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학의 시적, 시의 철학적 태도에 나타난 호혜적 양상 = Reciprocal aspect on Poetic Behavior of Philosophy and Philosophical Behavior of Po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10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인 문학과 철학 간의 접경(接境)내지 월경(越境)의 설정문제를 놓고, 두 영역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 그리고 그 확산과 이에서 비롯된 알력 및 혼전의 양상 ...

      본 논문은 인문학의 중요한 과제인 문학과 철학 간의 접경(接境)내지 월경(越境)의 설정문제를 놓고, 두 영역 사이의 유동적인 관계들, 그리고 그 확산과 이에서 비롯된 알력 및 혼전의 양상 속에서 도리어 호혜적 측면에 관심을 두어 살폈다. 이는 그간의 고착화된 문법이 지켜왔던 경계선을 뛰어넘어 양자의 공조 관계를 확인하고 기존의 분할된 사유방식들의 결합과 학접(學接)에 근거한 호혜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학비평의 측면에서 옮겨놓기의 일환으로서의 ‘페러프레이즈’ 작업과 이를 제거하는 ‘해체’와 ‘오독’의 순기능이 적용된 호혜적 양상을 살폈다. 그리고 그러한 특징을 다각적인 근거를 통해 제시했는데, 여기에는 먼저 철학하는 것의 태도인 ‘놀라움’, 그리고 그 구체적 본질이 되는 찬미는 다름 아닌 시작(詩作)의 본질로 전이되는 것, 둘째 철학적 상상력이 시적 상상력으로 전이되는 영역 간 호혜를 통해, 철학적 사유에 따른 논리와 규범에서 기인한 철학적 포괄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오히려 대상 세계를 초월하여 새로운 관념적 질서를 창조하는 시인의 정신활동과 로고스적 능력을 논증했으며,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출구를 문학에서 찾으려 했던 과정에, 필연적으로 그 한계가 노출되었고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매울 수 있는 계기를 주·객관의 문제를 들어 철학적 고찰 속에서 살폈다.
      요컨대 문학과 철학, 그리고 철학과 문학의 관계는 보편적 해석에서 발로된 철학의 이성적 전통에 대한 존중과 역으로 종래의 철학이 고수한 근본주의적 입장에서의 유연한 일탈이 가져 올 호혜적 양상의 지속이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reciprocal perspective of fluid relationship between two regions and the conflict and confusion from expansion on the criteria of setting border or transcendental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significa...

      This thesis is to evaluate the reciprocal perspective of fluid relationship between two regions and the conflict and confusion from expansion on the criteria of setting border or transcendental distance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the significant project of the humanities. This is to overcome the boundary by fixed laws of literature to confirm the cooperation between two and to promote literature product through reciprocity based on combination and academic conglomeration of conventionally divided system.
      For this, at first, as a solution to move it away from literature critics, the reciprocal transition with application of "paraphrase", "decommissioning" to remove, and proper function of "misreading" were evaluated. Thereafter, such characteristics were proposed through multilateral bases. Here at, first, "surprise", the aspect of philosophy, and applaud of concrete fundamental to be transferred to the fundamental of beginning, second, recognition of philosophical logic and philosophical inclusiveness from standard and proof of logos ability and psychological activity of poet creating a new ideological order by transcending the subject world through reciprocity between regions transferred from philosophical imagination to poetic imagination, and at last, philosophical reconsideration on subjective and objective issues to refill and overcome the limits from finding of the exit at literature to defeat the epistemic boundary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hilosophy shall be maintained as a reciprocal transition from flexible deviation from the fundamentalistic perspective promoted by conventional philosophy and as a respect of logical tradition of philosophy from conservative analy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페러프레이즈’ 그리고 해체
      • 3. 시적 탁월성과 철학의 공조
      • 4. 소결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 2. ‘페러프레이즈’ 그리고 해체
      • 3. 시적 탁월성과 철학의 공조
      • 4. 소결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재와 무" 삼성출판사 1999

      2 platon, "국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997

      3 송희복, "관계적 사유의 그물망과 서정시의 친화력 한국 근현대시와 동양사상" 국제언어문학회 (29) : 1-25, 2014

      4 Hermut Kuhn, "Theology Today, Bd. Ⅳ" 235-, 1947

      5 "Theaitetos"

      6 F.Nietzsche, "The Will to Power" Vintage 266-, 1967

      7 William James, "The Principles of PsychologyⅠ" Dover Publications 76-, 1950

      8 C.M. Wallace, "The Design of Biographia Literaria" Allen 79-, 1983

      9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of T.S. Eliot" Faber and Faber 19-, 1969

      10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Faber and Faber 380-381, 1955

      1 "존재와 무" 삼성출판사 1999

      2 platon, "국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1997

      3 송희복, "관계적 사유의 그물망과 서정시의 친화력 한국 근현대시와 동양사상" 국제언어문학회 (29) : 1-25, 2014

      4 Hermut Kuhn, "Theology Today, Bd. Ⅳ" 235-, 1947

      5 "Theaitetos"

      6 F.Nietzsche, "The Will to Power" Vintage 266-, 1967

      7 William James, "The Principles of PsychologyⅠ" Dover Publications 76-, 1950

      8 C.M. Wallace, "The Design of Biographia Literaria" Allen 79-, 1983

      9 "The Complete Poems and Plays of T.S. Eliot" Faber and Faber 19-, 1969

      10 "The Collected Poems of Wallace Stevens" Faber and Faber 380-381, 1955

      11 J.-P. Sartre, "Situationsm Ⅷ"

      12 Walter Benn Michaels, "Philosophy in Kinkanja : Eliot's Pragmatism" 8 : 172-, 1981

      13 Many Warnock, "Nietzsche" Methuen 41-, 1978

      14 S.T.Coleridge, "Miscellanies and Literary and The Theory of Life" George Bell 46-, 1911

      15 Derrida, Jacques, "Marges de la philosophie" Editions de minuit 284-, 1972

      16 J. Habermas, "Le Discours philosophique de la modernité" 237-, 1988

      17 "L'origine de l'œuvre d'art" Gallimard 37-, 1962

      18 T.S. Eliot, "Knowledge and Experience" Farrar Straus 17-, 1964

      19 LIddel,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416-, 1979

      20 E.Husserl, Ideas, "General Introduction to Pure Phenomenology" George Allen and Unwin 92-, 1931

      21 Mo Petschenig, "Der Kleine Stowasser" 461-, 1971

      22 R. Rorty,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Cambridge UP 80-81, 1989

      23 R.Rorty, "Consequences of Pragmatism" Minnesota UP 142-, 1982

      24 P.Valery, "CEuvres, tome Ⅰ" Pleiade 1256-, 1894

      25 C.Baudelaire, "CEuvres completes, tome Ⅱ" Gallimard 334-, 1976

      26 Samuel Taylor Coleridge, "Biographia Literaria or Biographical Sketches of My Life and Opinion, 2 vols" Princeton UP 82-, 1983

      27 "Biographia Literaria"

      28 Derrida, Jacques., "Acts of Literature" Routledge 73-, 1992

      29 M. Proust,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tome Ⅲ" Pleiade 895-, 1954

      30 "20세기 독일시 Ⅰ" 탐구당 356-,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479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