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사의 군 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Domestic research trend on the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8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is purposed on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direction and finding of progressive study scheme for further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based on analysis of study trend, specifically preceding studies of soldier’s adaptation program which has been done in S. Korea. Among master’s dissertations, it has been collected 88 thesis of this subject announced during 2001 to 2015. We have only chosen 57 thesis which is related with our purpose, and analysed the study trend. As the result of that, first, the study on adaptation programs of soldier are not enough quantitatively, most programs are for the soldiers in military army and maladjusted soldiers. Second, most soldier’s adaptation programs are subjected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 The integrated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as the second most. Third,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most popular as study plan. Forth, program running is 8 sessions and 120 min. per a sess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re shown self-regard, soldier’s life adaptation, lessening depression and relationship in order of named. Last, in programs' subject, new programs are slightly more than redesigned programs. Basted on those result, this study is comprehensive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further progressive plan.
      번역하기

      The research is purposed on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direction and finding of progressive study scheme for further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based on analysis of study trend, specifically preceding studies of soldier’s adaptation program w...

      The research is purposed on establishment of the specific direction and finding of progressive study scheme for further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based on analysis of study trend, specifically preceding studies of soldier’s adaptation program which has been done in S. Korea. Among master’s dissertations, it has been collected 88 thesis of this subject announced during 2001 to 2015. We have only chosen 57 thesis which is related with our purpose, and analysed the study trend. As the result of that, first, the study on adaptation programs of soldier are not enough quantitatively, most programs are for the soldiers in military army and maladjusted soldiers. Second, most soldier’s adaptation programs are subjected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rt therapy program. The integrated study combin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as the second most. Third,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most popular as study plan. Forth, program running is 8 sessions and 120 min. per a session.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re shown self-regard, soldier’s life adaptation, lessening depression and relationship in order of named. Last, in programs' subject, new programs are slightly more than redesigned programs. Basted on those result, this study is comprehensive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further progressive pl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군 적응 관련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검색한 결과, 2001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88편의 논문을 수집할 수 있었으며 그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논문 총 57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군 적응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은 양적으로 다소 부족한 수준이며, 육군 및 도움·배려병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둘째, 군 적응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는 8회기, 120분의 운영이 가장 많았으며, 군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자존감, 군생활적응, 우울감 감소,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제별로 제시된 프로그램들은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재구성된 프로그램에 비해 조금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군 적응 관련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의 구체적인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군 적응 관련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군 장병들의 적응에 관한 프로그램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발전적인 연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검색한 결과, 2001년부터 2015년 상반기까지 발표된 88편의 논문을 수집할 수 있었으며 그 가운데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논문 총 57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군 적응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은 양적으로 다소 부족한 수준이며, 육군 및 도움·배려병사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수행되었다. 둘째, 군 적응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는 8회기, 120분의 운영이 가장 많았으며, 군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요인으로는 자존감, 군생활적응, 우울감 감소,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제별로 제시된 프로그램들은 새롭게 개발된 프로그램이 재구성된 프로그램에 비해 조금 더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논의를 종합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영, "후기청소년 세대 생활·의식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연구 Ⅰ : 대학 재학 후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 서혜석, "해병대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류분석 집단상담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7 (7): 5-30, 2014

      3 서혜석, "해병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7 (17): 123-139, 2014

      4 이용섭,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장병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송경재, "한국적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군장병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도균,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79-186, 2012

      7 이호재, "태보 프로그램이 해병대 병사들의 스트레스대처, 조직이탈욕구 및 복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혜선, "커뮤니티 전체 시스템 접근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 한국군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전종수, "차생활이 군장병들의 정신전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4

      10 윤주리,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9 (9): 55-72, 2012

      1 조혜영, "후기청소년 세대 생활·의식 실태조사 및 정책과제 연구 Ⅰ : 대학 재학 후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 서혜석, "해병대 부적응 병사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류분석 집단상담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7 (7): 5-30, 2014

      3 서혜석, "해병대 병사의 군생활 적응을 위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17 (17): 123-139, 2014

      4 이용섭,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장병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송경재, "한국적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군장병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도균, "한국군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7 (7): 179-186, 2012

      7 이호재, "태보 프로그램이 해병대 병사들의 스트레스대처, 조직이탈욕구 및 복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혜선, "커뮤니티 전체 시스템 접근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 한국군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9 전종수, "차생활이 군장병들의 정신전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4

      10 윤주리, "집단음악치료가 관심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9 (9): 55-72, 2012

      11 최혜란,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적응 병사의 인간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9 (9): 103-120, 2011

      12 현미숙,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병사의 우울 및 불안감 감소와 적응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235-262, 2013

      13 김지은, "집단미술치료가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자살생각,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콜라주기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14 강복인, "집단미술치료가 군 부적응 병사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0

      15 이미경, "집단 미술치료가 주는 신세대 병사의 우울 감소와 내적통제성 및 자아효능감 향상에 관한 효과성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16 김안국, "자원봉사활동이 군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 및 강원지역 병사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17 서혜석, "자아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육군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3-41, 2010

      18 이아람, "자기표현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입대초기 장병의 불안 및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19 김형곤, "인지행동프로그램이 복무 부적응 병사의 심리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개입 효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4

      20 김선채, "인지행동적 자존감증진 프로그램개발과 적용효과 :복무부적응 용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21 현명선, "인지행동적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군인의 자의식과 분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6 (36): 1076-1084, 2006

      22 김진남, "인지치료를 통한 군 장병의 우울증 상담사례 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0

      23 김철희,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병사의 우울과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08

      24 나승천, "육군의 적응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 그린캠프·비전캠프를 중심으로"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5 이주실, "육군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비전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26 송미림, "웃음치료프로그램이 군병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2007 (2007): 463-472, 2007

      27 최세일,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군 복무부적응 병사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3

      28 박종구, "여가프로그램이 사병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우애 증진에 미치는 인식효과"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97-416, 2010

      29 김광웅, "아동 상담 연구 동향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1997-2005)" 한국놀이치료학회 9 (9): 47-65, 2006

      30 김현택, "신세대 장병의 군 적응을 돕는 기독교적 방안에 대한 연구 : 집단상담 심리검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6

      31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진로결정수준과 자기효능감이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5 (15): 109-131, 2008

      32 서혜석, "신세대 병사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2006 (2006): 327-332, 2006

      33 박계연, "신병의 자아탄력성 및 병영 스트레스에 미치는 집단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34 유종훈, "상시 비전캠프 제도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11

      35 홍병각, "상담을 통한 부적응 병사 관리사례 연구"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11

      36 김현석, "복무부적응병사를 대상으로 한 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이 심리적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관동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4

      37 이진모, "복무부적응 병사들의 복무적응력 향상을 위한 비젼캠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38 박세희, "병사의 여가활동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2

      39 김정은, "병사의 군생활 적응 위한 스트레스 대처모델 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6 (6): 5-38, 2013

      40 정원철,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한국청소년학회 18 (18): 49-71, 2011

      41 최은진,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중재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9 (19): 129-146, 2012

      42 홍강표, "병사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충북지역 공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43 김혜정, "병사들의 임파워먼트와 군생활 적응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 프로그램" 2007 (2007): 473-479, 2007

      44 현진희, "병사들의 군 적응을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7 (27): 5-27, 2007

      45 김희국,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2008 (2008): 57-72, 2008

      46 최혜심, "미술심리치료가 병영생활 부적응 병사에게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47 양동명, "마음챙김 명상이 신세대 병사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48 조용재, "마음챙김 명상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295-318, 2012

      49 장선철, "동적가족화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미술치료학회 18 (18): 173-193, 2011

      50 문장옥, "긍정기도문쓰기가 군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군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1 현명선,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 18 (18): 305-312, 2009

      52 이정원, "군에서의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11-23, 2015

      53 서명규, "군복무 부적응 병사들에 대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의 효과" 2 (2): 23-39, 2012

      54 고현종,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병사들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3

      55 정혜선, "군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병사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7 (17): 353-362, 2008

      56 우정희, "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57 김민순, "군 장병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58 양미진, "군 장병을 위한 동료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19-31, 2009

      59 최혜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1743-1756, 2009

      60 이지영, "군 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기반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구명"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61 이새롬, "군 부적응 병사의 군 적응을 위한 관계성 향상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2 권창모, "군 부적응 병사 치유를 위한 비전캠프3.0의 효과성 검증" 한국국방연구원 30 (30): 227-253, 2014

      63 김태식, "군 동료상담자 훈련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4 이귀열, "군 동료상담자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8

      65 양원영, "군 관심사병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66 김희은,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한국상담학회 15 (15): 1441-1456, 2014

      67 박봉희, "관심병사의 군생활 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 집단미술치료 중심으로"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5

      68 김래경, "고등학생 진로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07-329, 2015

      69 김호원, "경로분석을 이용한 군대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71-478, 2013

      70 손민경, "감정표현불능증에 대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비전캠프에 참가한 병사들을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71 황정우, "軍民협력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군사회복지학회 4 (4): 99-125, 2011

      72 신홍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신세대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내적통제성, 대인관계, 군복무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