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明淸소설 합성어 ‘白+X’의 개념적 혼성 작용 분석 = Analysis of the Conceptual Blending Mechanism in the Compound Word ‘白+X’ in Ming and Qing Dynasty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63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명청소설에 출현하는 ‘白+X’ 구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념적 통합 혼성망을 구축하고 그 의미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를 분석 한 결과, 白+X’의 수식어와 핵어에 환유와 은유가 활발히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환유가 적용된 의미구조로 [환白]+X, [환白]+[환X], 환[白+X]이고 白人, 白卷, 白錢, 白鏘, 白鏹, 白身, 白事, 白條, 白跳, 白子, 白血, 白瞪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는, 은유가 일어난 적용된 의미구조로 [은白]+X, [은白]+[은X], 은[白+X]이고 白恁, 白錢, 白捕, 白財, 白打, 白當, 白話, 白嚼, 白證, 白木, 白鬼, 白米가 이에 해당한다. 셋째는 환유와 은유가 적용된 이중구조로 [은白]+[환X]이고 白口, 白客, 白相, 白嘴, 白丁이 이에 해당한다. ‘白+X’ 구조는 문장에서 대부분 목적어나 한정어의 역할을 하면서 상대방에게 익숙한 모습으로 개념화되어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 혼성적 의미는 완곡, 강조의 화용효과를 극대화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명청소설에 출현하는 ‘白+X’ 구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념적 통합 혼성망을 구축하고 그 의미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를 분석 한 결과, 白+X’의 수식어와 핵어에 환유와 ...

      본고는 명청소설에 출현하는 ‘白+X’ 구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념적 통합 혼성망을 구축하고 그 의미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를 분석 한 결과, 白+X’의 수식어와 핵어에 환유와 은유가 활발히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는 환유가 적용된 의미구조로 [환白]+X, [환白]+[환X], 환[白+X]이고 白人, 白卷, 白錢, 白鏘, 白鏹, 白身, 白事, 白條, 白跳, 白子, 白血, 白瞪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는, 은유가 일어난 적용된 의미구조로 [은白]+X, [은白]+[은X], 은[白+X]이고 白恁, 白錢, 白捕, 白財, 白打, 白當, 白話, 白嚼, 白證, 白木, 白鬼, 白米가 이에 해당한다. 셋째는 환유와 은유가 적용된 이중구조로 [은白]+[환X]이고 白口, 白客, 白相, 白嘴, 白丁이 이에 해당한다. ‘白+X’ 구조는 문장에서 대부분 목적어나 한정어의 역할을 하면서 상대방에게 익숙한 모습으로 개념화되어 정보를 전달하는데, 그 혼성적 의미는 완곡, 강조의 화용효과를 극대화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白+X’ that appears in Ming and Qing dynasty novels, constructing a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and examining its meaning composition.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tonymy and metaphor were actively applied to the modifier and head of ‘白+X’,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meaning structure where metonymy is applied, represented by [meto白]+X, [meto白]+[metoX], meto[白+X]. The second type is the meaning structure where metaphor is applied, represented by [meta白]+X, [meta白]+[metaX], meta[白+X]. The third type is the dual structure where both metonymy and metaphor are applied, represented by [meta白]+[metoX]. The structure ‘白+X’ primarily functions as an object or a qualifier in sentences, conveying information by conceptualizing familiar forms to the recipient. Its blended meaning maximizes the pragmatic effects of euphemism and emphasis.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白+X’ that appears in Ming and Qing dynasty novels, constructing a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and examining its meaning composition.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tonymy and metaphor we...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ucture ‘白+X’ that appears in Ming and Qing dynasty novels, constructing a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 and examining its meaning composition.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it was found that metonymy and metaphor were actively applied to the modifier and head of ‘白+X’,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meaning structure where metonymy is applied, represented by [meto白]+X, [meto白]+[metoX], meto[白+X]. The second type is the meaning structure where metaphor is applied, represented by [meta白]+X, [meta白]+[metaX], meta[白+X]. The third type is the dual structure where both metonymy and metaphor are applied, represented by [meta白]+[metoX]. The structure ‘白+X’ primarily functions as an object or a qualifier in sentences, conveying information by conceptualizing familiar forms to the recipient. Its blended meaning maximizes the pragmatic effects of euphemism and emphasi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