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커방식 증강현실기법의 건설현장 적용성 연구 (철근배근 검측업무 사례적용) = Field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y Marker Mapping for Construction Project (Focused on Measurement Process of Rebar 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2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현실 환경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생성한 가상의 객체정보를 중첩해봄으로써 가상현실 상에서 느낄 수 없는 실감형 모델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현실 환경을 기반으로 컴퓨터에서 생성한 가상의 객체정보를 중첩해봄으로써 가상현실 상에서 느낄 수 없는 실감형 모델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공사 철근배근 작업에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론과 시스템 시제품을 구성하여 철근공사 작업의 증강현실 적용성을 검증하고 있다. 토목공사 현장의 여러 작업들 중에서 철근공사는 절차화된 매뉴얼방식보다는 숙련공의 경험적 방식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는 대표적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면 당초 계획도면과 비교하여 누락된 철근배근 및 상이한 배근 상태를 시각화하여 계측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축된 시스템은 3차원으로 모델링 된 철근객체를 실제 시공현장에 중첩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철근 조립공정들의 작업 이해도를 높이고, 검측단계에 활용함으로써 철근조립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와 재작업으로 인한 비용증가를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visualizes a real type object that cannot simulate in virtual reality technology by overlapping a virtual object and real object in a computer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and prototype system for applyin...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visualizes a real type object that cannot simulate in virtual reality technology by overlapping a virtual object and real object in a computer system.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and prototype system for applying AR system to rebar distribution work in a civil engineering project. Rebar work in civil engineering project is a representative activity that is progressed by empirical approach of skilled labor rather than formalized manual. AR technology improves the constructability of rebar work because AR tool can identify missing rebars and different rebars comparing with the drawings. AR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ebar work using 3D modeling with real image of construction site and sav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reconstruction 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정림, "주거단지 배치계획을 위한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21 (21): 89-97, 2010

      2 박우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철근공사 배근상세 최적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25-132, 2003

      3 박소영, "기존 건축물의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기술 응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37-44, 2005

      4 정현옥, "국내 건축물 조립용 철근 배근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9 (9): 39-46, 2009

      5 이택운, "공동주택 철근공사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8 (8): 71-79, 2008

      6 Golparvar-Fard, M,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ASCE 23 (23): 391-404, 2009

      7 Wang, X, "User perspectives on mixed reality tabletop visualization for face-to-face collaborative design review" 17 (17): 399-412, 2008

      8 Lee, U. K, "Th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bar work in korean building construction"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 (2): 133-136, 2002

      9 Kim, B. G,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SCE 26 (26): 391-404, 2012

      10 Shin, D. H, "Identification of application areas for augmented reality in industrial construction based on technology suitability" 17 (17): 882-894, 2008

      1 류정림, "주거단지 배치계획을 위한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21 (21): 89-97, 2010

      2 박우열,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철근공사 배근상세 최적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25-132, 2003

      3 박소영, "기존 건축물의 효율적인 정보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기술 응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37-44, 2005

      4 정현옥, "국내 건축물 조립용 철근 배근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9 (9): 39-46, 2009

      5 이택운, "공동주택 철근공사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8 (8): 71-79, 2008

      6 Golparvar-Fard, M, "Visualization of construction progress monitoring with 4D simulation model overlaid on time-lapsed photographs" ASCE 23 (23): 391-404, 2009

      7 Wang, X, "User perspectives on mixed reality tabletop visualization for face-to-face collaborative design review" 17 (17): 399-412, 2008

      8 Lee, U. K, "The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bar work in korean building construction"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 (2): 133-136, 2002

      9 Kim, B. G,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ASCE 26 (26): 391-404, 2012

      10 Shin, D. H, "Identification of application areas for augmented reality in industrial construction based on technology suitability" 17 (17): 882-894, 2008

      11 Kim, G. H, "Development of a improvement system for quality & cost management of rebar work in korean building construc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 (18): 121-128, 2002

      12 Zlatanova, 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GISt 2002

      13 Azuma, R. T,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6 (6): 355-385, 1997

      14 Park, S. Y, "A study on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n augmented reality" YonSei University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