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3세기 여몽 경계지대에서의 삼별초 세력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Sambyeolcho force in 13th century Goryeo-Mongol borde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9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mbyulcho caused an uprising as the future survival became unstable as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progressed in a different form after the abandon Ganghwado and return capital of Goryeo government. Their initial goal was to overthrow the Gaegyeong government and they continue as the Goryeo government, but this was met with limitations due to the failure to secure an inland hinterland and the loss of scalability and productiv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ategy policy. Afterwards, Sambyulcho proposed to acquire the Jeolla region under the understanding of Kublai and to be subordinated directly to the Mongolian Empire. Based on the precedents of the Ssangseong-chonggwanbu and the Dongnyeongbu, which incorporated some of the Goryeo territory into imperial decrees and took charge of the region to the surrendered leaders, it sought to survive as a border force on the border area of Goryeo and Mongol. However, the forces of Sambyulcho, who had declared themselves as the government, were directly denying the new system formed by the agreement between Wonjong and Kublai, and thus, the negotiations broke down.
      As Jindo fell by the Goryeo-Mongol Allied Forces, the confrontational government in Sambyulcho disappeared, and the activities of the remaining forces that moved to Tamna afterwards consisted mainly of raids on the cargo vessels to acquire supplies and obstruction of ship construction to block the suppression forces. This indicates that their purpose was converging with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the forces themselves, and as they were suppressed, Sambyeolcho as a force disappeared.
      The forces of Sambyulcho sometimes chose a strategic option that was interpreted as defeat in the process from creation to extinction, and also became a medium in which both positions intersect at the boundary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The consistent identity and orientation that consistently emerges in the process can be found in the context of independent survival, which was pursu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border within the new power structure formed by the end of the Goryeo-Mongol war.
      번역하기

      Sambyulcho caused an uprising as the future survival became unstable as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progressed in a different form after the abandon Ganghwado and return capital of Goryeo government. Their initial goal was to overthrow the Gaegyeon...

      Sambyulcho caused an uprising as the future survival became unstable as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progressed in a different form after the abandon Ganghwado and return capital of Goryeo government. Their initial goal was to overthrow the Gaegyeong government and they continue as the Goryeo government, but this was met with limitations due to the failure to secure an inland hinterland and the loss of scalability and productiv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trategy policy. Afterwards, Sambyulcho proposed to acquire the Jeolla region under the understanding of Kublai and to be subordinated directly to the Mongolian Empire. Based on the precedents of the Ssangseong-chonggwanbu and the Dongnyeongbu, which incorporated some of the Goryeo territory into imperial decrees and took charge of the region to the surrendered leaders, it sought to survive as a border force on the border area of Goryeo and Mongol. However, the forces of Sambyulcho, who had declared themselves as the government, were directly denying the new system formed by the agreement between Wonjong and Kublai, and thus, the negotiations broke down.
      As Jindo fell by the Goryeo-Mongol Allied Forces, the confrontational government in Sambyulcho disappeared, and the activities of the remaining forces that moved to Tamna afterwards consisted mainly of raids on the cargo vessels to acquire supplies and obstruction of ship construction to block the suppression forces. This indicates that their purpose was converging with the survival and maintenance of the forces themselves, and as they were suppressed, Sambyeolcho as a force disappeared.
      The forces of Sambyulcho sometimes chose a strategic option that was interpreted as defeat in the process from creation to extinction, and also became a medium in which both positions intersect at the boundary of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The consistent identity and orientation that consistently emerges in the process can be found in the context of independent survival, which was pursu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border within the new power structure formed by the end of the Goryeo-Mongol w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삼별초는 출륙환도 이후 여몽관계가 이전과 다른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장래의 생존이 불안해지게 되면서 봉기를 일으켰다. 초기 지향점은 개경 정부를 무너트리고 자신들이 고려 정부로서 존속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내륙 배후지 확보 실패와 이에 따른 전략 방침 전환 과정에서의 확장성 상실 및 생산력 문제로 한계에 부딪혔다. 이후 삼별초는 쿠빌라이의 양해 하에 전라도 지역을 얻어 몽골제국에 직접 예속되는 것을 제의하였다. 고려 변방지대 일부를 제국령으로 편입하고 내투한 세력가에게 그 지역을 담당시켰던 쌍성총관부나 동녕부의 선례에 근거하여, 여몽 경계면의 접경세력으로서 존속을 모색했던 것이다. 그러나 별개의 국왕을 옹립하고 조정을 자처했던 삼별초 세력은 그 존재 자체가 원종과 쿠빌라이의 합의로 인해 형성된 새로운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기에 교섭은 결렬되었다.
      여몽연합군에게 진도가 함락되고 승화후 왕온이 살해당하면서 삼별초 세력이 가지는 대립정부로서의 입장은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이후 탐라로 이동한 잔여 세력의 활동은 물자 획득을 위한 조운선 습격이나 진압군 차단을 위한 선박 건조 방해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이들의 목적이 세력의 생존과 유지 그 자체로 수렴되고 있었음을 나타내며, 이들이 진압당하면서 세력으로서의 삼별초는 소멸하였다삼별초 세력은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패착으로 해석되는 전략적 선택지를 택하기도 하였으며, 여몽관계의 경계면에서 쌍방의 입장이 교차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일관적인 정체성과 지향점은, 여몽전쟁 종결로 형성된 새로운 세력구도 내의 접경을 배경으로 추구되었던 독자적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번역하기

      삼별초는 출륙환도 이후 여몽관계가 이전과 다른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장래의 생존이 불안해지게 되면서 봉기를 일으켰다. 초기 지향점은 개경 정부를 무너트리고 자신들이 고려 정부...

      삼별초는 출륙환도 이후 여몽관계가 이전과 다른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장래의 생존이 불안해지게 되면서 봉기를 일으켰다. 초기 지향점은 개경 정부를 무너트리고 자신들이 고려 정부로서 존속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내륙 배후지 확보 실패와 이에 따른 전략 방침 전환 과정에서의 확장성 상실 및 생산력 문제로 한계에 부딪혔다. 이후 삼별초는 쿠빌라이의 양해 하에 전라도 지역을 얻어 몽골제국에 직접 예속되는 것을 제의하였다. 고려 변방지대 일부를 제국령으로 편입하고 내투한 세력가에게 그 지역을 담당시켰던 쌍성총관부나 동녕부의 선례에 근거하여, 여몽 경계면의 접경세력으로서 존속을 모색했던 것이다. 그러나 별개의 국왕을 옹립하고 조정을 자처했던 삼별초 세력은 그 존재 자체가 원종과 쿠빌라이의 합의로 인해 형성된 새로운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었기에 교섭은 결렬되었다.
      여몽연합군에게 진도가 함락되고 승화후 왕온이 살해당하면서 삼별초 세력이 가지는 대립정부로서의 입장은 사실상 소멸하였으며, 이후 탐라로 이동한 잔여 세력의 활동은 물자 획득을 위한 조운선 습격이나 진압군 차단을 위한 선박 건조 방해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는 이들의 목적이 세력의 생존과 유지 그 자체로 수렴되고 있었음을 나타내며, 이들이 진압당하면서 세력으로서의 삼별초는 소멸하였다삼별초 세력은 생성에서 소멸에 이르는 과정 속에서 패착으로 해석되는 전략적 선택지를 택하기도 하였으며, 여몽관계의 경계면에서 쌍방의 입장이 교차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일관적인 정체성과 지향점은, 여몽전쟁 종결로 형성된 새로운 세력구도 내의 접경을 배경으로 추구되었던 독자적 생존이라는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려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2 오기승, "원대 요동 여원(麗元) 접경에서의 요양행성 역할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07) : 79-110, 2018

      3 김윤곤, "삼별초정부의 대몽항전과 국내외 정세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17) : 61-102, 2004

      4 전영준,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194-220, 2015

      5 강봉룡,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동양사학회 (115) : 55-99, 2011

      6 임경희, "마도3호선 목간의 현황과 판독" 한국목간학회 8 : 2011

      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도서문화연구원 (37) : 83-114, 2011

      8 김명진, "고려 삼별초의 진도 입도와 진도용장성전투 검토" 대구사학회 134 : 169-201, 2019

      9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10 김당택, "高麗의 武人政權" 국학자료원 1999

      1 동북아역사재단 한국외교사편찬위원회,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려 편" 동북아역사재단 2018

      2 오기승, "원대 요동 여원(麗元) 접경에서의 요양행성 역할 고찰" 한국역사연구회 (107) : 79-110, 2018

      3 김윤곤, "삼별초정부의 대몽항전과 국내외 정세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17) : 61-102, 2004

      4 전영준,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194-220, 2015

      5 강봉룡,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동양사학회 (115) : 55-99, 2011

      6 임경희, "마도3호선 목간의 현황과 판독" 한국목간학회 8 : 2011

      7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도서문화연구원 (37) : 83-114, 2011

      8 김명진, "고려 삼별초의 진도 입도와 진도용장성전투 검토" 대구사학회 134 : 169-201, 2019

      9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10 김당택, "高麗의 武人政權" 국학자료원 1999

      11 "高麗史節要"

      12 "高麗史"

      13 강재구,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의 추이와 東寧府의 설치 목적" 한국중세사학회 (47) : 397-427, 2016

      14 신안식, "高麗 元宗 11년(1270)三別抄抗爭의 背景" 명지사학회 13 : 2002

      15 강재광, "蒙古侵入에 대한 崔氏政權의 外交的 對應" 경인문화사 2011

      16 고용규, "珍島 龍藏城의 구조와 성격" 3 : 2018

      17 이정란, "江華의 三別抄 南行 始發地에 대한 고찰"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4 : 2005

      18 권영국, "武臣執權期의 中央軍制" 10 : 1997

      19 "朝鮮王朝實錄"

      20 장동익, "日本古中世高麗資料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1 "動安居士集"

      22 "元高麗紀事"

      23 "元史"

      24 김윤곤, "三別抄의 對蒙抗戰과 地方郡縣民" 영남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20․21 : 1981

      25 배상현, "三別抄의 南海 抗爭" 부산경남사학회 (57) : 87-120, 2005

      26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完)" 13 : 1941

      27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二)" 10 : 1939

      28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대하야(一)" 9 : 1938

      29 변동명, "三別抄政權의 성립과 全南 地域社會의 대응"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11 : 2005

      30 김일우, "三別抄 對蒙抗爭의 주도층과 그 의미" 제주도사연구회 11 : 2002

      31 오기승, "13-14世紀 麗蒙 接境地域 高麗人 勢力 硏究" 중앙대학교 2017

      32 강재광, "1250~1270年代 神義軍의 對蒙抗戰과 政治活動" 한국중세사학회 (23) : 231-28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역과역사 -> 지역과 역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4 1.55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