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치기반 SNS로서의 공간미디어 활용 전략 = A strategy on the use of space media as Location based S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Location-based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growing explosivel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ssist the purpose achievement of a space. Location-based SNS is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spaces as it stands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locations. So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to the space could share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s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ey could take ever-changing experiences.
      Firstly, the concept and features of Location-based SNS are studied and its possibility as a tool of marketing is proved.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ed that Location-based SNS has the intrinsic structure of rewards and satisfactions. Secondly, space media are able to perform better than smartphones in terms of substantiality, human scale, fully sensed experience and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Smartphones are the best powerful media in terms of the invigoration of Location-based SNS. So this paper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an accordion management to smarphones. First, adaptation strategy make suggestions of oneness to all smartphones,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and instant response to accomodate smartphone usrs into the space. Second, supplement strategy is to make the space more attractive place by making up for the functions of smarphones. Those are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maximization of visual effects, expansion of the depth and range of information, reinforcement of augmented reality and establishment of human hubs. Third strategy is differentiation by variation of navigation, activation of location-based games, differentiation of recognition capabilities, spatial exploitation fo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ectualization of space.
      번역하기

      Recently, Location-based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growing explosivel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ssist the purpose achievement of a space. Location-based SNS is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space...

      Recently, Location-based SNS(social network service) are growing explosivel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ssist the purpose achievement of a space. Location-based SNS is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spaces as it stands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locations. So it is expected that visitors to the space could share their experiences and knowledges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ey could take ever-changing experiences.
      Firstly, the concept and features of Location-based SNS are studied and its possibility as a tool of marketing is proved.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ed that Location-based SNS has the intrinsic structure of rewards and satisfactions. Secondly, space media are able to perform better than smartphones in terms of substantiality, human scale, fully sensed experience and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Smartphones are the best powerful media in terms of the invigoration of Location-based SNS. So this paper suggests three strategies of an accordion management to smarphones. First, adaptation strategy make suggestions of oneness to all smartphones,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and instant response to accomodate smartphone usrs into the space. Second, supplement strategy is to make the space more attractive place by making up for the functions of smarphones. Those are precise location measurement, maximization of visual effects, expansion of the depth and range of information, reinforcement of augmented reality and establishment of human hubs. Third strategy is differentiation by variation of navigation, activation of location-based games, differentiation of recognition capabilities, spatial exploitation for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ectualization of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인기와 더불어 위치기반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고는 위치기반 SNS를 특정 공간 내에서 활성화하여 공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위치기반 SNS는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기에 물리적 공간과 관련이 깊다. 위치기반 SNS를 통해 공간의 방문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신의 체험이나 지식을 교환함으로서 스스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체험을 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먼저 위치기반 SNS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마케팅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한 후 내재적으로 행위자들이 참여하게 하는 보상의 구조와 욕망충족의 구조가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공간 미디어들은 실체성, 인간적 척도, 전감각적 체험, 정밀한 위치측위 등의 관점에서 스마트폰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위치기반 SNS의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위치기반 SNS로서 공간미디어의 활용전략은 위치기반 SNS를 활성화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식의 전략을 제한하였다. 먼저 순응전략은 공간미디어가 스마트폰에 대한 개방성, 정보 서비스의 개인화, 즉각적인 반응상태 유지 등을 갖추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특정 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는 보완 전략으로서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공간미디어를 통해 보완될 때 더욱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다. 이는 정밀한 위치정보 제공, 시각적 극대화, 정보의 깊이와 범위의 확장, 증강현실의 강화, 휴먼허브 구축 등을 들었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네비게이션의 다양화, 위치기반 게임의 활성화, 인식기능의 차별화, 집단지성을 위한 공간의 활용, 공간의 인공지능화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인기와 더불어 위치기반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고는 위치기반 SNS를 특정 공간 내에서 활성화하여 공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인기와 더불어 위치기반 SNS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고는 위치기반 SNS를 특정 공간 내에서 활성화하여 공간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위치기반 SNS는 지리적 위치를 기반으로 하기에 물리적 공간과 관련이 깊다. 위치기반 SNS를 통해 공간의 방문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자신의 체험이나 지식을 교환함으로서 스스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체험을 하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먼저 위치기반 SNS의 개념과 특징을 고찰하고 마케팅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증명한 후 내재적으로 행위자들이 참여하게 하는 보상의 구조와 욕망충족의 구조가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공간 미디어들은 실체성, 인간적 척도, 전감각적 체험, 정밀한 위치측위 등의 관점에서 스마트폰보다 뛰어나기 때문에 위치기반 SNS의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위치기반 SNS로서 공간미디어의 활용전략은 위치기반 SNS를 활성화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식의 전략을 제한하였다. 먼저 순응전략은 공간미디어가 스마트폰에 대한 개방성, 정보 서비스의 개인화, 즉각적인 반응상태 유지 등을 갖추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특정 공간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는 보완 전략으로서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나 공간미디어를 통해 보완될 때 더욱 매력적인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다. 이는 정밀한 위치정보 제공, 시각적 극대화, 정보의 깊이와 범위의 확장, 증강현실의 강화, 휴먼허브 구축 등을 들었다. 차별화 전략으로는 네비게이션의 다양화, 위치기반 게임의 활성화, 인식기능의 차별화, 집단지성을 위한 공간의 활용, 공간의 인공지능화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콘텍트렌즈 속 가상현실"

      2 피에르 레비,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3 명진규, "위치정보 다오, 돈줄게"

      4 주민영, "애플과 구글, 위치기반 SNS로 격돌?"

      5 최용석, "아이폰과 아이패드 애플의 전략" 아라크네 2010

      6 홈범식, "시간과 공간, 超세분화하라!"

      7 김상배, "복잡계이론과 네트워크 세계정치론" 2006

      8 김동섭, "미학적 미디어공간마케팅 개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91-101, 2007

      9 정재훈, "모바일 마케팅의 발전 전략 연구" 원광대학교 2006

      10 이수룡, "대상정보기술의 RTLS 솔루션" 2006

      1 김주환, "콘텍트렌즈 속 가상현실"

      2 피에르 레비,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3 명진규, "위치정보 다오, 돈줄게"

      4 주민영, "애플과 구글, 위치기반 SNS로 격돌?"

      5 최용석, "아이폰과 아이패드 애플의 전략" 아라크네 2010

      6 홈범식, "시간과 공간, 超세분화하라!"

      7 김상배, "복잡계이론과 네트워크 세계정치론" 2006

      8 김동섭, "미학적 미디어공간마케팅 개념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91-101, 2007

      9 정재훈, "모바일 마케팅의 발전 전략 연구" 원광대학교 2006

      10 이수룡, "대상정보기술의 RTLS 솔루션" 2006

      11 한스-게오르크 호이젤, "뇌, 욕망의 비밀을 풀다" 흐름출판 2008

      12 김광현, "내 위치 알려주마…제2트위터 `포스퀘어` 뜬다"

      13 이수환, "난 알고 있다 네가 어디 있는지…"

      14 배리 리버트, "나보다 똑똑한 우리" 럭스미디어 2010

      15 김정준, "공간 DSMS 기반 RTLS의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0 (10): 44-55, 2008

      16 서동진, "감성커뮤니티를 위한 디지털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1

      17 "www.scvgr.com"

      18 "www.patentlyapple.com"

      19 "ko.wikipedia.org"

      20 "en.wikipedia.org"

      21 Edwards, L., "Two Reinal Imaging Display Devices at Prototype Stage"

      22 Steiniger, S., "Foundations of Location Based Services" University of Zurich 2006

      23 Lonescu, D., "2010년의 뜨거운 감자, 지오로케이션의 모든 것"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