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소장일본주의와 증거분리제출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2007년 한국 형사소송법은 검사가 공소제기 후에 가지고 있는 증거를 피고인에게 공개하는 증거개시제도를 도입하였다. 국가기관이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42538
이윤제 (아주대학교)
2015
Korean
증거개시 ; 기록·열람등사권 ; 무기평등 ; 공소장일본주의 ; 증거분리제출 ; Discovery ; Evidence Disclosure ; Exculpatory Evidence ; Brady Rule ; Due Process
KCI등재
학술저널
71-90(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소장일본주의와 증거분리제출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2007년 한국 형사소송법은 검사가 공소제기 후에 가지고 있는 증거를 피고인에게 공개하는 증거개시제도를 도입하였다. 국가기관이자 ...
공소장일본주의와 증거분리제출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2007년 한국 형사소송법은 검사가 공소제기 후에 가지고 있는 증거를 피고인에게 공개하는 증거개시제도를 도입하였다. 국가기관이자 법률전문가인 검사는 피고인에 비하여 월등히 우월한 증거수집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고인은 검사가 수사단계에서 수집한 증거들의 내용을 알지 못한 채 제대로 된 변론준비를 할 수 없다. 특히, 이념적으로는 당사자주의를 강화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여전히 수사단계에서 대부분의 증거자료가 수집되고 이를 기초로 한 재판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에서 증거개시제도는 피고인의 방어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수단으로 기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증거개시의 대상이 제한적인 점, 검사가 증거개시를 거부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 사유가 포괄적인 점, 법원의 증거개시결정에 대하여 검사가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에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이 해당 증거신청을 할 수 없는 정도에 그치고 있는 점 등 현행 제도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검사가 증거개시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지고 이를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증거개시제도는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기능을 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첫째는 현행 법제도를 개선하여 제도 자체의 하자를 보완하고, 둘째는 검사의 객관의무를 내면화하는 직업윤리의 강화에 의하여 검사에 의한 자발적 증거개시를 유도하고, 셋째는 검사의 업무에서 증거개시 이행의 비중을 높임과 동시에 검사의 인사평정에 이를 반영함으로써 검사가 이를 충실히 이행하도록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s criminal justice system was said to belong to traditional continental law system until it has recently introduced many features of adversarial system into the criminal procedure. Before the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in 2007, the K...
South Korea’s criminal justice system was said to belong to traditional continental law system until it has recently introduced many features of adversarial system into the criminal procedure. Before the revision of criminal procedure in 2007,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hereinafter the “ACT”) did not obligate the prosecution to provide defense with evidence which it held after indictment of crimes. Nonetheless, the defense could access to evidence via the court because the prosecution submitted to the court all relevant material which they had in its hands along its indictment of the crime. Since the court made a decision that it would not take any evidence from the prosecution except for the indictment paper at the outset of trial, in 2007, the ACT was revised to provide defense with the way the defense has access to the materials which the prosecution holds before the prosecution submits them into evidence. The ACT Article 266-3 (Inspection and Copying of Documents and Articles in Custody of Public Prosecutor Subsequent to Indictment) provides that a defendant or his defense counsel may file an application with the prosecutor to ask the prosecutor to allow him to inspect or copy, or deliver in writing, a list of the documents or articles relating to the case indicted (hereinafter “documents”) and the certain documents that are likely to have influence over admission of indicted facts or sentencing. The documents includes the following: 1. Documents that the public prosecutor would produce as admissible evidence; 2. A paper that describes the names of persons whom the public prosecutor plans to produce as witnesses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case or documents that contain statements made prior to trial; 3. Documents relating to the weight of evidence of the paper or documents under subparagraph 1 or 2; and 4. Documents relating to arguments made by the defendant or his defense counsel on matters of law and fact (including the records of related criminal trial for which adjudication is finally closed and the records of cases for which non-prosecution has been disposed of). Critics point out that this newly adopted discovery system does not fully ensure fair, full and timely disclosure of information favorable to an accused so that it fails to achieve the goal of fair trial and due process of law in a criminal action. Many scholars agreed that the scope of disclosure is too narrow and the stipulations of exception for disclosure is too vague and abstract resulting in the prosecution’s possible abuse. It is desirable to eventually revise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into such a form more favorable to defense just as ABA Model Rules of Professional Conduct Rule 3.8(Special Responsibilities of a Prosecutor) which provides that “The prosecutor in a criminal case shall make timely disclosure to the defense of all evidence or information known to the prosecutor that tends to negate the guilt of the accused or mitigates the offense, and, in connection with sentencing, disclose to the defense and to the tribunal all unprivileged mitigating information known to the prosecutor, except when the prosecutor is relieved of this responsibility by a protective order of the tribunal.” While I agree with the majority of scholars, I also suggest that we should emphasize prosecutors’ ethical aspect such as obligation of objectiveness in applying the evidence disclosure for the purpose of actual benefit of defense. Last but not least, there should be various incentives for prosecutors to perform faithfully their duties of evidence disclosure as prescribed in the Ac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경환, "형사소송법상 증거개시제도에 대한 법적 소고 -헌법적 평가 및 미국제도와 비교하여-" 한양법학회 (25) : 163-188, 2009
2 최승록, "증거개시제도의 시행상 문제와 개선방안, 형사재판의 쟁점과 과제" 사법발전재단 2008
3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3판" 법문사 2011
4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박영사 2009
5 법원행정처, "새로 쓰는 증거조사" 2007
6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형사(I)" 2008
7 이윤제, "미국과 한국의 법조윤리규범에 대한 비교 연구" 법조윤리협의회 2009
8 이호중, "검사의 증거개시의무와 수사기록 열람․등사의 거부에 대한 규제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1 (21): 195-226, 2009
9 심희기, "개정형사소송법의 증거개시 조항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20 (20): 311-334, 2008
10 이완규, "개정 형사소송법상 증거개시 제도"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18 : 2007
1 황경환, "형사소송법상 증거개시제도에 대한 법적 소고 -헌법적 평가 및 미국제도와 비교하여-" 한양법학회 (25) : 163-188, 2009
2 최승록, "증거개시제도의 시행상 문제와 개선방안, 형사재판의 쟁점과 과제" 사법발전재단 2008
3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제3판" 법문사 2011
4 이재상, "신형사소송법" 박영사 2009
5 법원행정처, "새로 쓰는 증거조사" 2007
6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형사(I)" 2008
7 이윤제, "미국과 한국의 법조윤리규범에 대한 비교 연구" 법조윤리협의회 2009
8 이호중, "검사의 증거개시의무와 수사기록 열람․등사의 거부에 대한 규제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1 (21): 195-226, 2009
9 심희기, "개정형사소송법의 증거개시 조항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20 (20): 311-334, 2008
10 이완규, "개정 형사소송법상 증거개시 제도"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18 : 2007
11 법무부, "개정 형사소송법" 2007
12 김희균, "美國法上 證據開示制度의 理論과 實際:美聯邦刑事訴訟 實務를 中心으로" 한국법학원 (87) : 159-173, 2005
13 손우태, "刑事訴訟法上 證據開示制度" 법학연구소 34 (34): 199-218, 2010
14 Basic Principles on the Role of Lawyers, "Eighth United Nations Congress on the Prevention of Crime and the Treatment of Offenders" 1990
15 Otto Triffterer, "Commentary o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C.H.Beck·Hart·Nomos 2008
임금피크제의 도입에 따른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에 관한 소고
불사용 취소심판에 있어서 결합상표의 동일성 범위에 대한 판단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의 헌법적 기능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 | 0.679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