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현희, "한국의 통번역 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한국번역학회 18 (18): 171-202, 2017
2 마승혜, "한국 젠더 번역 사례 연구 - The Awakening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9 (19): 23-52, 2015
3 서유경, "한국 여성어 번역과 문화 간극 - 김주영의 <천둥소리> 러시아어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6 (16): 39-67, 2012
4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5 박미정, "펄벅 <대지> 의 여성지시어 번역 양상 고찰* 한국어번역과 일본어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6 (16): 1-22, 2012
6 김진아, "중국에서의 번역의 지위 및 페미니즘 번역이론의 발전" 통번역연구소 16 (16): 19-37, 2012
7 이상빈, "자막번역에 의한 여성 재현의 변이: 영화 <섹스 앤 더 시티 2>의 여성주의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0 (20): 59-80, 2016
8 이상빈, "인물형상화와 페미니즘 번역: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SF 소설 「휴스턴, 휴스턴, 들리는가?」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9 (19): 147-176, 2018
9 박소영, "식민지 여성 통역사: 말린체와 배정자" 통번역연구소 19 (19): 127-146, 2015
10 김욱동, "속담의 성차별과 젠더 번역" 통번역연구소 16 (16): 109-127, 2012
1 한현희, "한국의 통번역 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한국번역학회 18 (18): 171-202, 2017
2 마승혜, "한국 젠더 번역 사례 연구 - The Awakening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9 (19): 23-52, 2015
3 서유경, "한국 여성어 번역과 문화 간극 - 김주영의 <천둥소리> 러시아어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6 (16): 39-67, 2012
4 박용옥, "한국 여성 근대화의 역사적 맥락" 지식산업사 2001
5 박미정, "펄벅 <대지> 의 여성지시어 번역 양상 고찰* 한국어번역과 일본어번역 비교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6 (16): 1-22, 2012
6 김진아, "중국에서의 번역의 지위 및 페미니즘 번역이론의 발전" 통번역연구소 16 (16): 19-37, 2012
7 이상빈, "자막번역에 의한 여성 재현의 변이: 영화 <섹스 앤 더 시티 2>의 여성주의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20 (20): 59-80, 2016
8 이상빈, "인물형상화와 페미니즘 번역: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의 SF 소설 「휴스턴, 휴스턴, 들리는가?」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9 (19): 147-176, 2018
9 박소영, "식민지 여성 통역사: 말린체와 배정자" 통번역연구소 19 (19): 127-146, 2015
10 김욱동, "속담의 성차별과 젠더 번역" 통번역연구소 16 (16): 109-127, 2012
11 김영신, "번역의 은유화-개념은유를 통해 살펴 본 번역" 통번역연구소 20 (20): 1-24, 2016
12 이상원, "번역에서 여성어는 존재하는가?" 통번역연구소 16 (16): 1-18, 2012
13 김세현, "번역과 젠더: 페미니즘 시대의 번역" 동인출판사 2017
14 김신좌, "번역과 사회언어학적 개념으로서의 젠더" 한국통역번역학회 5 (5): 79-99, 2003
15 유미향, "번역가의 젠더와 성적 표현의 번역: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Le Deuxième sexe) 번역본 비교" 한국번역학회 13 (13): 143-173, 2012
16 이상빈, "문화번역과 젠더번역에 관한 이론적 고찰" 통번역연구소 16 (16): 23-42, 2012
17 김동미, "문학작품 영한번역문에 나타나는 여성 문체 연구 —한자어 사용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11 (11): 73-95, 2010
18 김동미, "문학작품 속에 나타나는 ‘여성 번역가’ 문체 연구" 한국번역학회 10 (10): 7-32, 2009
19 이향, "국내 번역학 연구 경향에 관한 일 고찰 -「통번역학 연구」게재 논문의 분류를 중심으로" 통번역연구소 15 : 341-362, 2011
20 이상빈, "광고와 젠더 번역: 수입자동차 인쇄광고의 남성타깃 번역전략" 통번역연구소 21 (21): 85-108, 2017
21 손나경, "『정부원』 번안 과정으로 살펴본 “정숙” 이념 강화 양상" 한국번역학회 18 (18): 59-90, 2017
22 이상빈, "『버자이너 모놀로그』를 통해 살펴본 국내 페미니즘 번역이 나아가야 할 방향" 통번역연구소 21 (21): 109-135, 2017
23 박소영, "『레라미 프로젝트(The Laramie Project)』의 성소수자 지칭어 번역" 한국통역번역학회 20 (20): 19-42, 2018
24 Hyun, T, "Writing Women in Korea: Translation and Feminismin the Colonial Perio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3
25 Federici, E, "Translating Gender" Peter Lang 2011
26 de Lotbinière-Harwood, S., "The Body Bilingual: Translation as a Rewriting in the Feminine" Les Éditions du remue-ménage and Women’s Press 1986
27 신혜정, "Student-oriented Translation Evaluation: Action Research Approach" 한국번역학회 10 (10): 87-113, 2009
28 조성은, "On Translating Na Hye-seok’s Gyeong-hui" 한국번역학회 9 (9): 227-246, 2008
29 장민호, "CEO Gender and Readability - of CEO Greetings Translation" 통번역연구소 16 (16): 69-83, 2012
30 Butler, J.,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Routledge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