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울’ 同訓字의 意味 考察 =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with the Meaning of ‘Doul’(Help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7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meaning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carry the same meaning. In the light of semantics,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s become ambiguous but diversifi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se characters. The fact t...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meaning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carry the same meaning. In the light of semantics, the meanings of the Characters become ambiguous but diversifi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se characters. The fact that there can be several meanings in a form imply that,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there can be differences in meaning. Thus, we look into these Characters, showing the differences in meaning among them. In order to do this, adopting 2,355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selected by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we will consider how many Characters show this phenomenon,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meaning among the Characters which have the meaning of ‘Doul’(Helping), namely, ‘bu(扶), weon(援), cwa(佐), co(助), chan(贊), ho(護), bo(輔), bi(毗), yang(襄), u(佑), ik(翊), pil(弼)’.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本攷는 同訓字 漢字들의 意味 차이를 살펴보는 데 그 目的을 두었다. 실제 意味論的으로 보아 同訓字의 발생은 의미의 重義性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同訓 現象이 많다는 것은 그만...

      本攷는 同訓字 漢字들의 意味 차이를 살펴보는 데 그 目的을 두었다. 실제 意味論的으로 보아 同訓字의 발생은 의미의 重義性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同訓 現象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語彙 意味의 分化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의미와 형태가 一對一 對應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형태에 여러 의미가 대응된다는 것은 그만큼 그 漢字들 간에 의미적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의미 영역에서는 差異가 있을 수 있는 同訓字 한자들을 연구하여, 그들 간의 의미적 차이를 규명해 내는 것의 意義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말에 사용되는 모든 同訓字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우선 韓國語文敎育硏究會에서 배정한 2級用 漢字 2,355字에 관한 同訓字의 실태와 ‘도울’의 訓을 가진 漢字 ‘扶, 援, 佐, 助, 贊, 護, 輔, 毗, 襄, 佑, 翊, 弼’의 의미 자질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果珍, "한자한자어 편람" 경상남도 교육연구원 1997

      2 南廣祐, "韓國에 있어서의 漢字問題에 대한 硏究" 國語硏究所 1987

      3 "韓國語 訓釋語彙 硏究" 이화문화사 1989

      4 null, "韓國漢字音訓字典 收錄漢字中 常用漢字硏究 Ⅰ" 仁荷大 人文科學硏究所 10 : 1984

      5 "韓國漢字語辭典"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6 "諺解의 漢字 새김 硏究" 1990

      7 南廣祐, "訓蒙字會의 音訓硏究" 1966

      8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的 硏究" 1987

      9 金鎭奎, "訓蒙字會의 同訓語 硏究" 1989

      10 "訓蒙字會 身體部 字訓 硏究" 1988

      1 李果珍, "한자한자어 편람" 경상남도 교육연구원 1997

      2 南廣祐, "韓國에 있어서의 漢字問題에 대한 硏究" 國語硏究所 1987

      3 "韓國語 訓釋語彙 硏究" 이화문화사 1989

      4 null, "韓國漢字音訓字典 收錄漢字中 常用漢字硏究 Ⅰ" 仁荷大 人文科學硏究所 10 : 1984

      5 "韓國漢字語辭典"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6 "諺解의 漢字 새김 硏究" 1990

      7 南廣祐, "訓蒙字會의 音訓硏究" 1966

      8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的 硏究" 1987

      9 金鎭奎, "訓蒙字會의 同訓語 硏究" 1989

      10 "訓蒙字會 身體部 字訓 硏究" 1988

      11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12 李大周, "漢字의 音訓硏究" 1982

      13 李基文, "漢字의 釋에 관한 硏究" 서울대 11집 : 1972

      14 "漢字音의 異表記" 韓國國語敎育硏究會 7576 : 1991

      15 全在昊, "漢字訓의 變遷과 語彙論的 位相" 경북대 1988

      16 "漢字訓 硏究"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83

      17 崔世和, "漢字敎本三書硏究" 태학사 1993

      18 null, "漢字學習書에 나타난 漢字訓 <집>攷"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81

      19 南基卓, "漢字學習書에 나타난 漢字訓 <글월>攷"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80

      20 null, "漢字 새김의 現實化 問題" 국어연구소 1989

      21 李勳鍾, "漢字 訓音의 變遷硏究" <建國大學術誌> 제19집 建國大 1975

      22 國立國語硏究院, "標準國語大辭典" 斗山東亞出版社 1999

      23 陳泰夏, "東方文字의 뿌리" 이화문화출판사 1996

      24 "東北亞 시대와 漢字漢字敎育"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996

      25 "新字典의 새김말에 대하여" 曉星女大 1976

      26 李應百, "文敎部制定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代表訓音設定 試案" 탑출판사 1986

      27 "敎學 古語辭典" 敎學社 1997

      28 "字類註釋 硏究" 建國大 28집 : 145-164, 1996

      29 "國語字釋硏究" 太學社 1993

      30 南廣祐, "古今漢韓字典" 仁荷大出版部 1995

      31 "千字文 字釋硏究" 1984

      32 鄭愚相,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의 選定과 標準訓音" 傳統文化硏究會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