이지(明治) 후기 국민교육에 관한 고찰 :창가(唱歌)를 통한 신민(臣民)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19 (19): 109-140, 2012

      8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학제(學制)의 변천과 창가(唱歌)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1) : 159-191, 2011

      9 이권희, "근대일본의 ‘소리문화’와 창가(唱歌)-창가의 생성과 ‘음악조사계(音樂取調掛)’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9) : 107-137, 2010

      10 이권희, "근대기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창가(唱歌)-문부성창가(文部省唱歌)를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77 (77): 283-303, 2011

      1 노가미겐, "「戦争体験」と近現代日本社会" 일본연구소 0 (0): 5-21, 2010

      2 "「唱歌」という奇跡 十二の物語" 文藝春秋 2003

      3 윤종혁, "한국과 일본의 학제 변천 과정 비교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4 박규태, "일본애니메이션 속의 전쟁표상" 일본연구소 0 (0): 43-63, 2010

      5 오성철, "일본교육의 사회사" 경인문화사 2011

      6 이건상, "일본 교육의 역사" 논형 2011

      7 이권희, "메이지(明治) 후기 국민교육에 관한 고찰 :창가(唱歌)를 통한 신민(臣民)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19 (19): 109-140, 2012

      8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학제(學制)의 변천과 창가(唱歌)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1) : 159-191, 2011

      9 이권희, "근대일본의 ‘소리문화’와 창가(唱歌)-창가의 생성과 ‘음악조사계(音樂取調掛)’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19) : 107-137, 2010

      10 이권희, "근대기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과 창가(唱歌)-문부성창가(文部省唱歌)를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77 (77): 283-303, 2011

      11 한용진, "근대 이후 일본의 교육" 문 2010

      12 東京芸術大学音楽取調掛研究班, "音樂敎育成立への軌跡" 音楽之友社 1976

      13 渡辺裕, "歌う国民" 中公新書 2010

      14 東京芸術大学百年史編集委員会, "東京藝術大學百年史" 音楽之友社 1987

      15 田中彰, "明治維新と西洋文明" 岩波書店 2003

      16 海後宗臣, "日本教科書大系 近代編 第25巻 唱歌" 講談社 1965

      17 堀内敬三, "日本唱歌集" 岩波文庫 1958

      18 井上武士, "日本唱歌全集" 音楽之友社 1972

      19 "日本の唱歌(中)大正昭和編" 講談社文庫 1977

      20 金田一春彦, "日本の唱歌(上)明治編" 講談社文庫 1977

      21 中村紀久二, "教科書の社会史 ー明治維新から敗戦まで" 岩波新書 1992

      22 "戦争と教育" 岩波書店 1997

      23 堀内敬三, "定本 日本の唱歌" 定本 日本の唱歌 1970

      24 "學制百年史 資料編" 文部省 1972

      25 "學制百年史 記述編" 文部省 1972

      26 大久保利謙, "大久保俊謙歴史著作集4明治維新と教育" 吉川弘文舘 1987

      27 奥中康人, "国家と音楽" 春秋社 2008

      28 猪瀬直樹, "唱歌誕生" 小学館 2002

      29 山住正巳, "唱歌教育成立過程の研究" 東京大学出版会 1967

      30 山東功, "唱歌と国語" 講談社新書 2008

      31 安田寛, "唱歌と十字架" 音楽之友社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8 0.9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