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ㆍ절도의 공범집단 : 공범집단의 동질성과 범행지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7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범이 있는 사건과 단독범에 의한 사건, 그리고 단독범죄자와 공범의 형태로 범행을 저지르는범죄자들의 차이에 대한 인식은 오래 전부터 있었고 공범에 관한 형법적 논의도 활발한 것과...

      공범이 있는 사건과 단독범에 의한 사건, 그리고 단독범죄자와 공범의 형태로 범행을 저지르는범죄자들의 차이에 대한 인식은 오래 전부터 있었고 공범에 관한 형법적 논의도 활발한 것과는달리, 공범관련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공범관련 실증적 선행연구들은 청소년비행에서 공범에 주목하거나 마약범죄와 같이 특정범죄에 주목하여 공범을 이해하고자 하는 등의제한적인 연구주제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고, 공범집단에 주목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인식하고 공범집단의 특성규명을 위해 강도와 절도의 공범집단 구성원의 특성과 동질성, 범행지속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영미의 선행연구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주장해 온 ‘공범집단은 매우 유사한 동질성이 높은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범행은 지속성이 낮아 1-2회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는 특성이 우리의 강도 및 절도 집단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아보고, 선행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공범집단의 범행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사재판기록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공범의 형태로 범행을 저지른 405명의 강ㆍ절도 범죄자가 구성하고 있는 146개 공범집단을 분석단위로 활용하였다. 조사결과, 공범집단은 평균 2.99명으로 구성되어 3.2건의 범행을한 것으로 나타나, 영미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특성을 보였으며, 공범집단 구성원의 평균연령은26.3세, 전과자 비율은 37%, 무직자 비율은 5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공범동질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0대 공범집단은 20대 및 30대 이상의 집단과 비교하여 연령 동질성은 강하고 성별 동질성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차이가 있었다. 공범집단의 범행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범행건수로 측정된 범행지속성은 집단구성원의 동질성보다는 범죄집단의 규모 및 무직자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o-offending groups in Korea focusingon burglary and robbery. Despite the academic awareness of the criminal co-offendingand co-offenders, previous studies in criminal justice did not pay much attention on...

      The current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co-offending groups in Korea focusingon burglary and robbery. Despite the academic awareness of the criminal co-offendingand co-offenders, previous studies in criminal justice did not pay much attention on theissue of co-offending and co-offenders empirically. In Korea, discussions on co-offendingand co-offenders are heavily focus on the legal issues. Acknowledging the gap of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is plann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offendinggroups who commit burglaries and robberies together.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threepurposes; to replicate previous findings of co-offending group characteristics on theco-offenders in Korea, to evaluate the homogeneity of co-offenders, and to examinecontinuity of offending among co-offenders. Data gathered from the reports of criminalinvestigation, and the unit of analysis is criminal offending groups. Information on the146 offending group from 405 co-offenders of burglaries and robberies are analyzed, and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 the implications of find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1. 공범의 개념정의와 이론적 논의
      • 2. 공범관련 실증적 선행연구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1. 공범의 개념정의와 이론적 논의
      • 2. 공범관련 실증적 선행연구
      • Ⅲ. 연구문제와 분석자료
      • 1. 연구문제
      • 2. 분석자료
      • Ⅳ. 연구결과
      • 1. 기술통계
      • 2. 강·절도 공범집단의 규모와 범행 지속성, 연령대별 차이
      • 3. 공범집단의 범행건수/범행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V. 논의 및 한계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찰청, "범죄통계"

      2 이민식, "마약류범죄의 공범구조 및 연결망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231-264, 2007

      3 강지현, "공범이 있는 범죄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강ㆍ절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4 심영희, "강ㆍ절도 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5 황지태, "강ㆍ절도 범죄의 범행대상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6 Schaefer, D. R., "Youth co-offending networks: An investigation of social and spatial effects" 34 (34): 141-149, 2012

      7 Hindeling, M. J., "With a Little Help from their Friends : Group participation in Reported Delinquent Behavior" 16 : 109-125, 1976

      8 Hindeling, M. J., "The social versus Solitary Nature of Delinquent Involvement" 11 : 167-175, 1971

      9 Hodgson, B.,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Burglary in Company" 3 (3): 115-119, 2006

      10 Becker, S., "The Gender of Criminal Opportunity: The Impact of Male Co-Offenders on Woman’s Crime" 6 (6): 79-110, 2011

      1 경찰청, "범죄통계"

      2 이민식, "마약류범죄의 공범구조 및 연결망 분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231-264, 2007

      3 강지현, "공범이 있는 범죄의 구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강ㆍ절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4 심영희, "강ㆍ절도 범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5 황지태, "강ㆍ절도 범죄의 범행대상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4

      6 Schaefer, D. R., "Youth co-offending networks: An investigation of social and spatial effects" 34 (34): 141-149, 2012

      7 Hindeling, M. J., "With a Little Help from their Friends : Group participation in Reported Delinquent Behavior" 16 : 109-125, 1976

      8 Hindeling, M. J., "The social versus Solitary Nature of Delinquent Involvement" 11 : 167-175, 1971

      9 Hodgson, B.,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Burglary in Company" 3 (3): 115-119, 2006

      10 Becker, S., "The Gender of Criminal Opportunity: The Impact of Male Co-Offenders on Woman’s Crime" 6 (6): 79-110, 2011

      11 Tremblay, P., "Routine Activity and Rational Choice: Advances in Criminological Theory" Transaction 1993

      12 Warr, M., "Organization and instigation in delinquent groups" 34 : 11-37, 1996

      13 McGloin, J. M., "Investigation the stability of co-offending and co-offenders among a sample of youthful offenders" 46 : 155-188, 2008

      14 Reiss, A. J., Jr., "Indicators of Crime and Criminal Justice: Quantitative Studies.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U.S. Department of Justice" USGPO 11-17, 1980

      15 McGloin, J. M., "I wasn’t alone: Collective behavior and violent delinquency" 42 : 336-353, 2010

      16 Carrington, C, "Group crime in canada" 44 : 277-315, 2002

      17 Pettersson, T., "Gendering Delinquent Network : A Gendered Analysis of Violent Crimes and the Structure of Boys and Girls Co-offending Networks" 13 : 247-167, 2005

      18 Sarnecki, J., "Delinquent networks in Sweden" 6 : 31-50, 1990

      19 Erikson, M. L., "Delinquency is still group behavior: Toward revitalizing the group premise in the sociology of deviance" 70 : 102-116, 1977

      20 Reiss, A. J., "Criminal Careers and Career Criminals, vol. 2" National Academy Press 1986

      21 van Mastrigt, S.B., "Co-offending, age, gender and crime type: Implications for criminal justice policy" 49 : 552-573, 2009

      22 Weerman, F., "Co-offending as social exchange :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co-offending" 43 : 398-416, 2003

      23 Andresen, M., "Co-offend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crime types" 56 (56): 811-829, 2012

      24 Stolzenberg, L., "Co-offending and the age-crime curve" 45 : 65-86, 2008

      25 Conway, K. P., "Co-offending and Patterns of Juvenile Crime"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in Brief 2005

      26 Reiss, A., "Advancing Knowledge about co-offending:Results from a prospective longitudinal survey of London males" 82 : 360-395, 1991

      27 Conway, K. P.,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offending with Violent Accomplices and Violent Crime" 28 (28): 97-108,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78 0.882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