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락, "전치사: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2)" 41 : 144-175, 2000
2 이기동,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2000
3 이기동, "영어 전치사 연구: 의미와 용법" 교문사 1998
4 김일곤, "영어 전치사 ON의 인지적 의미분석" 8 (8): 43-67, 2001
5 김동미, "영상번역 교육 개념의 범주에 대한 재조명-AI 출현(2017년) 전·후(前·後)를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6-25, 2019
6 유선영, "언어의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연구- 통·번역 교육에서의 영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61-83, 2019
7 유선영, "번역을 위한 인지문법의 활용 : 영어 공간 전치사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8 신상범, "문학텍스트의 번역전략 연구- 문화고유어를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111-133, 2019
9 김동미, "게임과 번역학습의 동기부여 상관관계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6 (16): 5-28, 2018
10 Bassnett -McGuire, Susan, "Translation Studies" Routledge 2002
1 김창락, "전치사: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2)" 41 : 144-175, 2000
2 이기동,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2000
3 이기동, "영어 전치사 연구: 의미와 용법" 교문사 1998
4 김일곤, "영어 전치사 ON의 인지적 의미분석" 8 (8): 43-67, 2001
5 김동미, "영상번역 교육 개념의 범주에 대한 재조명-AI 출현(2017년) 전·후(前·後)를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6-25, 2019
6 유선영, "언어의 정치적 정당성에 관한 연구- 통·번역 교육에서의 영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61-83, 2019
7 유선영, "번역을 위한 인지문법의 활용 : 영어 공간 전치사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0
8 신상범, "문학텍스트의 번역전략 연구- 문화고유어를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7 (17): 111-133, 2019
9 김동미, "게임과 번역학습의 동기부여 상관관계 연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6 (16): 5-28, 2018
10 Bassnett -McGuire, Susan, "Translation Studies" Routledge 2002
11 Jacobson, R, "The Translation Studies Reader" Routledge 1959
12 Langacker, Ronald. W.,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II: Descriptive Applic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1
13 Newmark, Peter, "A Textbook of Translation" Prentice Hall Europe 1998
14 Quirk,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 Longman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