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공간구조에 대한 이해없이는 교통이나 도시 등의 효율적인 계획 수립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기종점 통행량 분석을 통해 과거 10년간 수도권의 공간구조 변화를 규명하는 것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61942
2009
Korean
학술저널
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의 공간구조에 대한 이해없이는 교통이나 도시 등의 효율적인 계획 수립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기종점 통행량 분석을 통해 과거 10년간 수도권의 공간구조 변화를 규명하는 것을 ...
수도권의 공간구조에 대한 이해없이는 교통이나 도시 등의 효율적인 계획 수립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기종점 통행량 분석을 통해 과거 10년간 수도권의 공간구조 변화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자료는 1996년과 2006년 실시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 조사의 통행량과 통행자의 기초 속성(연령, 직업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기초자료인 수도권 통행량 자료를 노드와 링크로 단순화시켰을 때, 나타나는 연결 네트워크 형태는 소수의 지역에 통행이 집중되는 멱함수 형태를 갖는 복잡계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며, 급변하는 수도권 공간구조는 이미 '창발'을 거쳤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본 연구 대상은 통행 중에서도 학원통행, 통근통행, 쇼핑통행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원통행은 학생별, 통근통행은 직종별, 쇼핑통행은 연령별로 세분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원통행은 1996년에 비해 2006년에 사교육 등의 증가로 인해 모든 계층의 통행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외부로 통행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나타났다. 계층별로 살펴보면, 초등학생보다는 중학생,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의 학원통행 네트워크의 링크 개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년이 될수록 지역외부 통행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통행권을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는 일정부분 지역내 통행권을 형성하고 있으나 중학생의 경우는 서울 집중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다가 고등학생에서는 경기도의 통행권이 아예 사라지고 모두 서울 통행권으로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나 학원통행의 서울집중이 매우 심각하게 분석되었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과거에 비해 학원통행의 서울집중은 모든 학생계층에서 점차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통행의 경우는 행정/사무/관리직과 전문/기술직이 비슷한 수준에서 네트워크의 중심화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판매직과 서비스직이 높았으며, 생산/운수/일반노무직과 농수산업직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즉, 사무직의 성격이 강한 직종일수록 특정 지역에 집중되며, 지역간 통행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그렇지 않은 직종일수록 지역집중과 상호 통행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집중현상과 맥락을 같이 한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1996년에 비해 2006년으로 올수록 미약하지만 경기도 소수의 통행권이 확대되어 서울 집중현상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추세는 행정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판매직 순이었으며, 전문/기술직과 서비스직은 그 효과가 적었다. 반면, 농수산업직의 경우 서울 집중현상이 다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통행의 경우, 타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40대 이상 계층에서 지역간 통행이 활발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최근에는 그 추세가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계층의 쇼핑통행에서도 지역간 통행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추세는 점차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제외한 계층에서는 지역간 통행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권 측면에서 살펴보면, 타목적통행에 비해 지역내 통행권 형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와 30대, 40대에서는 서울 집중보다는 분산 현상이 관찰되어 경기도 자체 쇼핑통행권이 관찰되었으며, 20대 계층의 경우는 서울 집중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연령대에서는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지난 10년간의 수도권의 공간구조는 전반적으로는 광역화가 진행되었지만, 지역 거점 형성은 아직은 미약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람직한 공간구조 형태를 다핵연계형 공간구조라고 할 때, 경기도내 거점도시 형성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계획과 교통계획이 병행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도시계획의 경우는 경기도내 자족성 있는 특화된 도시 형성을 추진해야 하며, 교통계획은 기존의 방사형 계획이 아닌 경기도내 지역간을 연계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수도권 규제로 인한 고립되어 가는 경기도 시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규제정책은 재검토되어야 하며, 최소한 지역간 교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대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공간구조의 해석 및 이를 통한 정책 수립은 일률적이 아닌 통행목적별, 통행계층별 등의 맞춤식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 it is hard to establish efficient plan for transportation and cities. Given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xtent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 over past...
Without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 it is hard to establish efficient plan for transportation and cities.
Given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xtent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metropolitan area over past ten years by analyzing commuting pattern. To analyze, we use the O/D data of residents in metropolitan area and characteristics of commuters(age, job, etc) at two observation points of 1996 and 2006.
Drawing the commuting pattern in metropolitan area,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with node and link, the form of network link expresses characteristic of the complexity with power law. It reveal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may be have emergence in terms of rapid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This study analyzes the commuting pattern for cram school, work and shopping commuters only. Each pattern is analyzed by breaking down into students for cram school commuters, job types for work commuters and ages for shopping commuters. The result of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number of cram school commuters in 2006 eclipses that in 1996, attributable to increased private education and also the cram school commuters to outlying areas are often found. As the linked network shows, the network link for junior school students who commute outnumber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network link for high school students outnumber that of junior school students who commute. Accordingly, this tells us that senior leve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ommute to outlying areas. By analyzing the commuting patter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cram school, they commute within limited area. However, it is observed that the commuting pattern of students for cram school shows high concentration on Seoul area as the commuting pattern of junior school students for cram school shows increasing concentration on Seoul area and the commuting pattern of high school students for cram school shows the concentration on Seoul area excluding Gyeonggi area. Additionally, the number of student commuters of all levels for cram school to Seoul is continued to increase over past years.
For work commuters, the administrative/office/management workers and professional/tech workers show similar pattern of high centralization in network and the workers in sales area and the next is those in service area. The production/transportation/laborer and worker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area are less likely to make centralization in network or to commute. Accordingly, the office jobs are high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and likely to commute between areas and by contrast, other jobs are less likely to. This is similar to the trend of concentrating on Seoul.
Observed by years, commuters to Gyeonggi area have been slightly increased between 1996 and 2006 so that the commuting trend of concentrating on Seoul is relieved somewhat. The administrative/office/management workers show this commuting trend most often and then the workers in sales area follows. By contrast, the commuting trend of concentrating on Seoul is slightly increased in the workers in agricultural and fishery area over the years.
For shopping commuters, 40years old or older people, who are economically better off and have more spare time than others, are more likely to commute between areas and this commuting trend is decreasingly shown.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people in other ages is less likely to commute between areas.
The analysis of commuting trend reveals that shopping commuters are more likely to commute actively than other commuters within the region. The observation suggests that people in 10s, 30s and 40s show the dispersion trend rather than the trend of concentration on Seoul and they also commute to Gyeonggi area. However, most of shopping commuters in 20s concentrate on commuting to Seoul. No significant change is revealed in the commuting trend of p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