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지용의 초기시와 장소의 근대성 = Modernity of place on Jeong Jiyong’s early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6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지용의 첫 시집 『정지용시집(1935)에 나타난 장소를 살폈다. 공간과 달리 장소는 구체적인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소에는 경험을 감각적으로 주관하는 개인이 등장한다. 이런 점에서 시에 등장하는 장소의 양상은 근대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20년대를 대표하는 시집으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 있고 30년대에는 『정지용시집이 있다. 두 시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비교하면 지용 시의 근대성을더욱 잘 살필 수 있다. 지용은 매우 섬세하고 예민한 감각 표현을 활용하였다. 감각을 소유한 개인의 등장은 필연적이다. 주체적 개인의 시선에 의해확보되는 장소는 더욱 경험적일 수밖에 없다. 장소감이 선명한 것도 당연하다. 이점에서 지용은 소월의 20년대 시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지용은 유학생활에서 습득한 서구의 문예이론을 본인의 창작에 적극 실험하였고 성공하였다. 이 와중에 그가 경험한 근대와 근대에 대한 자의식을 특정한 장소감으로 표출하였다. 장소에 투영한 경이감, 만족감도 초기시를 구성하는 정서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우울의 표정이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젊은 나이에 근대문명과 제국의 도회를 경험한 유학생으로서, 지용이 연출한 근대적 장소에는 자주 우울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유발하는 현실인식은 깊이 있는 문제의식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한개인의 낭만적인 우울로 수렴되고 말았다. 비록, 이것이 당대 조선 문인의어쩔 수 없는 선택 중의 하나라 해도 우울의 정체를 간파하지 못한 것은, 정지용 시의 한계가 되었다.
      번역하기

      정지용의 첫 시집 『정지용시집(1935)에 나타난 장소를 살폈다. 공간과 달리 장소는 구체적인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소에는 경험을 감각적으로 주관하는 개인이 등장한다. 이...

      정지용의 첫 시집 『정지용시집(1935)에 나타난 장소를 살폈다. 공간과 달리 장소는 구체적인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소에는 경험을 감각적으로 주관하는 개인이 등장한다. 이런 점에서 시에 등장하는 장소의 양상은 근대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20년대를 대표하는 시집으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 있고 30년대에는 『정지용시집이 있다. 두 시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비교하면 지용 시의 근대성을더욱 잘 살필 수 있다. 지용은 매우 섬세하고 예민한 감각 표현을 활용하였다. 감각을 소유한 개인의 등장은 필연적이다. 주체적 개인의 시선에 의해확보되는 장소는 더욱 경험적일 수밖에 없다. 장소감이 선명한 것도 당연하다. 이점에서 지용은 소월의 20년대 시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지용은 유학생활에서 습득한 서구의 문예이론을 본인의 창작에 적극 실험하였고 성공하였다. 이 와중에 그가 경험한 근대와 근대에 대한 자의식을 특정한 장소감으로 표출하였다. 장소에 투영한 경이감, 만족감도 초기시를 구성하는 정서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우울의 표정이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젊은 나이에 근대문명과 제국의 도회를 경험한 유학생으로서, 지용이 연출한 근대적 장소에는 자주 우울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유발하는 현실인식은 깊이 있는 문제의식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한개인의 낭만적인 우울로 수렴되고 말았다. 비록, 이것이 당대 조선 문인의어쩔 수 없는 선택 중의 하나라 해도 우울의 정체를 간파하지 못한 것은, 정지용 시의 한계가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lace on Jeong Jiyong'searly poetry. The place in the poem reflects specific experiences of apoetic speaker. Therefore, a individual who has a sensory responseappears in the place. In this sense, a place in the poem is a standard foridentifying modernity.
      At first, Kim Sowol's poems are compared with Jeong Jiyong's poems.
      It is a kind of a wa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Jiyong’s poetry.
      Jiyong took advantage of very delicate sensory on writing poem. So, theappearance of a individual with a sense is inevitable. An empirical placeappears by the eyes of an independent individual. Jiyong took Sowol'spoetry to a new level.
      Jiyong learned western literary theories from his study abroad. Heactively experimented with creation and succeeded. He expressed hisexperience of modern times in a sense of place. A sense of wonder andsatisfaction are the emotions that make up the initial period, but the mostrepresentative is the melancholy. As a colonial intellectual, an internationalstudent who has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the place on Jiyong’poem often featured melancholy. However, it did not develop into a deepproblem-conscious mind. Although this was one of the inevitable choicesof Joseon writers of the time, it became a limit to Jeong Jiyong's poetr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lace on Jeong Jiyong'searly poetry. The place in the poem reflects specific experiences of apoetic speaker. Therefore, a individual who has a sensory responseappears in the place. In this sense, a place i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lace on Jeong Jiyong'searly poetry. The place in the poem reflects specific experiences of apoetic speaker. Therefore, a individual who has a sensory responseappears in the place. In this sense, a place in the poem is a standard foridentifying modernity.
      At first, Kim Sowol's poems are compared with Jeong Jiyong's poems.
      It is a kind of a wa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Jiyong’s poetry.
      Jiyong took advantage of very delicate sensory on writing poem. So, theappearance of a individual with a sense is inevitable. An empirical placeappears by the eyes of an independent individual. Jiyong took Sowol'spoetry to a new level.
      Jiyong learned western literary theories from his study abroad. Heactively experimented with creation and succeeded. He expressed hisexperience of modern times in a sense of place. A sense of wonder andsatisfaction are the emotions that make up the initial period, but the mostrepresentative is the melancholy. As a colonial intellectual, an internationalstudent who has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the place on Jiyong’poem often featured melancholy. However, it did not develop into a deepproblem-conscious mind. Although this was one of the inevitable choicesof Joseon writers of the time, it became a limit to Jeong Jiyong's poet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희, "현대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2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권영민, "정지용전집" 민음사 2016

      4 김동희, "정지용과 ‘교토’라는 장소" 한국시학회 (45) : 113-144, 2016

      5 윤의섭, "정지용 후기시의 장소성" 현대문학이론학회 (46) : 125-144, 2011

      6 남기혁, "정지용 초기시의 ‘보는’ 주체와 시선(視線)의 문제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2)-" 한국현대문학회 (26) : 161-201, 2008

      7 이숭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 1999

      8 송기한, "정지용 시에서의 바다의 의미" 2013

      9 이광호,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형성과 변이" 민족어문학회 (64) : 241-264, 2011

      10 권정우, "정지용 시론 연구" 개신어문학회 25 : 2007

      1 심승희, "현대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2 메를로 퐁티,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권영민, "정지용전집" 민음사 2016

      4 김동희, "정지용과 ‘교토’라는 장소" 한국시학회 (45) : 113-144, 2016

      5 윤의섭, "정지용 후기시의 장소성" 현대문학이론학회 (46) : 125-144, 2011

      6 남기혁, "정지용 초기시의 ‘보는’ 주체와 시선(視線)의 문제 -식민지적 근대와 시선의 계보학(2)-" 한국현대문학회 (26) : 161-201, 2008

      7 이숭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 1999

      8 송기한, "정지용 시에서의 바다의 의미" 2013

      9 이광호,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형성과 변이" 민족어문학회 (64) : 241-264, 2011

      10 권정우, "정지용 시론 연구" 개신어문학회 25 : 2007

      11 이숭원, "정지용 시론" 2 : 1993

      12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3 문재원,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혜안 2010

      14 팀 크레스웰, "장소" 시그마프레스 2012

      15 정연희, "이태준 문학의 멜랑콜리와 문화적 모더니티" 국어문학회 69 (69): 249-276, 2018

      16 이광호, "시선의 문학사" 문학과지성사 2015

      17 정경운, "근대 문인의 '사회적 얼굴'로서의 우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309-331, 2011

      18 김우창, "궁핍한 시대의 시인 1권" 민음사 1977

      19 이 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5

      20 조명숙, "‘장소’와 ‘감각’의 상관성 연구-정지용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2) : 89-117,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