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중간 세력전이 가능성과 동북아 안보협력질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08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가간 힘의 변화가 국제체제 변화를 초래한다는 세력전이 이론의 가정에 입각하여 미·중간 세력전이 가능성을 살펴 본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동북아지역 안보협력질서를 전망해 보았다. 최근 중국의 급성장에 따라 미·중간 제반 갈등이 표출되고 있는데, 이를 세력전이의 전조나 양상으로는 볼 수 없다. 세력전이는 도전국이 패권국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능가해야만 가능하다. 미·중간 국력을 비교해 볼 때 중국은 경제력과 군사력 면에서 미국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중국에 의한 세력전이 가능성은 ‘중국위협론’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볼 수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북아 안보협력질서는 상당기간 동안 미국 주도로 지속될 것이다. 다만, 중국의 급성장은 동북아지역에서 중국 중심의 다자안 보협력 질서를 태동 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에도 미·중간 충돌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이는 중국이 미국 주도의 지역안보 협력질서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으려 한다는 것과 동시에 패권국인 미국에 대해 협력적 자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국가간 힘의 변화가 국제체제 변화를 초래한다는 세력전이 이론의 가정에 입각하여 미·중간 세력전이 가능성을 살펴 본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동북아지역 안보협력질서를 전망�...

      본 논문은 국가간 힘의 변화가 국제체제 변화를 초래한다는 세력전이 이론의 가정에 입각하여 미·중간 세력전이 가능성을 살펴 본후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동북아지역 안보협력질서를 전망해 보았다. 최근 중국의 급성장에 따라 미·중간 제반 갈등이 표출되고 있는데, 이를 세력전이의 전조나 양상으로는 볼 수 없다. 세력전이는 도전국이 패권국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능가해야만 가능하다. 미·중간 국력을 비교해 볼 때 중국은 경제력과 군사력 면에서 미국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중국에 의한 세력전이 가능성은 ‘중국위협론’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볼 수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북아 안보협력질서는 상당기간 동안 미국 주도로 지속될 것이다. 다만, 중국의 급성장은 동북아지역에서 중국 중심의 다자안 보협력 질서를 태동 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경우에도 미·중간 충돌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이는 중국이 미국 주도의 지역안보 협력질서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으려 한다는 것과 동시에 패권국인 미국에 대해 협력적 자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 power transition theory that the power changes among countries lead to those of international systems, this study looks into the possibility of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n forecasts the futur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on the basis of such possibility As China has drastically grown in recent years, conflicts are emerging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is not to been seen as a sign or an aspect of power transition. The transition of power cannot be realized, unless a challenging country exceeds the economic and military strengths of a hegemonic country. In terms of such strengths, China has not yet surpassed the United States.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power transition by China is based on "the China Threat".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Northeast Asia, however, will remain unchang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during a considerable period. Nonethele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rastic development of China will give birth to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led by China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However, the possibility does not appear to be high that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ll clash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China does not only intend to actively change the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led by the United States, but has a strong possibility of showing a cooperative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as a supreme power.
      번역하기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 power transition theory that the power changes among countries lead to those of international systems, this study looks into the possibility of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n forecasts the ...

      Based on the hypothesis of the power transition theory that the power changes among countries lead to those of international systems, this study looks into the possibility of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n forecasts the futur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on the basis of such possibility As China has drastically grown in recent years, conflicts are emerging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is not to been seen as a sign or an aspect of power transition. The transition of power cannot be realized, unless a challenging country exceeds the economic and military strengths of a hegemonic country. In terms of such strengths, China has not yet surpassed the United States.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power transition by China is based on "the China Threat".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Northeast Asia, however, will remain unchang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during a considerable period. Nonethele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rastic development of China will give birth to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led by China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However, the possibility does not appear to be high that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ll clash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China does not only intend to actively change the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led by the United States, but has a strong possibility of showing a cooperative attitude toward the United States as a supreme pow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World bank,

      2 김재철, "패권, 다극화, 그리고 중-미관계: 세계질서를 둘러싼 경쟁?"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327-345, 2002

      3 김태운, "탈냉전기 중ㆍ러 협력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학회 11 (11): 698-714, 2007

      4 조성환, "탈․탈냉전기 동북아의 세력경쟁질서:구조와 전망" 서울: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7

      5 김우상, "세력전이와 동북아시아 국제관계 전망"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1 (21): 1998

      6 배정호, "동북아지역의 갈등․협력과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대외전략" 통일연구원 2006

      7 한동만, "다자안보정책의 이론과 실제" 서문당 2003

      8 금희연, "다시 또 오른 중국위협론의 실체" 동아일보사 2007

      9 이상환, "국제정치질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in: 국제질서의 패러독스" 인간사랑 2005

      10 이상우, "국제관계 이론" 박영사 2001

      1 World bank,

      2 김재철, "패권, 다극화, 그리고 중-미관계: 세계질서를 둘러싼 경쟁?" 한국국제정치학회 42 (42): 327-345, 2002

      3 김태운, "탈냉전기 중ㆍ러 협력이 동북아 정세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학회 11 (11): 698-714, 2007

      4 조성환, "탈․탈냉전기 동북아의 세력경쟁질서:구조와 전망" 서울: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7

      5 김우상, "세력전이와 동북아시아 국제관계 전망"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1 (21): 1998

      6 배정호, "동북아지역의 갈등․협력과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대외전략" 통일연구원 2006

      7 한동만, "다자안보정책의 이론과 실제" 서문당 2003

      8 금희연, "다시 또 오른 중국위협론의 실체" 동아일보사 2007

      9 이상환, "국제정치질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in: 국제질서의 패러독스" 인간사랑 2005

      10 이상우, "국제관계 이론" 박영사 2001

      11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거대한 체스판" 삼인 2000

      12 "http://www.worldbank.org.html"

      13 "http//www.kotra.or.kr/wps/portal/dk."

      14 Organski,A.F.K, "World Politics." Alfred A. Knopf 1973

      15 "World Developement Indicators Databasem http://www.worldbank.org.html"

      16 Gilpin, Robert, "War and Change in World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17 이문기, "WTO 시대 중국의 발전 패러다임 수정과 ‘중국모델’ in: 21세기 아시아의 변화와 발전전망" 한국아시아학회 2007

      18 Chalmers, Johnson, "The sorrows of Empire: militarism, Secrecy, and the end of the Republic" Mtropolitan Books 2004

      19 Organski, A.F.K, "The War Ledg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0 Mearsheimer, John,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orton 2001

      21 Wohlforth, William C, "The Stability of a Unipolar World" 24 (24): 2000

      22 Kristof,Nicholas D, "The Rise of China" 72 (72): 1993

      23 Stockholo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Yearbook(2007) : Armaments, Disarmament and International Security"

      24 Nye, Joseph, "Redefining the National Interest" 78 (78): 1999

      25 Thomas J.Christensen, "Posing Problems without Catching up" 25 : 2001

      26 Morgenthau, J.Hans, "Politics Among Nations" Alfred A. Knopf 1973

      27 New York Timers, "March 8. 1992. 자"

      28 Perkins, Dwight, "How China's Economic Transformation Shapes its Future in China-Us Relations in the Twentieth Century" American Assembly 1977

      29 Hale, David, "China Takes off" 82 (82): 2003

      30 동아일보, "2008.03. 03 ; 2008, 08. 19일자"

      31 한겨레신문, "2008. 01. 03일자"

      32 오마이뉴스, "2007. 05. 24일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98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