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놀권리를 위한 교사의 자기연구 = Teacher’s self-study for children’s right to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4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become a research participant and look at a teacher’s introspective process for guaranteeing young children’s play right in the kindergarten fields and supporting th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 weeks ...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ims to become a research participant and look at a teacher’s introspective process for guaranteeing young children’s play right in the kindergarten fields and supporting th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the middle of April, 2021 till the middle of July, 2021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 notes of young children’s play,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with colleague teachers. Research data were summarized by research stages to look at the reflection process about the right to play. As a result of the study, play time and space were secured, and toys were diversified to ensure children’s right to play. In order to acknowledge and permit children’s play under the contrasting standpoints of teachers and children, this study created a more permissive environmen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as observers, and made an effort for children to play safely. In that regard, this study suggests not on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should recognize that children are beings with subjectivity but also tha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re required for respecting children’s rights to pl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연구자 스스로 연구 참여자가 되어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의 놀권리를 보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성찰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17년 경력의 공립유치원 교사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 스스로 연구 참여자가 되어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의 놀권리를 보장하고 지원하기 위한 교사의 성찰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17년 경력의 공립유치원 교사이다. 연구는 2021년 4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12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유아의 놀이관찰기록, 교사의 반성적 일지, 동료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자료수집과 함께 연구 기간 내내 이루어졌다.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반성적 일지를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고민과 반성을 정리해 나갔고, 자료 분석을 통해 지속적인 성찰을 계획하고 실행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쳤다. 연구 자료들은 자기 연구 단계별로 정리하여 놀권리에 대한 성찰의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놀권리 보장을 위한 환경적 지원방안으로 유아의 놀이시간을 확보하고, 놀이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놀잇감과 관련한 다툼을 해결하고 놀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자연물, 비구조적 놀잇감 제공을 통해 놀잇감을 다양화하고 놀잇감 사용 방법에 관하여 유아들만의 놀이를 인정하고 존중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비되는 교사와 유아의 입장사이에서 유아들의 놀이를 인정하고 허용하기 위하여 좀더 허용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관찰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안전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 스스로 유아가 주체성을 가진 존재임을 인식하고, 유아의 놀권리를 존중하기 위하여 교사의 반성과 성찰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황옥경,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2 황옥경, "한국 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Ⅱ: 아동ㆍ청소년의 놀 권리: 현실과 대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3, 2012

      3 강주희 ; 이대균, "코로나19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 운영의 어려움을 통해 발견된 ‘공간이 만들어 낸 놀이 공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211-240, 2021

      4 김혜리 ; 어성연,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탐색: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61-190, 2018

      5 박은선 ; 노승희, "유치원 공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대안 제시 : 자유놀이와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87-112, 2021

      6 권혜진, "유아주도놀이 실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딜레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9 (19): 129-151, 2020

      7 원계선 ; 현은선,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43-166, 2017

      8 나은숙, "유아의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 : 71-93, 2011

      9 조정아, "유아 놀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0 편해문, "위험이 아이를 키운다" 소나무 2019

      1 황옥경,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권리학회 2014

      2 황옥경, "한국 아동ㆍ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Ⅱ: 아동ㆍ청소년의 놀 권리: 현실과 대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3, 2012

      3 강주희 ; 이대균, "코로나19에 따른 놀이중심 교육 운영의 어려움을 통해 발견된 ‘공간이 만들어 낸 놀이 공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211-240, 2021

      4 김혜리 ; 어성연, "유치원에서 발생하는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탐색: 사회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161-190, 2018

      5 박은선 ; 노승희, "유치원 공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대안 제시 : 자유놀이와 활동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87-112, 2021

      6 권혜진, "유아주도놀이 실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딜레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9 (19): 129-151, 2020

      7 원계선 ; 현은선,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43-166, 2017

      8 나은숙, "유아의 권리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4 : 71-93, 2011

      9 조정아, "유아 놀권리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10 편해문, "위험이 아이를 키운다" 소나무 2019

      11 나달숙, "영유아 보육인권의 본질과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2 (12): 25-43, 2019

      12 편해문,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소나무 2020

      13 김미숙 ; 김효진 ; 김안나, "아동의 삶의 질 수준 국제비교와 놀이와 여가활동의 영향 연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5 (15): 29-59, 2018

      14 김명순, "아동의 놀이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259 : 57-75, 2018

      15 하승민, "아동의 놀이와 권리-조화의 방향에 대한 탐색" 5 (5): 59-69, 2001

      16 정기상, "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장 연구" 헌법재판연구원 7 (7): 179-205, 2020

      17 김정래, "아동의 놀 권리 : 그 교육적 필요성의 철학적 정당화 논의" 한국아동권리학회 6 (6): 31-46, 2002

      18 유구종 ; 김은아, "아동 놀권리에 대한 신문기사 형태소 및 감성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109-132, 2019

      19 김선애,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학령기 전후 아동의 놀권리 확장을 위한 타당성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35-58, 2019

      20 박아름, "비구조적 놀잇감을 활용한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경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21

      21 박은혜 ; 김희진 ; 이지현,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 시관과 공간의 의미" 한국교육학회 40 (40): 311-328, 2002

      22 조정미, "당사자 관점의 아동의 놀권리 실현을 위한 참여 실행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16

      23 김은영,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62 : 6-, 2019

      24 임수진, "놀이하는 유아-호모 루덴스를 향하여" 양서원 2019

      25 김지성,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들이 마주하는 어려움과 배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26 "놀이"

      27 권은정 ; 손원경, "놀 권리 존중을 위한 첫걸음- 야호 데이의 경험과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99-126, 2020

      28 황옥경 ; 한유미 ; 김정화 ; 양효현,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755-774, 2015

      29 "권리"

      30 Samaras, A. P., "교육과 셀프 연구" 대한미디어 2012

      31 조부경, "교사들의 자기성찰을 위한 교육문화 만들어가기" 4 : 25-44, 2017

      32 교육부,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교육부 2017

      33 Almy, M., "Reaffirmations : speaking out for children : A child's right to play" 60 (60): 350-350, 1984

      34 유영의 ; 이미선 ; 송미정 ; 장은정, "Borich 공식을 통해 살펴 본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1-156, 2018

      35 김대욱,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343-351, 2021

      36 박지희,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이해와 놀이지원방안: 놀이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55-82, 2021

      37 이가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른 유치원 놀이자료 개선 방향 모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38 유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75-100, 2020

      39 김재현,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놀이공간 구성 및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실행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40 임승렬 ; 전방실,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1 (21): 21-47, 2020

      4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