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려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2 오기승, "원대 요동 여원(麗元) 접경에서의 요양행성 역할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07) : 79-110, 2018
3 김윤곤, "삼별초정부의 대몽항전과 국내외 정세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17) : 61-102, 2004
4 전영준,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194-220, 2015
5 강봉룡,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동양사학회 (115) : 55-99, 2011
6 임경희, "마도3호선 목간의 현황과 판독" 한국목간학회 8 : 2011
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도서문화연구원 (37) : 83-114, 2011
8 김명진, "고려 삼별초의 진도 입도와 진도용장성전투 검토" 대구사학회 134 : 169-201, 2019
9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10 김당택, "高麗의 武人政權" 국학자료원 1999
1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려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2 오기승, "원대 요동 여원(麗元) 접경에서의 요양행성 역할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07) : 79-110, 2018
3 김윤곤, "삼별초정부의 대몽항전과 국내외 정세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17) : 61-102, 2004
4 전영준,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194-220, 2015
5 강봉룡,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동양사학회 (115) : 55-99, 2011
6 임경희, "마도3호선 목간의 현황과 판독" 한국목간학회 8 : 2011
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도서문화연구원 (37) : 83-114, 2011
8 김명진, "고려 삼별초의 진도 입도와 진도용장성전투 검토" 대구사학회 134 : 169-201, 2019
9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10 김당택, "高麗의 武人政權" 국학자료원 1999
11 "高麗史節要"
12 "高麗史"
13 강재구,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의 추이와 東寧府의 설치 목적" 한국중세사학회 (47) : 397-427, 2016
14 신안식, "高麗 元宗 11년(1270)三別抄抗爭의 背景" 명지사학회 13 : 2002
15 강재광, "蒙古侵入에 대한 崔氏政權의 外交的 對應" 경인문화사 2011
16 고용규, "珍島 龍藏城의 구조와 성격" 3 : 2018
17 이정란, "江華의 三別抄 南行 始發地에 대한 고찰"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4 : 2005
18 권영국, "武臣執權期의 中央軍制" 10 : 1997
19 "朝鮮王朝實錄"
20 장동익, "日本古中世高麗資料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1 "動安居士集"
22 "元高麗紀事"
23 "元史"
24 김윤곤, "三別抄의 對蒙抗戰과 地方郡縣民" 영남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20․21 : 1981
25 배상현, "三別抄의 南海 抗爭" 부산경남사학회 (57) : 87-120, 2005
26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完)" 13 : 1941
27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二)" 10 : 1939
28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一)" 9 : 1938
29 변동명, "三別抄政權의 성립과 全南 地域社會의 대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1 : 2005
30 김일우, "三別抄 對蒙抗爭의 주도층과 그 의미" 제주도사연구회 11 : 2002
31 오기승, "13-14世紀 麗蒙 接境地域 高麗人 勢力 硏究" 중앙대학교 2017
32 강재광, "1250~1270年代 神義軍의 對蒙抗戰과 政治活動" 한국중세사학회 (23) : 231-28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