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 독서 실천공동체 <책마루> 구성원의 학습경험 탐구 =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of an Adult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Chaekmar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5519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평생교육학과 , 2018.0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4.0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 172 p. ; 26 cm

      • 일반주기명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최성우
        참고문헌: p. 153-165

      • UCI식별코드

        I804:11044-20000010276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발적인 독서공동체로 시작해서 16년간 지속되고 있는 책마루 독서 실천공동체(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이하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을 내부자 관점으로 탐구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자발적 독서 실천공동체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사례인 책마루는 2003년에 자발적으로 창립한 독서지도사들의 독서공동체이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해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책마루에 참여관찰을 하고 구성원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전사자료, 책마루 워크숍 자료집, 연구지, 모임일지, 홈페이지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16년간의 내․외부 실천 활동을 통해 공동 자산을 누적한 과정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합법적 주변참여를 시작하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독서 지속을 목적으로 가입해서 공동체에서 동질감, 삶의 해방감, 책 읽기에 낯선 재미를 느끼며 합법적 주변 참여를 시작했다.
      두 번째는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공동체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고양시키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공동 독서에 참여하고 지식과 절차를 구체화하면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구체화가 계속된 공동체 내․외부의 실천 활동은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고양시켰다.
      세 번째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키는 차원이다. 공동 독서에 관여하고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시간과 환경을 조정하여 실천을 완수하는 관여와 상상, 조정의 나선형 과정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켰다.
      네 번째는 지식과 학습 방법과 학습 자체를 체화하는 재전유의 차원이다. 재전유는 개인적으로는 역량을 강화해주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는 자부심을 갖게 하며 보다 만족스러운 ‘새로운 나’로 나아가게 해주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서 실천공동체를 지속시킨 구조적인 세 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호혜적 관여의 축과 정체성 형성의 축, 소속감 증진의 축이다. 세 축의 긍정적 연동으로 책마루는 16년간의 역사를 지속하였다.
      결론적으로 독서공동체가 유지, 지속되는 맥락은 지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공동 독서, 낯선 지식을 구체화하는 치열한 토론과 논쟁, 서로 다름을 수평적으로 받아들이는 호혜성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책마루가 16년간 독서 실천공동체로서 내․외부 실천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맥락은 실천 활동 결과를 계속적으로 문서화하고, 새로운 실천 활동 개발을 위해 아이디어를 무조건적으로 공여하며, 부단히 내부 실천 활동의 결과를 사회적 실천으로 연계해 실행 하고, 성찰적 공동체로 이행한 것으로 포착되었다. 성찰적 실천가의 모습을 보이는 책마루 고참 구성원들은 ‘빨리가기 보다는 함께 가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독서를 통한 성장은 참여를 통해 더욱 고양 된다’라는 책마루의 텔로스를 실현해 구성원들의 호혜적 관여의 원천이 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발적인 독서공동체로 시작해서 16년간 지속되고 있는 책마루 독서 실천공동체(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이하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을 내부자 관점으로 탐구한 질적 사례연...

      본 연구는 자발적인 독서공동체로 시작해서 16년간 지속되고 있는 책마루 독서 실천공동체(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이하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을 내부자 관점으로 탐구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자발적 독서 실천공동체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사례인 책마루는 2003년에 자발적으로 창립한 독서지도사들의 독서공동체이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해 2017년 6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책마루에 참여관찰을 하고 구성원 9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전사자료, 책마루 워크숍 자료집, 연구지, 모임일지, 홈페이지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책마루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16년간의 내․외부 실천 활동을 통해 공동 자산을 누적한 과정 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합법적 주변참여를 시작하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독서 지속을 목적으로 가입해서 공동체에서 동질감, 삶의 해방감, 책 읽기에 낯선 재미를 느끼며 합법적 주변 참여를 시작했다.
      두 번째는 구성원으로서 개인적, 공동체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고양시키는 차원이다. 구성원들은 공동 독서에 참여하고 지식과 절차를 구체화하면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구체화가 계속된 공동체 내․외부의 실천 활동은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고양시켰다.
      세 번째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키는 차원이다. 공동 독서에 관여하고 공동체의 실천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의 시간과 환경을 조정하여 실천을 완수하는 관여와 상상, 조정의 나선형 과정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증진시켰다.
      네 번째는 지식과 학습 방법과 학습 자체를 체화하는 재전유의 차원이다. 재전유는 개인적으로는 역량을 강화해주고, 공동체 구성원으로서는 자부심을 갖게 하며 보다 만족스러운 ‘새로운 나’로 나아가게 해주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서 실천공동체를 지속시킨 구조적인 세 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호혜적 관여의 축과 정체성 형성의 축, 소속감 증진의 축이다. 세 축의 긍정적 연동으로 책마루는 16년간의 역사를 지속하였다.
      결론적으로 독서공동체가 유지, 지속되는 맥락은 지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공동 독서, 낯선 지식을 구체화하는 치열한 토론과 논쟁, 서로 다름을 수평적으로 받아들이는 호혜성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책마루가 16년간 독서 실천공동체로서 내․외부 실천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맥락은 실천 활동 결과를 계속적으로 문서화하고, 새로운 실천 활동 개발을 위해 아이디어를 무조건적으로 공여하며, 부단히 내부 실천 활동의 결과를 사회적 실천으로 연계해 실행 하고, 성찰적 공동체로 이행한 것으로 포착되었다. 성찰적 실천가의 모습을 보이는 책마루 고참 구성원들은 ‘빨리가기 보다는 함께 가는 것이 더 의미가 있으며 독서를 통한 성장은 참여를 통해 더욱 고양 된다’라는 책마루의 텔로스를 실현해 구성원들의 호혜적 관여의 원천이 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of members for Chaekmaru (CMR, hereafter), an adult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from the inside point of view. The study aims for analyz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community programs. CMR was established in 2003 by several voluntary instructors/leaders for reading. From June, 2017 through January, 2018, 9 members of this community were interviewed in person and observed closely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workshop materials, meeting records, contents on the Internet website of the community were collected and thoroughly reviewed for the study.
      Learning experiences of CMR members have been accumulated for 16 years through practicing inside as well as outside activities and they can be classified for four areas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area for start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MR members joined the community for continuous reading activities and starte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order to enjoy unique pleasure from reading, to exchange their opinions, and to free themselves from their narrow points of view. Secondly, it is the area for inspiring them with positive identification as members of the same community. Participating in the group reading activities and getting reification of theories and knowledges gave them positive ways of thinking. Inside and outside practicing activities of the community along with continuous reification provided them with chances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Thirdly, it is the area for encouraging the better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CMR members participated in group reading programs, acquired the meaningful practical knowledge, controled their time/environ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spiral process of positive linkage, and eventually gained the fair level of sense of belonging. Lastly, it is the area for reappropriation of knowledge/teaching methods and their embodiment. CMR members succeeded in the reappropriation of the knowledge/teaching methods acquired from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finally they revealed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community as lifelong learners.
      Among learning experiences, three sustaining axes were found in strongly holding on the community. They are the axis of mutual engagement, the axis of positive identification, and the axis of advancing sense of belonging. Through positive of the three axes, CMR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6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ason why the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sustains its vital power among today's society is not only because its members can acquire intellectual pleasures in reading but also the members accept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by having hot discussions, and recognize reciprocal benefits on all the members.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re are three good reasons why they were able to keep their community activities for 16 years. Firstly, they have kept records of their inside as well outside activities. Secondly, the community shared their ideas for new programs without any qualification. Lastly, they continuously practiced social contribution as an introspective community. Senior members of CMR pointed out that their Telros, “doing together is better than being prompt, and getting more self-development through reading can be enhanced by participation,” are the essence of reciprocally beneficial involvement in their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of members for Chaekmaru (CMR, hereafter), an adult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from the inside point of view. The study aims for analyz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in...

      This thesis is a case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of members for Chaekmaru (CMR, hereafter), an adult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from the inside point of view. The study aims for analyz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community programs. CMR was established in 2003 by several voluntary instructors/leaders for reading. From June, 2017 through January, 2018, 9 members of this community were interviewed in person and observed closely in their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workshop materials, meeting records, contents on the Internet website of the community were collected and thoroughly reviewed for the study.
      Learning experiences of CMR members have been accumulated for 16 years through practicing inside as well as outside activities and they can be classified for four areas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area for start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MR members joined the community for continuous reading activities and started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order to enjoy unique pleasure from reading, to exchange their opinions, and to free themselves from their narrow points of view. Secondly, it is the area for inspiring them with positive identification as members of the same community. Participating in the group reading activities and getting reification of theories and knowledges gave them positive ways of thinking. Inside and outside practicing activities of the community along with continuous reification provided them with chances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Thirdly, it is the area for encouraging the better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CMR members participated in group reading programs, acquired the meaningful practical knowledge, controled their time/environ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spiral process of positive linkage, and eventually gained the fair level of sense of belonging. Lastly, it is the area for reappropriation of knowledge/teaching methods and their embodiment. CMR members succeeded in the reappropriation of the knowledge/teaching methods acquired from the community activities and finally they revealed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community as lifelong learners.
      Among learning experiences, three sustaining axes were found in strongly holding on the community. They are the axis of mutual engagement, the axis of positive identification, and the axis of advancing sense of belonging. Through positive of the three axes, CMR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6 yea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ason why the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sustains its vital power among today's society is not only because its members can acquire intellectual pleasures in reading but also the members accept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by having hot discussions, and recognize reciprocal benefits on all the members.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re are three good reasons why they were able to keep their community activities for 16 years. Firstly, they have kept records of their inside as well outside activities. Secondly, the community shared their ideas for new programs without any qualification. Lastly, they continuously practiced social contribution as an introspective community. Senior members of CMR pointed out that their Telros, “doing together is better than being prompt, and getting more self-development through reading can be enhanced by participation,” are the essence of reciprocally beneficial involvement in their reading community of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목 차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2 연구 문제 5
      • 제 2 장 문헌고찰 6
      • 2.1 성인 독서공동체의 이해 6
      • 2.1.1 성인 독서공동체의 개념 6
      • 2.1.2 성인 독서공동체의 특성 7
      • 2.1.3 성인 독서공동체 유형 10
      • 2.1.4 성인 독서공동체 활동과 현황 16
      • 2.2 실천공동체와 자발적 실천공동체 22
      • 2.2.1 실천공동체의 개념 및 특성 22
      • 2.2.2. 실천공동체의 구조 29
      • 2.2.3 자발적 실천공동체의 특성과 지속 동인 37
      • 2.3 성찰과 학습 41
      • 2.3.1 성찰과 성찰적 공동체 41
      • 2.3.2 성찰적 실천과 성찰 학습 44
      • 2.3.3 실천 중 성찰과 실천 후 성찰 49
      • 제 3 장 연구 방법론 51
      • 3.1 질적 사례 연구 51
      • 3.2 연구 사례와 연구 참여자 54
      • 3.2.1 연구 사례 54
      • 3.2.2 연구자 59
      • 3.2.3 연구 참여자 61
      • 3.3 자료 수집 67
      • 3.4 자료 분석 72
      • 3.5 연구의 엄격성 73
      • 3.5.1 연구 윤리 73
      • 3.5.2 연구 신뢰성과 타당성 74
      • 제 4 장 책마루 구성원의 학습경험 76
      • 4.1 발 들여 놓기-인지적 참여 동기 78
      • 4.1.1 독서 지속하기 78
      • 4.1.2 유능한 독서지도사 80
      • 4.1.3 지적인 꿈틀거림 83
      • 4.1.4 황금의 발 내밀기 86
      • 4.2 맘 들여 놓기-정의적 참여 동기 89
      • 4.2.1 동지애 89
      • 4.2.2 받아들여짐 91
      • 4.2.3 삶에 해방감 92
      • 4.2.4 낯 섬의 재미 93
      • 4.3 세워지는 나-참여와 구체화로 빚어지는 정체성 94
      • 4.3.1 공동 독서가 무서워-구체화의 중압감 96
      • 4.3.2 다들 그랬구나-심리적 안도감을 주는 궤적의 전형 100
      • 4.3.3 참여는 학습-참여를 해야 일어나는 학습 102
      • 4.3.4 나에게 책마루는-협상된 경험으로써의 자아 105
      • 4.3.5 공동 독서의 자취-공동 독서의 궤적 107
      • 4.4 끈끈해지는 우리-관여, 상상, 조정으로 증진되는 소속감 114
      • 4.4.1 함께 낳은 책 114
      • 4.5 나, 우리, 새로운 나-개인과 공동체 성장의 선순환 119
      • 4.5.1 지식 체화하기-지식의 재전유 120
      • 4.5.2 방법 체화하기-학습 방법의 재전유 123
      • 4.5.3 학습 체화하기-학습의 재전유 128
      • 제 5 장 함의, 결론 및 제언 130
      • 5.1 함의 130
      • 5.1.1 주변적 참여 시작 130
      • 5.1.2 참여와 구체화로 고양되는 정체성 132
      • 5.1.3 주변적 참여자에서 완전한 참여자로 138
      • 5.1.4 재전유로 체화되는 학습 141
      • 5.1.5 독서 실천공동체 지속 동인 143
      • 5.2 결론 148
      • 5.3 제언 151
      • 참고문헌 153
      • 부 록 16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하영진, "사물화", 대구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현대사상, 2(0). 17-29, 2008

      2 조현행, "독서동아리", 서울: 이비락, 2015

      3 기영화, "스터디카페",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3(3), 225-244, 2000

      4 한현미, "더불어 읽기", 맘에드림, 서울: 맘에드림, 2016

      5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 서울: 문예출판사, 1992

      6 이와우치 료이치, "교육학용어사전", 학문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6

      7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한국도서관협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15

      8 손정표, "신독서지도방법론", 태일사, 대구: 태일사, 2015

      9 민주주의사회연구소, "양서협동조합운동",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민주주의사회연구소, 부산: 대성, 2011

      10 한숭희, "평생학습사회연구",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10

      1 하영진, "사물화", 대구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현대사상, 2(0). 17-29, 2008

      2 조현행, "독서동아리", 서울: 이비락, 2015

      3 기영화, "스터디카페",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3(3), 225-244, 2000

      4 한현미, "더불어 읽기", 맘에드림, 서울: 맘에드림, 2016

      5 김유동, "아도르노 사상", 서울: 문예출판사, 1992

      6 이와우치 료이치, "교육학용어사전", 학문사, 서울: 교육과학사, 2006

      7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 한국도서관협회,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15

      8 손정표, "신독서지도방법론", 태일사, 대구: 태일사, 2015

      9 민주주의사회연구소, "양서협동조합운동",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민주주의사회연구소, 부산: 대성, 2011

      10 한숭희, "평생학습사회연구",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2010

      11 McDermott, R., Wenger, E., Snyder, W. M., "Cop 혁명. 황숙경 (역)", 서울: 물푸레(원저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2002년 출판), 2004

      12 박혜숙, "독서교육의 방향 찾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1), 255-283, 2010

      13 문정엽, "피터 드러커 경영수업", 파주: 21세기 북스, 2016

      14 한국독서학회, "21세기 사회와 독서지도", 서울: 박이정, 2006

      15 오혁진,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 집문당, 파주: 집문당, 2014

      16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서울: 학지사, 2001

      17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학습동아리 운영사례집", 한국지역사회교육협의회, 서울: 한국지역사회교 육협의회, 2005

      18 이재기, "문학교육과 문식성 신장",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2, 115-158, 2009

      19 Vygotsky, L. S., "사고와 언어. 윤초희(역)", 파주: 교육과학사(원저 Kolbanovsky and Smekhova 1934년 출판), 2011

      20 숲대모, "한그루 나무 숲속독서회", 숲과문화연구회, 숲과 문화, 16(5). 68-71, 2007

      21 천경록, "공동체문식성과 독서교육", 청람어문교육학회, 청람어문교육, 46, 311-333, 2012

      22 김영석, 정종원, 유기웅, 김한별,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2판", 서울: 박영사, 2018

      23 심범섭, "젖과 꿀이 흐르는 독서모임",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제3시대, 102, 28-34, 2017

      24 조미아,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활동", 국회도서관보, 44(11), 34-47, 2007

      25 신득렬, "‘파이데이아 제안’의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9(0), 46-105, 1991

      26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서울: 문음사, 2005

      27 정옥년, "평생학습자로서 독자의 발달", 한국독서학회, 독서교육. 23(0). 71-105, 2010

      28 박인기,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4(0), 8-48, 2010

      29 박윤경, "지식구성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8(0), 97-126, 2007

      30 서경혜(Seo, Kyounghye),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2013

      31 홍이현, "책이 있는 현장-독서동아리 모임",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저널, 353, 60-61, 2005

      32 신동섭, "산업정책연구원 경영자 독서모임",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저널, 349. 132-133, 2004

      33 신득렬, "교양교육의 철학. 한국교육철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1-26, 2016

      34 조혜영, "성찰성(reflexivity)과 personal anthropology", 한국교육인류학회 2001년 추계 학술대회, 83-98, 2001

      35 장춘익, "하버마스의 사상: 주요 주제와 쟁점들", 나남, 서울: 나남출판, 1996

      36 최인자, "「문식성 교육의 사회․문화적 접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8(1), 191-220, 2001

      37 박인기, "“독서 진흥을 위한 환경과 독서정책.”",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16(0), 335-358, 2006

      38 최인자, "“문화 정책으로서의 독서 정책 방향.”",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30(0), 261-286, 2013

      39 정광순 ( Gwangsoon Jung ), 신태현 ( Teahyun Shin ),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성찰적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 구, 35(3), 158-179, 2017

      40 이재현, "‘독서와 토론’ 교육 10년의 역사와 전망",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사고와 표현, 2(2), 91-110, 2009

      41 김승환,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독서회 운영 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 지, 36(3), 65-83, 2005

      42 이혁규, "“질적 연구의 타당성 문제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7(1), 175-210, 2004

      43 박연식, "공공도서관의 독서 소그룹활동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 회 동계학술발표회, 129-137, 2013

      44 김혜영, "다문화 시대의 독서 교육-완득이를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4(2), 121-150, 2011

      45 손승훈,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교육의 진단과 방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우리말교육현장 연구, 4(1), 7-37, 2010

      46 이용준 ( Lee Yong Jun ), "직장 독서동아리의 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31, 165-193, 2014

      47 황금숙(Gum-Sook Hoang), 김수경(Soo-Kyoung Kim), 안인자(In-Ja Ahn), "국가산업단지 근로자 독서문화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1), 297-317, 2014

      48 안부영, "사회적 문식성에 기반한 읽기 교육에 대한 시론",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3(0), 41-69, 2010

      49 책읽는사회문화재단, "사람과 책이 만나다: 독서동아리를 위한 책 읽기", 서울: 책 읽는 사회문화재단, 2014

      50 권대봉, 최은희, "지역교육청 실행공동체의 전개양상과 동인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 육학연구, 13(3), 1-27, 2007

      51 Polanyi, M., "개인적 지식. 표재명, 김봉미(공역). 서울: 아카넷", (원저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1962년 출판), 2001

      52 이순영 ( Soon Young Lee ), "독서 동기와 몰입 독서의 영향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학 회, 26, 403-425, 2006

      53 유영만, "지식생태학-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포스트 지식경영", 서울: 삼성 경제연구소, 2009

      54 한주리(Han, Julie),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자원활동인력 운영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회, 한국출판 학연구, 43(4), 267-298, 2017

      55 이인미, "마흔 결의 초록으로 책 한권을 되새김질 하는 사람들", 새가정, 56(613), 76-79, 2009

      56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책으로 마음의 양식을 쌓다 전국공무원 독서 동아 리",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66(764), 48-49, 2017

      57 이상원, "성인대상 독서토론 강좌의 설계, 운영, 그리고 고려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사고와 표현, 8(2), 189-218, 2015

      58 이희수, "연결의 시대, 동아시아의 새로운 생각 ‘Learning Community'", 동아시아 평생교육 포럼, 3-23, 2014

      59 김민호, "지역학습력 향상, 평생교육이 해법이다. 한국교육개발원", 2004 년 제 3차 KEDI평생교육포럼 자료집, 117-122, 2004

      60 황재근, "지식문화운동을 꿈꾸는 사람들- 독서모임 '나무야 나무야'", 열린전북, 열 린전북, 80-82, 2009

      61 Illeris, K., "현대학습이론(전주성, 강찬석, 김태훈 공역). 서울: 학 지사", (원저 Contemporary theories of learning: Learning theorists, 2009), 2013

      62 Wenger, E.,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실천공동체. 손민호, 배을규(공 역)", 서울: 학지사(원저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1998년 출판), 2007

      63 김영경, "부천 시 작은 도서관 운동의 학습공동체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64 박인기 ( Park In Gee ), ""독서정책의 방향과 과제 -독서의 사회,문화적 작용과 정책화"",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31(0), 9-40, 2014

      65 박성우(Seong-Woo Park),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의 형성과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113-131, 2018

      66 전유미, "책을 미끼로 바라는 대로 살아가기 위한 땡땡책협동조합의 실 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인문학, 16, 329-344, 2016

      67 한숭희(Han Soonghee), "평생학습사회의 학습체제 연구를 위한 생태체제적 개념모형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12(4), 179-202, 2006

      68 최명선, "반정초주의 지식관과 교육: Gadamer의 해석학 관점에서 교육 학연구", 한국교육학회. 40, 17-39, 2002

      69 박용현, "사제동행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의 비판적 검토와 사례를 통한 제언", 중앙어문학회, 어문논집, 50, 61-90, 2012

      70 김은영, "대학생을 위한 독서프로그램운영 사례연구: 비판적 읽기를 중 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45-67, 2014

      71 김선남, "독서문화 활성화에 관한 연구: 전문가 집단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서지학회, 서지학연구, 51(0), 417-444, 2012

      72 유영만, 최미나, "지식창출의 공유전략으로서의 실행공동체 발전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4), 177-208, 2003

      73 Ishizuka, M., Uchida, H., Shibata, T., Matoba, A., "맑스 사전. 오석철, 이신철(역). 서울: 도서출판b. (원저 Shin Marx Gaku Jiten", 2000출판), 2011

      74 안미선, "인식론적 신념과 목표지향, 학습전략, 학업성취의 관계. 박사학 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75 손대익, "독서 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성과와 과제-충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개신어문학회, 개신어문학회 학술대회, 12, 41-60, 2016

      76 이만수, "공공도서관의 독서회에 관한 조사연구-서울 시립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독서문화연구소, 독서문화연구, 1(0), 1-23, 2001

      77 허준, "사회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 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78 황석순, "독서동아리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9 Gardamer, H. G.,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 손승남(역). 서울: 동문선. (원저 Erziehung ist sich erziehen", 2000년 출판), 2004

      80 홍숙희, 이지혜, "학습동아리 활동에 나타난 학습역동: 성인여성학 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8(1), 177-200, 2002

      81 박정아, "전업주부의 공공도서관 성인독서교육을 통한 자기도야 경험 탐 구. 평생교육", HRD 연구, 13(4), 147-169, 2017

      82 이윤선, 황지영, 조아라, "동국대 경주캠퍼스 비교과 교육과정프로그램 ‘독서 멘토링’의 운영사례 연구", 대학작문, 10, 53-98, 2015

      83 김서령, 박성재, "공공도서관 직원의 독서활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학회지, 33(3), 371-398, 2016

      84 Adorno, T. W., "부정변증법. 홍승용(역). 서울: 한길사. (원저 Negative dialektik. Frankfurt am Main, 21980, 86", 1966년 출판), 2001

      85 김인학, 이지현, "고준, 김희웅 CoP의 지식 공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oP 참여기간의 조절효과", POSRI경영경제연구, 10(1), 23-60, 2010

      86 전종윤, "독서공동체. 자기정체성 확립을 위한 인성교육 실천의 장-폴 리쾨르 철학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72, 1-22, 2015

      87 양흥권, "평생교육 진흥사업에 있어서 실무자 실천공동체(CoP)의 성장과 학습역동 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평생교육 HRD연구, 7(4), 39-67, 2011

      88 김형호, "지역의 독서공동체에 관한 연구-금천구 은행나무어린이도서관 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117-137, 2013

      89 이윤진, "의사소통행위 관점에서 본 마을공동체 공유공간 주민 공 동체학습의 특성.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90 김은수, "독서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어린이 철학수업이 자기 존중감 및 인성 교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도덕 윤리과 교육, 46(0), 281-307, 2015

      91 Beck, U., "위험 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홍성태(역). 서울: 새물 결. (원저 Cosmopolitan vision. Polity", 1986년 출판), 2006

      92 Lave, J., Wenger, E., "상황학습. 전평국, 박성선(역). 서울: 교우사. (원저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출판), 2000

      93 김영옥, 김한별, "구성원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동아리의 운영 원리: C 시 학습동아리 구성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 연구, 42, 73-96, 2012

      94 최미나, "인적자원개발부서 주도의 실행공동체(CoP)창출 및 활성화 과정 에 대한 사례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95 서울시, "2015 서울시 독서동아리실태조사.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view/26576?tr_code=snews (2018. 02. 12", 검색), 2016

      96 조대연, 현영섭, "학습동아리의 사회적 연결망과 지식공유의 관계:관계밀도, 집중화, 지식공유간의 비선형 모형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15(3), 189-212, 2009

      97 김경애,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나타난 경험학습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 극극단 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98 김지훈, "내가 산 세월호 책 수익금, 어디에 사용됐을까?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840461.html (2018. 04. 14", 검색), 2018

      99 김영순, "실행공동체의 특성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효과의 조직 성과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2005

      100 Beck, U., Giddens, A., "Lash, S 성찰적 근대화. 임현진, 정일준(공 역). 서울: 한울. (원저 Reflexive modernization: Politics, tradition and aesthetics in the modern social ord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년 출판), 2010

      101 김광수, "1979년 부마 민주항쟁 밑거름 ‘양서협동조합’ 36년 만에 다시 문연다. 한겨레신문기사.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08895.html (2017. 12. 14", 검색), 2015

      102 Jonassen, D. H., Land, S. M., "학습자 중심 학습의 연구,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김현진, 정종원, 홍선주(공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저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2000년 출판), 2012

      103 Glaser, B. G., Strauss, A. L., "근거이론의 발견. 이병식, 박상욱, 김 사훈(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research, 17(4), 364", 1968년 출판), 2011

      10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 Edition", 2013년 출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