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 Analysis of Career Interrupted Female Baby Boomer’s Return to the Workfor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0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 양상을 유형화하고 노동시장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가구특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베이비부머들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동태적인 분석을 행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사건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을 통하여 고용상태 변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구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에 따른 노동시장 복귀여부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졸 이상 학력 여성들이 경력단절 경험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은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사건배열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형태를 유형화한 결과 상용직 경력유지형, 지속적 경단 후 불안정노동형, 자영업 이후 미취업형, 지속적 무급가족종사자형, 장기미취업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탐색한 결과 교육년수, 배우자 소득, 초산연령, 출산 전 직종 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의 대표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노동시장 복귀유형별 고용지원 강화, 중고령 여성 적합 직종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고용지속을 위한 사후관리의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 양상을 유형화하고 노동시장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가구특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 양상을 유형화하고 노동시장 특성, 인구학적 특성, 그리고 가구특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 경험을 중심으로 여성베이비부머들의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동태적인 분석을 행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사건배열분석(sequence analysis)을 통하여 고용상태 변화에 대한 체계적 이해의 구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에 따른 노동시장 복귀여부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졸 이상 학력 여성들이 경력단절 경험 이후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은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사건배열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형태를 유형화한 결과 상용직 경력유지형, 지속적 경단 후 불안정노동형, 자영업 이후 미취업형, 지속적 무급가족종사자형, 장기미취업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다항로짓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복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을 탐색한 결과 교육년수, 배우자 소득, 초산연령, 출산 전 직종 등이 노동시장 복귀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여성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복귀의 대표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노동시장 복귀유형별 고용지원 강화, 중고령 여성 적합 직종 발굴 및 일자리 창출, 고용지속을 위한 사후관리의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희, "한국의 고령노동: 경제활동과 고용구조의 장기적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김종숙, "한국여성의 노동이동" 한국여성개발원 2003

      3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회 36 (36): 6-29, 2002

      4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5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한국노동연구원"

      7 나일주,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151-174, 2008

      8 "한경경제용어사전"

      9 장지연,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미국 기혼여성의 경우" 20 (20): 5-42, 1997

      10 윤미례, "출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상황,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6 (26): 153-185, 2016

      1 이철희, "한국의 고령노동: 경제활동과 고용구조의 장기적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2 김종숙, "한국여성의 노동이동" 한국여성개발원 2003

      3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회 36 (36): 6-29, 2002

      4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5 배은경,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한국노동연구원"

      7 나일주,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대비를 위한 정책 방향:국가인적자원개발측면에서"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151-174, 2008

      8 "한경경제용어사전"

      9 장지연,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미국 기혼여성의 경우" 20 (20): 5-42, 1997

      10 윤미례, "출산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상황, 유형과 영향 요인 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6 (26): 153-185, 2016

      11 서미경, "중・고령기 여성의 재취업 경험과 생애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9 (39): 199-226, 2012

      12 이여봉,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 베이비붐 세대와 이전세대" 한국가족학회 24 (24): 32-71, 2012

      13 김기홍, "중고령층 전직지원 및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및 전달체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4 신동균, "중고령 남성 근로자들의 점진적 은퇴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9 (9): 1-41, 2009

      15 장지연, "중·고령자 근로생애사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16 박창제, "중 · 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75-297, 2008

      17 안주엽, "인적자본지수 개발연구: 유효고용률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3

      18 김영옥,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1998

      19 강우란, "여성인력과 기업경쟁력" 삼성경제연구소 334-, 2002

      20 김가율,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노동시장행위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27, 2007

      21 이재열,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19 (19): 5-44, 1996

      22 성효용, "여성의 미취업탈출요인에 대한 연구: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65 (65): 117-148, 2003

      23 최강식, "여성의 노동시장경력 단절현상과 대책" 7 (7): 381-407, 1997

      24 민현주,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한국인구학회 34 (34): 53-72, 2011

      25 이온죽, "여성·가족·사회" 세영사 1999

      26 조성남, "에이지붐 시대: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27 장지연, "소득계층별 여성 취업의 변화: 배우자 소득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노동학회 20 (20): 219-248, 2014

      28 서미경, "비취업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취업의사 결정요인 비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3) : 125-173, 2011

      29 유병규, "베이비붐세대 고용의 특징과 시사점-베이비부머 은퇴 줄여야 고용률 70% 가능하다" 현대경제연구원 13 (13): 537-, 2013

      30 박시내, "베이비붐 세대의 현황 및 은퇴효과 분석" 통계개발원 2010

      31 정호성,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주요국 (미·일) 비교 포함-" 삼성경제연구소 2010

      32 최원석, "베이비부머세대 여성의 취업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299-327, 2014

      33 배진한, "대전지역 베이비붐세대 일자리창출 방안" 대절발전연구원 2013

      34 황수경, "단시간 근로와 여성인력 활용" 한국노동연구원 2004

      35 김신영, "노령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판별요인 분석: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통계청 18 (18): 16-33, 2013

      36 김지경,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37 구명숙,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53-167, 2005

      38 조혜선,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요인: 가족과 노동의 접합" 한국사회학회 36 (36): 6-24, 2002

      39 배은경,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산업화 시기 한국 어머니의 모성 경험: 경제적 기여와 돌봄노동, 친족관계 관리의 결합" 한국여성연구소 8 (8): 69-123, 2008

      40 김병덕, "고령화 진전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금융연구원 2011

      41 박경숙,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출판 2003

      42 김종숙, "경력단절의 임금손실 추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43 이혜원, "결혼과 출산으로 인한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 변화" 재정포럼 39-58, 2014

      44 이현송, "가족의 생애주기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30 : 759-777, 1996

      45 해럴드경제, "‘베이비부머’여성들도 ‘저질 일자리’로 내몰린다..경제침체 장기의 어둔 그늘"

      46 Brinton, M. C.,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37, 2001

      47 Desai, S.,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56 : 551-566, 1991

      48 Heckman, J. J., "What has been learned about labor supply in the past twenty years?" 83 (83): 116-121, 1993

      49 이철선, "VIP report: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정책적 대응 방안" 현대경제연구원 407-, 2009

      50 French, E., "The effects of health, wealth, and wages on labour supply and retirement bahaviour" 72 (72): 395-427, 2005

      51 Bound, J., "The dynamic effects of health on the labor force transitions of older workers" 6 (6): 179-202, 1999

      52 Connelly, R., "The Effect of Child Care Costs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74 : 83-90, 1992

      53 Gustman, A. L., "The 1983 social security reforms and labor supply adjustments of older individuals in the long run" 3 (3): 237-253, 1983

      54 Alison, Paul D., "Survival Analysis Using the SAS System" SAS Institute Inc 1995

      55 Barnes S. A., "Multiple imputation techniques in small sample clinical trials" 25 (25): 233-245, 2005

      56 Tews, H. P., "Lebenslagen im Strukturwandel des Alters" Westdeutscher Verlag 15-42, 1993

      57 Chang, Jiyeun,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Childbirth of Married Women" University of Wisconsin 1997

      58 Jang, S. Y.,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 women" 74 (74): 23-51, 2005

      59 Hakim, C., "Key Issues in Women's Work: Female heterogeneity and the Polarisation of Women's Employment" Athlone 1996

      60 Klerman, J. A.,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36 (36): 145-155, 1999

      61 Greenstein, T., "Human Capital, Marital and Birth Timing, and the Postnatal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10 (10): 359-382, 1989

      62 Lindeboom, M., "Health and work of the elderly: subjective health measures, reporting errors and endogene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work" 24 (24): 1024-1046, 2009

      63 Glass, J. L.,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76 (76): 401-435, 1998

      64 Evandrou, M., "Family Care, Work and Quality of Life: Findings from the ESRC Project" ESRC SAGE Research Group 2003

      65 Lee, Chulhee, "Employment Status, Quality of Matching, and Retirement in Korea: Evidence from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6 : 59-83, 2013

      66 Dewit, D., "Determinants of the Time of Labor Force Transition among Ever-Married, Ever-Worked, Women in Canada" University of West Ontario 1997

      67 Felmlee, D. H, "Causes and Consequences of Women's Employment Discontinuity" 22 (22): 167-187, 1995

      68 Even, W. E., "Career Interruptions Following Childbirth" 5 : 255-277, 1987

      69 Bianchi, S., "Balancing act: Motherhood, marriage, and employment among American women" Russell Sage Foundation 1996

      70 Nakamura, A., "An Event Analysis of Female Labor Supply and Children" 11 (11): 1-71, 1991

      71 Barrow, L, "An Analysis of Women's Return-To-Work Decisions Following First Birth" 37 (37): 432-451, 1999

      72 Walker, A, "A strategy for active ageing" 55 (55): 121-139, 2002

      73 Calinski. T., "A dendrite method for cluster analysis" 3 : 1-27, 1974

      74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75 연합뉴스, "40·50대 중년여성 일터로 나왔다... 10명 중 6명, 사상 최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