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한국의 창작국악작품이 어떻게 21세기한국문화의 고유성과 현재성을 알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03108
2018
Korean
문화콘텐츠 ; 한국적 정체성 ; 창작국악 ; 이성천 ; Cultural Contents ; Korean Identity ; Changjak Gukak ; Seong-Cheon Lee
310
KCI등재
학술저널
567-574(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의 창작국악작품이 어떻게 21세기한국문화의 고유성과 현재성을 알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이...
이 글은 한국의 창작국악작품이 어떻게 21세기한국문화의 고유성과 현재성을 알릴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이성천은 한국의 전통과 한국적인 정체성을 학문적으로 창작적으로 깊이 고민하며 작품세계를 펼쳤던 대표적 작곡가이다. 이성천의 작품세계 중 전통음악적 작품, 자연소재의 작품, 민족주의적 소재의 작품, 문학소재의 작품들은 한국 전통문화와 한국적 정체성과 관련해 문화콘텐츠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작품들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문화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음악문화는 전통음악뿐이라는 고정관념을 넘어, 전통을 기반으로 새로이 창작된 현대적 창작국악작품도 한국문화콘텐츠로서 확고한 역량을 다 할 수 있으리라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Korean newly-composed pieces (Changjak Gukak) can be used as good cultural contents to publicize a characteristic and nowness of Korean cultur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works of composer Seong-Cheon Le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Korean newly-composed pieces (Changjak Gukak) can be used as good cultural contents to publicize a characteristic and nowness of Korean culture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ocusing on the works of composer Seong-Cheon Lee. LEE Seong-Cheon is a typical Changjak Gukak composer who academically and creatively speculated Korean tradition and identity. In his works, traditional ones, natural-thematic ones, nationalistic ones, and Korean literary-thematic ones are the works which have a possibility to use cultural contents with respect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This study dealt with the fact that newly-composed pieces based on traditional music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expanding Korean cultural conten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규선,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2001
2 이찬도, "한류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제고 방안- 음악산업을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95-112, 2012
3 신광철,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9) : 351-370, 2007
4 심승구, "한국 술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2005
5 이성천, "한국 ‧ 한국인 ‧ 한국음악" 풍남 1997
6 이상훈, "제4차 산업시대 음악 콘텐츠의발전 방향성에 대한 연구" 179-183, 2017
7 강선하,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서울대학교대학원 2016
8 김기덕,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9 신혜승, "음악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음악문화콘텐츠 창작: “한국 근대가곡으로의 여행,《봉선화》를 찾아서”" 음악연구소 33 : 133-158, 2015
10 윤인향, "역사문화콘텐츠에서 문화 정보학 : 인물 관계 네트워크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2009
1 강규선, "훈민정음 연구" 보고사 2001
2 이찬도, "한류콘텐츠의 확산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제고 방안- 음악산업을 중심으로 -"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95-112, 2012
3 신광철,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9) : 351-370, 2007
4 심승구, "한국 술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2005
5 이성천, "한국 ‧ 한국인 ‧ 한국음악" 풍남 1997
6 이상훈, "제4차 산업시대 음악 콘텐츠의발전 방향성에 대한 연구" 179-183, 2017
7 강선하,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세계" 서울대학교대학원 2016
8 김기덕, "인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6
9 신혜승, "음악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음악문화콘텐츠 창작: “한국 근대가곡으로의 여행,《봉선화》를 찾아서”" 음악연구소 33 : 133-158, 2015
10 윤인향, "역사문화콘텐츠에서 문화 정보학 : 인물 관계 네트워크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2009
11 김은진,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 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02-113, 2012
12 최영준, "매체의 변화에 따른 음악콘텐츠시장의변화와 그 발전" 8 (8): 57-73, 2005
13 허정아, "디지털시대의 문화콘텐츠 기획" 연세대학교출판부 2006
사회복무요원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복무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Snort를 이용한 비정형 네트워크 공격패턴 탐지를 수행하는 Spark 기반 네트워크 로그 분석 시스템
사회현상 ‘세월호’를 소재로 하는 만평의 서사구조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