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경로과정에서 휴대전화 중독과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연구목적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YPS) 7차 년도(2016) 자료에서 대학교 1학년생 총 1,348명을 분석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SEM)이 선택되었으며, 매개경로의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 방식을 응용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으로 도출한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의 유의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사회적 위축이 휴대전화 중독과 또래애착을 경유하여 삶의 질을 예측하는 매개경로의 유의도가 입증되었다. 제시된 분석결과를 근간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에대한 사회복지학적 개입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mediating efect of the mobile phone adiction and the atachment with per from within the path that the social withdrawal have a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For performing thi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mediating efect of the mobile phone adiction and the atachment with per from within the path that the social withdrawal have a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For performing this purpose, a total of 1,348 cases aplying to a first grade of university were chosen as an analysis target from the 7th(2016) wave of KYP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s an analysis method and aplied the sobel test for verifying the signifcance of mediating paths.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se analysis methods were as folows. Firs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direct path’s signifcance that the social withdrawal have predicted the quality of life of an university student. Secondary, this study proved the mediating efects’s signifcance conected by the mobile phone adiction and the atachment with per. Based on the this founding, this study sugested the intervention plan asociated with social welfare and the implications for a folow-up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Ⅶ: 사업보고서" 2006
2 민영숙,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공격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15-140, 2007
3 민영숙, "초등학교 5, 6학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공격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명자,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05-222, 2017
5 이시형, "청소년의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
6 송인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85-211, 2014
7 김은라,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27-446, 2018
8 이시연,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45-454, 2017
9 박은정,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1-55, 2018
10 김애경,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45-267, 2018
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Ⅶ: 사업보고서" 2006
2 민영숙,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공격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3 (23): 115-140, 2007
3 민영숙, "초등학교 5, 6학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인불안, 공격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명자, "초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05-222, 2017
5 이시형, "청소년의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2
6 송인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85-211, 2014
7 김은라,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28 (28): 427-446, 2018
8 이시연,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역량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445-454, 2017
9 박은정,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1-55, 2018
10 김애경,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휴대전화 의존과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45-267, 2018
11 최유니, "청소년의 대인관계욕구와 또래애착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12 최원석, "청소년복지론" 정민사 2012
13 황매향, "청소년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교육연구소 17 (17): 196-220, 2016
14 소난영, "청소년 여가활동, 여가만족, 또래애착,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61-591, 2019
15 한경리쿠르트 전망과 제안, "청년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16 김혜란, "아동의 사회적 위축이 정서동요와 휴대폰 의존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영향"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7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문제 척도 개발" 16 (16): 155-166, 1998
18 한상연, "스마트폰 사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20) : 49-84, 2011
19 이운경, "사회적 위축 및 부모의 과잉간섭과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205-217, 2018
20 정휘경, "부모의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1) : 195-219, 2018
21 박예슬, "부모의 방임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40 (40): 13-26, 2019
22 김지혜,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97-120, 2012
23 정일영,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42) : 89-120, 2016
24 양성지, "방과 후 신체활동 참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상태불안 및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70) : 465-474, 2017
25 이난,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25-145, 2019
26 백선숙,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48-256, 2017
27 이원식,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75-108, 2018
28 잡코리아 취업뉴스, "대학생 67% 학업과 알바 병행"
29 황미경, "다문화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과의 관계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0 Amande, B. Nickerson, "The Influenc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s on Life Satisfaction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66 : 35-60, 2004
31 방성아,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 - Esteem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3 (23): 203-209, 2018
32 Apolinaras, Z., "Social Inequality in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Comparison of Measure Approaches and Correlation with Macro-level Indices in 41 Countries" 141 (141): 1055-1079, 2019
33 Minasochah, "Peer and Paren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from Diaspora Families in Bawean Island" 304 : 134-139, 2018
34 Zulkefly, S. N., "Mobile Phone Use Amongst Students in a University Malaysia: Its Correlation and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Health European" 37 (37): 206-218, 2009
35 Beate, S., "Does the Importance of Parent and Peer Relationships for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Vary Across Cultures?" 32 : 55-80, 2012
36 Xiao, B. S., "Cyber-Bully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from the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8 (8): 34-69, 2013
37 Susan, P. A. E.,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57 : 112-126, 2008
38 Runa, S.,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3 (3): 149-165, 2010
상수도사업의 공기업 전환을 위한 정책수단의 선택과 조합에 관한 연구
IT인력의 연령집단 및 경력정체 집단과 학습성과의 확산 간 효과 연구
혁신 역량 구성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3-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융합사회연구소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for Social Science (DISS)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for Convergence Society (DICS) | ![]() |
2018-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 융합사회와 공공정책외국어명 : The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Governance -> The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and Public Policy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