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귀농인 실태조사를 이용한 취약계층 귀농인 실태 비교분석: 사회적 농업 적용대상자 관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43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취약계층 귀농인과 다른 일반 귀농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취약계층 귀농인들이 왜 사회적 농업의 대상자로 인식되어야 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농업의 취지...

      본 연구는 취약계층 귀농인과 다른 일반 귀농인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취약계층 귀농인들이 왜 사회적 농업의 대상자로 인식되어야 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농업의 취지가 일반 농업 정책인 귀농정책에 적용되기 위해서 어떤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그룹인 취약계층은 소득 기준에 따른 저소득층을 의미한다. 정부의 다양한 저소득층 지원사업의 대상 기준을 토대로 1~2분위 그룹 및 1~3분위 그룹을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분위의 기준은 국가통계인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제시하는 가구원 수별 소득 5분위 자료이다. 귀농 전부터 귀농 준비과정 그리고 귀농 이후의 삶까지 전 영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귀농 준비, 주택, 영농, 농업생산 활동 이외의 경제활동, 지역 내 활동, 생활, 정부 지원영역으로 나누어 그룹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취약계층 귀농인은 그간 사회적 농업에서 나타난 사회적 배려 대상자와 비슷한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취약성은 귀농 준비과정부터 정착 이후 삶까지 모두 나타났다. 이는 취약계층 귀농인도 사회적 농업의 취지에 맞는 대상자로 보고 접근해야 할 당위성을 보여준다. 이에 귀농지원 정책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배려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migrant farmers; vulnerable group and the other group. The vulnerable group means the low-income group which is used in social welfare policies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o a comparative analys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migrant farmers; vulnerable group and the other group. The vulnerable group means the low-income group which is used in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he group was measured 1st to 2nd quantile group or 1st to 3rd quantile group out of the 5-quantile group of the household income which is categori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comparison was made over various areas including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ing, housing, farming practice, nonagricultural economic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in the region, governmental support, etc.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a governmental survey on urban-to-rural migrant farmer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returning to farming and rural village in 2016.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low-income group was relatively more vulnerable in the series of steps from preparation for returning to farm, farming practice, settlement, and social activities after settlement. The vulnerability of the low income migrant farmers was similar to those of the social farming participants. The results reinforced the suggestion that the vulnerable group should be considered as the target group of social farm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과 자료
      • Ⅳ. 분석 결과
      • Ⅴ. 분석 결과 요약 및 논의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과 자료
      • Ⅳ. 분석 결과
      • Ⅴ. 분석 결과 요약 및 논의
      • Ⅵ. 시사점 및 한계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자, "한국복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 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5-51, 2014

      2 김경미,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20 (20): 909-936, 2013

      3 김교성, "차상위계층의 규모와 특성 및 지위 변화" 사회복지연구소 22 : 83-109, 2009

      4 김혜정, "지역사회 시민의 참여활동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6 (46): 213-240, 2012

      5 보건복지부, "중앙부처 차상위계층 지원사업 안내"

      6 전익수, "정부 정책이 귀농인 가구소득에 미친 효과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2 (42): 103-135, 2019

      7 조원지, "전라북도 사회적농업 활성화 방안" 전북연구원 2020

      8 정철, "전남 사회적농업 육성방안" 광주전남연구원 2018

      9 이성대, "저소득층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85-304, 2013

      10 보건복지부, "자활사업안내"

      1 김혜자, "한국복지패널(2005-2011)의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활용한 도시·농촌 간 빈곤 격차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5-51, 2014

      2 김경미,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20 (20): 909-936, 2013

      3 김교성, "차상위계층의 규모와 특성 및 지위 변화" 사회복지연구소 22 : 83-109, 2009

      4 김혜정, "지역사회 시민의 참여활동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6 (46): 213-240, 2012

      5 보건복지부, "중앙부처 차상위계층 지원사업 안내"

      6 전익수, "정부 정책이 귀농인 가구소득에 미친 효과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2 (42): 103-135, 2019

      7 조원지, "전라북도 사회적농업 활성화 방안" 전북연구원 2020

      8 정철, "전남 사회적농업 육성방안" 광주전남연구원 2018

      9 이성대, "저소득층 가구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탈출에 미치는 효과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85-304, 2013

      10 보건복지부, "자활사업안내"

      11 이현정, "자가가구와 차가가구의 사회경제적 차이 및 주거비 지출 영향요인" 한국주거학회 29 (29): 59-70, 2018

      12 이시바이 모토야, "일본의 사회적 농업: 지방공공단체의 농복연계(農福連携)를 중심으로" 65 : 193-209, 2018

      13 코시바유리에, "일본의 사회적 농업 - 농업과 복지의 연계" 63 : 72-98, 2017

      14 전영현, "일본의 사회적 농업" 196 : 27-47, 2016

      15 임송수, "유럽의 사회적 농업 개관과 이탈리아의 사례" 195 : 3-30, 2016

      16 이정해, "유럽의 사회적 농업 - 실천과 지원 정책" 63 : 48-71, 2017

      17 이혜진, "영국의 사회적 농업" 196 : 3-26, 2016

      18 최원실,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3 (43): 65-90, 2020

      19 윤선희, "사회적농업 육성 및 인식확산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공기업학회 14 (14): 65-89, 2018

      20 이동현, "사회적 농업의 필요성과 농협의 역할" 농협중앙회 농협미래경영연구소 387 : 2017

      21 황수철, "사회적 농업의 의의와 정책방향" 63 : 14-46, 2017

      22 김정섭, "사회적 농업의 실태와 중장기 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7

      23 유리나, "사회적 농업의 실천유형별 특징과 과제" 68 : 162-183, 2019

      24 유리나, "사회적 농업의 사회적 경제 특성에 관한 연구 - 사회혁신 가능성의 탐색 -" 한국농촌계획학회 25 (25): 151-159, 2019

      25 임송수, "사회적 농업: 패러다임의 전환" KREI 2017

      26 임송수, "사회적 농업: 결론 및 시사점" 197 : 31-45, 2017

      27 김정섭, "사회적 농업, 농업과 농촌의 탈영토화 -홍성군 장곡면 사례-" 한국농촌지도학회 25 (25): 121-133, 2018

      28 김정섭,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관계 부처 협업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 2019

      29 전용일,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농업 육성법안」의 지원 대상 범위 확대방안 고찰" 법학연구원 (67) : 341-369, 2019

      30 농림축산식품부,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지침"

      31 농정연구센터, "사회적 농업 실천사례와 정책과제: 제297회 세미나 지상중계" 68 : 184-213, 2019

      32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협의 운용지침"

      33 정상택, "독일의 사회적 농업 사례" 63 : 127-148, 2017

      34 안규미, "독일의 사회적 농업" 197 : 3-30, 2017

      35 독일 바이에른주 농업청, "독일 바이에른 주의 사회적 농업 지침서" 63 : 150-192, 2017

      36 이해진, "대안가치지향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특성과 역할"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49-90, 2013

      37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사업시행계획" 2019

      38 송미령, "농촌 취약계층 생활실태 조사 및 지원체계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39 황수철, "농업발전전략을 바꿔라" 67 : 14-79, 2018

      40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 사업안내서"

      41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 사업시행지침서"

      42 허준수, "노인들의 사회참여활동 유형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64) : 235-263, 2014

      43 윤성호, "노동빈민의 사회적 배제가 빈곤경험에 미치는 영향" 2005

      44 이윤정, "네덜란드의 사회적 농업: 치유농업(Care farming)을 중심으로" 195 : 31-47, 2016

      45 박대식,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참여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농촌사회학회 25 (25): 41-87, 2015

      46 마상진, "귀농・귀촌인의 경제활동유형별 관련 요인 탐색" 한국농촌사회학회 25 (25): 89-124, 2015

      47 성지혜, "귀농한 가족, 귀농하지 않은 여성 : 청도군 귀농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91-138, 2013

      48 김백수, "귀농인의 농촌사회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분석" 한국농촌사회학회 23 (23): 7-48, 2013

      49 김기흥, "귀농귀촌 개념과 정책 방향 재정립에 관한 연구: 충남 사례를 기반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8 (28): 47-86, 2018

      50 마상진,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 4차년도(20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51 마상진, "귀농·귀촌의 역사적 고찰과 시사점" 한국농촌사회학회 29 (29): 7-32, 2019

      52 진명숙, "귀농·귀촌 정책 담론에 나타난 농촌성 표상 과정" 한국농촌사회학회 25 (25): 7-40, 2015

      53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54 정영일, "가구 과부담의료비 측정에 관한 연구 고찰 및 시사점"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19 (19): 1-27, 2013

      55 濱田健司(하마다켄지), "農福連携における農業分野での就労の広がりと可能性.:NPO法人農スクールの取組み" JA共済総合研究所 2015

      56 濱田健司(하마다켄지), "生活困窮者の農業就労訓練に関する地域間連携: 新たな農福連携モデル" JA共済総合研究所 2016

      57 Iacovo, F. D.,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ARISA 2009

      58 Iacovo, F. D.,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ARISA 2009

      59 Hassink, J., "Supporting Policies for Social Farming in Europe: Progressing Multifunctionality in Responsive Rural Areas" ARISA 2009

      60 Iacovo, F. D., "Social Services in Multifunctional Farms. EU 6th Freamwork Programme" 2009

      61 Social Farming, "Social Services in Multifunctional Farms"

      62 Genova, A., "Social Farming: Heterogeneity in Social and Agricultural Relationships" 12 (12): 4824-, 2020

      63 Cosmin, S., "Social Farming in Romania: A Synchronic Approach, Agricultural Management / Lucrari Stiintifice Seria I" 21 (21): 89-96, 2019

      64 Hudcová, E., "Social Entrepreneurship in Agriculture, A Sustainable Practice for Social and Economic Cohesion in Rural Area: The Case of The Czech Republic" 10 (10): 377-397, 2018

      65 Giaré, F., "Migrants Workers and Processes of Social Inclusion in Italy: The Possibilities Offered by Social Farming" 12 (12): 3991-, 2020

      66 Moruzzo, R., "Italian Social Farming: the Network of Coldiretti and Campagna Amica" 12 (12): 5036-, 2020

      67 Sempik, J., "Green Care: A conceptual framework, A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he Health Benefits of Green Care" Loughborough University 2010

      68 Vadnal, K., "Farming for Health: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2006

      69 Fjeldavli, E.,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2006

      70 Elsen, T. V.,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2006

      71 Driest, P. F.,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2006

      72 Hassink, J.,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pringer 2006

      73 Borsotto, P.,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etworks in social farming" 21 (21): 481-506,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