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유생전강 운영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Yusaeng-jeon'gang(儒生殿講)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the operation of Yuseang-jeon'gang(儒生殿講)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King Injo's reign to King Gyeongjong's(1623-1724), due to the many times regular Yuseang-jeon'gang was skipped, the king implemented the irregular Yuseang-jeon'gang and the regular Yuseang-jeon'gang supervised by the king. From King Yeongjo's reign to King Jeongjo's(1724-1800), Yuseang-jeon'gang was conducted without major interruptions. King Yeongjo preferred Dogi-jeon'gang(到記殿講), an irregular test, to Ilcha-jeon'gang(日次殿講), a regular test. King Jeongjo spilt the regular Yuseang-jeon'gang into Ilcha-jeon'gang and ChunChuDogi(春秋到記), a test originating from Dogi-jeon'gang. From King Sunjo's reign to King Cheoljong's(1800-1863), the core of Yuseang-jeon'gang was ChunChuDogi.
      While the focus of Yuseang-jeon'gang was supplementation of regular Yuseang-jeon'gang up until King Yeongjo's reign, starting from King Jeongjo's reign it changed to the stable conduct of Yuseang-jeon'gang by ChunChuDogi.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the operation of Yuseang-jeon'gang(儒生殿講)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King Injo's reign to King Gyeongjong's(1623-1724), due to the many times regular Yuseang-jeon'gang was skipped, the kin...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the operation of Yuseang-jeon'gang(儒生殿講)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King Injo's reign to King Gyeongjong's(1623-1724), due to the many times regular Yuseang-jeon'gang was skipped, the king implemented the irregular Yuseang-jeon'gang and the regular Yuseang-jeon'gang supervised by the king. From King Yeongjo's reign to King Jeongjo's(1724-1800), Yuseang-jeon'gang was conducted without major interruptions. King Yeongjo preferred Dogi-jeon'gang(到記殿講), an irregular test, to Ilcha-jeon'gang(日次殿講), a regular test. King Jeongjo spilt the regular Yuseang-jeon'gang into Ilcha-jeon'gang and ChunChuDogi(春秋到記), a test originating from Dogi-jeon'gang. From King Sunjo's reign to King Cheoljong's(1800-1863), the core of Yuseang-jeon'gang was ChunChuDogi.
      While the focus of Yuseang-jeon'gang was supplementation of regular Yuseang-jeon'gang up until King Yeongjo's reign, starting from King Jeongjo's reign it changed to the stable conduct of Yuseang-jeon'gang by ChunChuDog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유생전강의 규정 및 운영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해당시기 유생전강 운영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조-경종 연간(1623-1724) 유생전강은 다른 성균관 과시와 마찬가지로 간헐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시기 유생전강은 1년 6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지는 못했지만, 후대로 갈수록 장기간 결행하는 경우는 은사의 혜택이 큰 친림전강이나 불시의 도기전강을 실시하여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였다.
      영조‧정조대(1724-1800) 유생전강은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함과 동시에 유생들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기 위한 방책으로 활용되었다. 영조는 정기의 일차전강보다는 불시에 시행하는 도기전강을 자주 실시함으로써 유생들의 경서 학습과 성균관 거재를 장려했다. 정조는 영조대 중반에 시행되었던 도기유생에 대한 분제강(分製講)을 춘‧추도기로 정식화하고 성균관 과시 중 가장 높은 위상을 확립시켰다. 정조는 일차전강에 관‧학 재임의 자원일경강(自願一經講)을 시행함으로써 사학 재임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고, 상재생제술(上齋生製述)을 겸행함으로써 생원‧진사의 제술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일차전강을 활용했다.
      순조-철종 연간(1800-1863) 유생전강은 정조대까지 확립된 규정을 기본으로 하여 운영되었다. 이 시기 일차전강은 특정시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운영되지 않은 반면, 춘‧추도기 전강은 대부분 1년 2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며 안정되게 운영되었다. 순조-철종 연간 장기간의 일차전강 결행에 대한 문제제기가 없었던 것은 춘‧추도기 전강을 통하여 전강 응시자의 은사 획득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영조대까지 유생전강이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정조대 이후 유생전강은 춘‧추도기의 설치를 통해 1년 2번의 안정적인 유생전강의 시행을 보장했다. 순조-철종대 유생전강은 영조‧정조대의 경서 학습 및 성균관 거재 장려 등과 같은 정책적 지향보다는, 유생들의 공부 경향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보장하는 방식을 유지했다.
      번역하기

      본고는 조선후기 유생전강의 규정 및 운영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해당시기 유생전강 운영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조-경종 연간(1623-1724) 유생전강은 다른...

      본고는 조선후기 유생전강의 규정 및 운영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해당시기 유생전강 운영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조-경종 연간(1623-1724) 유생전강은 다른 성균관 과시와 마찬가지로 간헐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시기 유생전강은 1년 6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지는 못했지만, 후대로 갈수록 장기간 결행하는 경우는 은사의 혜택이 큰 친림전강이나 불시의 도기전강을 실시하여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였다.
      영조‧정조대(1724-1800) 유생전강은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함과 동시에 유생들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기 위한 방책으로 활용되었다. 영조는 정기의 일차전강보다는 불시에 시행하는 도기전강을 자주 실시함으로써 유생들의 경서 학습과 성균관 거재를 장려했다. 정조는 영조대 중반에 시행되었던 도기유생에 대한 분제강(分製講)을 춘‧추도기로 정식화하고 성균관 과시 중 가장 높은 위상을 확립시켰다. 정조는 일차전강에 관‧학 재임의 자원일경강(自願一經講)을 시행함으로써 사학 재임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고, 상재생제술(上齋生製述)을 겸행함으로써 생원‧진사의 제술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일차전강을 활용했다.
      순조-철종 연간(1800-1863) 유생전강은 정조대까지 확립된 규정을 기본으로 하여 운영되었다. 이 시기 일차전강은 특정시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운영되지 않은 반면, 춘‧추도기 전강은 대부분 1년 2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며 안정되게 운영되었다. 순조-철종 연간 장기간의 일차전강 결행에 대한 문제제기가 없었던 것은 춘‧추도기 전강을 통하여 전강 응시자의 은사 획득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영조대까지 유생전강이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정조대 이후 유생전강은 춘‧추도기의 설치를 통해 1년 2번의 안정적인 유생전강의 시행을 보장했다. 순조-철종대 유생전강은 영조‧정조대의 경서 학습 및 성균관 거재 장려 등과 같은 정책적 지향보다는, 유생들의 공부 경향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보장하는 방식을 유지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연, "헌종․철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41 (41): 57-76, 2019

      2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사 2014

      3 최광만,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교육사학회 23 (23): 227-258, 2013

      4 원창애, "조선 시대 과거 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5 박현순, "정조의 日次殿講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89) : 109-144, 2019

      6 정지연, "정조대 춘‧추도기 운영 연구" 교육사학회 28 (28): 107-138, 2018

      7 정지연, "정조대 일차유생전강 운영 규정 변화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40 (40): 167-196, 2018

      8 최광만, "정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103-130, 2015

      9 박현순, "영조대 到記儒生殿講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227-259, 2013

      10 최광만,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75-102, 2015

      1 정지연, "헌종․철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41 (41): 57-76, 2019

      2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사 2014

      3 최광만, "조선전기 과시의 신설과정" 교육사학회 23 (23): 227-258, 2013

      4 원창애, "조선 시대 과거 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5 박현순, "정조의 日次殿講 운영" 조선시대사학회 (89) : 109-144, 2019

      6 정지연, "정조대 춘‧추도기 운영 연구" 교육사학회 28 (28): 107-138, 2018

      7 정지연, "정조대 일차유생전강 운영 규정 변화 연구" 한국교육사학회 40 (40): 167-196, 2018

      8 최광만, "정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103-130, 2015

      9 박현순, "영조대 到記儒生殿講에 대한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227-259, 2013

      10 최광만,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한국교육사학회 37 (37): 75-102, 2015

      11 정지연, "순조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교육사학회 29 (29): 53-76, 2019

      12 정지연, "숙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105-132, 2017

      13 정지연, "숙종-정조대 성균관 과시(課試) 운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2018

      14 최광만, "숙종 대의 과시정책과 운영" 한국교육사학회 37 (37): 65-90, 2015

      15 "續大典"

      16 "經國大典"

      17 박현순, "正祖代 科擧制 운영의 정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37-74, 2013

      18 "朝鮮王朝實錄"

      19 "承政院日記"

      20 "太學成典"

      21 "大典通編"

      22 "大典會通"

      23 최광만, "『태학성전』의 학사운영규정 분석" 교육사학회 24 (24): 187-219, 2014

      24 최광만, "18세기 과시의 유형" 교육사학회 25 (25): 163-191, 2015

      25 최광만, "18세기 과시운영체제 연구" 교육사학회 26 (26): 127-160, 2016

      26 최광만,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교육사학회 22 (22): 55-8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5-05-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istory or Education ->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사학회 -> 교육사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History o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6 1.46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