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plores the semantic, pragmatic function and syntax of an interrogative ‘where’ in Korean and in Chinese. It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terrogative ‘whe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findings su...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97580
진설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14
Korean
어디 ; 의문사 ; 대조 연구 ; 의미적 ; 화용적 기능 ; 통사적 ; where ; interrogative word ; contrastive study ; semantics ; pragmatic function ; syntax
KCI등재
학술저널
187-220(3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semantic, pragmatic function and syntax of an interrogative ‘where’ in Korean and in Chinese. It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terrogative ‘whe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findings su...
This paper explores the semantic, pragmatic function and syntax of an interrogative ‘where’ in Korean and in Chinese. It aim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nterrogative ‘whe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findings suggest that both ‘어디’ in Korean and ‘nar/nali’ in Chinese have interrogative usage which contribute to compose interrogative sentence. Furthermore both of them have non-interrogative usage as virtual reference, indefinite reference and rhetoric question, and they have a high level of corresponding relationship. However, ‘어디’ and ‘nar/nali’ have no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he implication of extents. The findings further suggest that ‘어디’ in Korean have exclamatory usage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heng, o, en’ and so on in Chinese. ‘nar/nali’ in Chinese have negative reference which can be translated as ‘별말씀을요.’ ‘무슨 말씀이에요.’ ‘그건 무슨 말씀이에요’ in Korean. Both ‘어디’ and ‘nar/nali’ are widely used in a declarative sentence, an interrogative sentence and an imperative sentence. In addition, they can serve as subject, object, attribute, adverbial and independent word in a sentence. ‘어디’ can serve as predicate, while ‘nar/nali’ canno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섭, "현대 국어 의문사의 문법과 의미" 국어학회 2005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김송애, "중국어 '什마'와 한국어 '무엇'의 대비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4 국어국립원, "위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2
7 박정구, "다락원 중국어마스터 step1" 다락원출판사 2008
8 고성환, "국어 의문사의 의미분석" 12 (12): 104-129, 1987
9 김광해, "국어 의문사에 대한 연구" (12) : 101-136, 1983
10 장소원, "국어 의문사 어휘의 실제적 용법 연구" 한국어언어학회 23 (23): 691-707, 1998
1 이은섭, "현대 국어 의문사의 문법과 의미" 국어학회 2005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김송애, "중국어 '什마'와 한국어 '무엇'의 대비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4 국어국립원, "위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2
7 박정구, "다락원 중국어마스터 step1" 다락원출판사 2008
8 고성환, "국어 의문사의 의미분석" 12 (12): 104-129, 1987
9 김광해, "국어 의문사에 대한 연구" (12) : 101-136, 1983
10 장소원, "국어 의문사 어휘의 실제적 용법 연구" 한국어언어학회 23 (23): 691-707, 1998
11 정윤희, "국어 의문사 ‘뭐’의 의미 분석" 겨레어문학회 35 : 109-131, 2005
12 河晰蘭, "韓國語疑問代詞‘누구’和漢語疑問代詞‘誰’的語法對比研究" 延邊大學 2005
13 朱德熙, "語法講義" 商務印书館 1980
14 金香蘭, "表非疑問的疑問代詞"哪"和‘어디’的對比" 延邊大學 2012
15 張尹琼, "疑問代詞的非疑問用法" 上海外國語大學 2012
16 丁聲樹, "現代漢語語法講話" 商務印書館 1961
17 呂叔湘, "現代漢語八百詞(增訂本)" 商務印書館 1980
18 黃伯榮, "現代漢語" 高等教育出版社 2007
19 邢福義, "漢語語法三百問" 商務印書館 2002
20 李吉子, "漢語‘什麽’和韓國語‘무엇’對比" 延邊大學 2002
21 陳天序, "基於集合概念的漢語疑問代詞非疑問用法研究" 北京語言大學 2007
22 王力, "中國現代語法" 商務印書館 1985
23 진설매, "‘어디, 어느, 어떤’에 대한 의미 고찰 및 중국어와의 대응 표현" 이중언어학회 (51) : 247-267, 2013
24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2000
25 來德強, ""哪兒"的非疑問用法" 河南大學 2001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대화일지 쓰기 사례 연구
Future directions for KFL learning strategy research: In American college classroom settings
한국어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 관계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10-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1.03 | 1.3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