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Belsky(1980)의 생태학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죽음불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한 경로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Belsky(1980)의 생태학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죽음불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한 경로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본 연구는 Belsky(1980)의 생태학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죽음불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한 경로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개인유기체 요인은 우울, 자아통합감, 영적안녕감으로 설정하였으며, 미시체계 요인은 가족지지로, 외체계 요인으로는 사회적연락망, 노인차별경험, 가족주의가치관으로 설정하여 경로모형의 적합도와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 19일부터 10월 19일까지 B 광역시에 소재하는 10개구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은 65세부터 85세 미만의 노인 18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가설모형의 값은 2.77 (p=.429)로‘이론적 모형과 수집된 자료에 의한 모형이 같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모형의 적합지수는 /df=.92, GFI=.99, AGFI=.95, RMR=.01, RMSEA=<.01, NFI=.98, TLI=1.01, CFI=1.00로 나타나 권장수준을 충족하여 가설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2)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가족지지, 사회적연락망, 가족주의가치관으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2%이었다. 죽음불안은 우울과 가족주의가치관이 높을수록, 사회적 연락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의 지지정도가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적안녕감과 노인차별경험은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죽음불안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이며, 가족지지, 사회적연락망, 가족주의가치관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죽음불안을 경감시키기 위해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제공하는 것 뿐 만 아니라 노인이 속한 환경, 즉 가족 및 친구 등과의 관계 개선, 그리고 지역사회 지지체계 기반확충 등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도훈(Do Hoon Kim), "노인우울증", 대한노인정신의학회, 노인정신의학. 8(2), 90-95, 2004
2 김윤아,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 도), 308, 2012
3 강경아, 오복자, "영성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0(5), 1145-1155, 2000
4 서혜경, "노인 죽음학 개론", 경춘사, 경춘사, 2009
5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출판사, 2010
6 장인협, 최성재, "제2개정판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7 박은경, "죽음불안 측정 도구개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96
8 강유미, "레저와 영적 웰빙의 관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0
9 오진탁,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인터렉티브, 청림출판사, 2004
10 김미정, "노인의 자아실현 예측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4
1 김도훈(Do Hoon Kim), "노인우울증", 대한노인정신의학회, 노인정신의학. 8(2), 90-95, 2004
2 김윤아,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 도), 308, 2012
3 강경아, 오복자, "영성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0(5), 1145-1155, 2000
4 서혜경, "노인 죽음학 개론", 경춘사, 경춘사, 2009
5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출판사, 2010
6 장인협, 최성재, "제2개정판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7 박은경, "죽음불안 측정 도구개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96
8 강유미, "레저와 영적 웰빙의 관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0
9 오진탁, "죽음, 삶이 존재하는 방식", 청림인터렉티브, 청림출판사, 2004
10 김미정, "노인의 자아실현 예측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4
11 심경섭 ( Kyung Sub Shim ), 한성열 ( Seong Yeul Han ), 장양 ( Yang Zhang ), 서신화 ( Shin Hwa Suh ), 윤상연 ( Sang Yeon Yoon ), 이누미야요시유키 ( Yoshiyuki Inumiya ), "유교가치관 척도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31(2), 465-491, 2012
12 주희정, "노인의 자아 통합감 영향요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 주, 2003
13 Breonfenbrenner, U., "저. 인간발달생태학. 이영(역)", 서울: 교육과 학사, 1992
14 박경숙,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 의암출판사, 2003
15 김동배,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학지사, 2005
16 김희경,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영향요인", 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회지, 8(1), 24-35, 2006
17 김선영, 권영은,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7(3), 2016
18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이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19 배지연, "노인의 자살생각에 관한 인과모형", 대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전, 2005
20 주영주,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경로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공주, 2013
21 서혜경, "한 미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7, 39-60, 1987
22 원영희, "“노인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회, 3, 2003
23 남현정, "노인이 인지하는 노인차별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서울, 2011
24 이영화, "죽음준비교육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997
25 강희설, "노인차별에 대한 노인의 경험과 인식", 서울. 성공회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4
26 박윤자, "재가 노인의 죽음불안 요인 구조모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서울, 2009
27 요시유키, 한성열, 최일호, 이누미야, "한국인의 내세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5(1), 77-96, 2001
28 김주현, "연령주(Ageism)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사회와 역사, 82(1), 361-391, 2009
29 배찬희, "노인의 죽음불안과 가족지지간의 관계", 용인. 단국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2
30 전영기,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대전. 목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0
31 김연하, "노인 만성질환과 우울증의 상관성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 2004
32 허준수, 박선애, "노인의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 보건과 사회사업, 40(1), 59-88, 2012
33 김순이, 이정인,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한국 보건간 호학회지, 25(1), 28-37, 2011
34 김태현, 한은주,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회, 20(2), 71-89, 2000
35 고효진, 최지욱, 이흥표, "Templer 죽음불안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11(2), 315-328, 2006
36 이정덕, "“한국의 전통적 가족윤리에 대한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 1985
37 백지은, "노인의 삶의 지지와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J 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6), 3117-3136, 2010
38 김순이, 이정인, "재가노인의 자기초월, 영적안녕, 죽음불안", 한국보건간호학회, 한국보건간 호학회지, 27(3), 480-489, 2013
39 옥선화,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89
40 김수영, 황인홍, 황예원, 황교순, 정우빈, 이경우, "한국어판 Lubben Social Network Scale 설문지 개발",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가정의학회지, 30, 352-358, 2009
41 이승민, "가족요인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경주. 위덕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7
42 이이정, "노인 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 교육프로그램", 서울.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4
43 김수미, 장인순,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과 죽음불안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 학회지, 4(1), 2002
44 류은경, "암환자가 지각하는 절망감과 가족지지 정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대구. 경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5
45 권영숙, 김정남, "“노인의 영적 안녕과 죽음 불안간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 지역사회간호 학회지, 14(1), 132-143, 2003
46 최외선,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 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7(4), 755-773, 2007
47 Deeken, A., "오진탁역(2003).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궁리출판 사, 1986
48 배광일, "출산의도 및 출산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전남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1
49 Cole, W. E., Harris, D. K., "Sociology of aging, 최신덕 김모란 역. 노년사회학", 하나의학사, 1998
50 임춘식, 양순미,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 복지연구, 32, 377-396, 2006
51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Amos 4.0~20.0 공용)", 서울: 한 나래 아카데미, 2012
52 서완석, 배대석, 구본훈, 정성덕, 염형욱, "노년기 영성과 불안·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의대학술지, 22(1), 27-42, 2005
53 배경화, "노인의 건강지각과 가족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전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0
54 이철원, 기백석,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 의학, 35(2), 298-307, 1996
55 이현영, "노인의 영성(spirituality)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5
56 오경환,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7
57 김신향, 박경숙, "한국 노인의 죽음불안과 관련된 요인의 메타 분석", 한 국성인간호학회지, 28(2), 156-168, 2016
58 박소진, "기혼여성의 우울감과 가족가치관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6
59 이현지, 조계화,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 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6(4), 717-731, 2006
60 장선옥, "한국 노인의 자아통합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37(3), 334-342, 2007
61 박현식, "공공부조노인과 일반노인의 노인차별과 우울의 관계", 노인복 지연구, 41, 79-91, 2008
62 전상남, 신학진, "노인차별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고독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지, 31(1), 925-938, 2011
63 임춘식 ( Choon Seek Rim ), 장금섭, 정명숙 ( Myung Sook Jeong ),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2013
64 황미혜, "노인들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안동전 문대학 논문집, 1993
65 조계화 ( Kae Hwa Jo ) , 김영경 ( Yeong Kyeong Kim ), "한국노인의 우울, 자살생각 및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2008
66 서혜경, "죽음을 준비하는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제언", 한국노년학연구회, 한국노 년학 1(1), 11-17, 1992
67 김욱, "노인차별의 실태 및 관련요인에 관한 탐색적 조사 연구", 한국노년학회, 한 국노년학회지. 23(2), 21-35, 2003
68 최금주, "노인의 영적 웰빙이 자아통합과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 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구, 2009
69 권혜진, 최미혜, 박윤자, 김수강, 김경희, "심리적 영적 요인이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 19(1), 96-105, 2010
70 김귀분, 최연주, "노인의 사회적 요인과 심리 정서적 요인과 죽음불안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584-591, 2014
71 최상순, "일 지역 성인의 영적 안녕, 희망 및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90
72 권오균,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의 죽음불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41, 27-50, 2008
73 김보은, "노인의 사회연결망, 죽음불안, 주관적 건강상태 간의 관계", 서울. 석 사 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
74 김영희, 최정민, 오세근, "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 간 관계에서 자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243-254, 2012
75 이정숙,이선영, 이정숙, 이선영,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보건의료산업학회지, 8(4), 231-241, 2014
76 김창범, "홀로된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09
77 박진진, "노년기 죽음불안에 대한 자아통합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11
78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21, 319-339, 2005
79 장호익, "노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 정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7
80 송미순, 안수연, 공은숙, 조남옥, 김춘길, 조명옥, 장성옥, 이영휘, 김남초, 김희경, 최경숙,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의 주요 예측 변수에 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회지, 12(3), 225-236, 2010
81 김보성, "기독청소년의 휴대폰 중독과 가족관계 및 영적 안녕과의 관 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13
82 배나래,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 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구, 2006
83 김지숙,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성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임상사회사업연구, 5(2), 5-10, 2008
84 남재화, "노인의 레저 스포츠 활동 참가와 죽음불안 및 삶의 의미 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치. 18(5), 104, 2007
85 고승덕, 김은주, 김영규, "노인의 죽음 준비교육이 죽음의 불안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6(2), 81-91, 1999
86 장경은,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49, 267-286, 2010
87 신학진, "노인의 차별경험이 자아통합감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 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회, 30(2), 551-565, 2010
88 오명란, "여성장애인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연 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2015
89 유희옥, "“중, 노년기의 죽음 불안 태도: 내세관 죽음준비 도를 중심으로,”", 성 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4
90 한미정, "대처방식, 내외통제성, 자아존중감에 따른 죽음불안의 발달적 고찰", 한국심리학회,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2
91 정운경,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 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서울벤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5
92 오미나,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산, 2003
93 오미나, 최외선,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대한가정학회, 43(4), 105-118, 2005
94 유혜숙, "지역교회 중년여성의 영적안녕과 노화에 대한 태도 및 우울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7
95 정의정, "Well-dying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성공적 노화에 미 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천안, 2013
96 노승현, 임승희,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연구: 죽음불안의 매개효 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31(1), 1-14, 2011
97 남향자, "노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04
98 임동헌, "노인의 영적 안녕감과 실제적 안녕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영성과 사회복지학회, 영성과 사회복지, 2(2), 33-51, 2014
99 이혜림, "사회연결망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상호친밀연결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6
100 김연숙, 김지미, "노인의 사회인구적 특성과 죽음불안: 죽음불안의 세부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노인간호학회지, 29(1), 275-289, 2009
101 김유심,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7
102 윤현숙 ( Hyun Sook Yoon ), 고윤순(Yunsoon Koh), 임연옥(Yeon Ok Lim), 범경아(Kyoungah Beum), ""노인의 영성, 사회적 지지, 우울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한국전산응용수학회,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3, 229-254, 2015
103 송병숙, 조계화, "가족응집력과 주관적 행복감이 한국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대한간호학회지, 42(5), 680-688, 2012
104 옥선화, "가족주의 가치관 측정을 위한 기초연구: 가족주의 척도 제작 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66, 143-153, 1986
105 김명애, 김수영, "만성통증을 경험하는 탁노소 노인의 통증,우울 및 자아 통합감 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회지, 5(1), 2003
106 김정이, 한혜경, "가정 호스피스에서의 사회적지지 활동이 노인의 죽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 23(2), 171-185, 2003
107 이묘숙, "노인의 우울 수준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학회, 49, 241-265, 2010
108 김소남, 이상복,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 생 활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86-194, 2013
109 이예종, "노인의 인생목표달성도가 죽음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5
110 전정아,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우울 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6
111 이범석, "고령화 사회 노인 예술치료프로그램을 위한 죽음불안구조모형 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익산, 2010
112 황규대, "유교 문화적 특성과 현대 조직구성원의 의식성향과의 관계에 대한 실체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5(2), 2001
113 Barrow, M., Hiller, S. G., "Aging, the individual and society. Wordswort Pub. 김동기 김은미 역(2006). 노인심리와 사회", 창지사, 1999
114 서혜경, 윤민석, "성별과 배우자 유무가 죽음불안도 4가지 세부영역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39, 249-272, 2008
115 임송자, "죽음 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 및 삶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천안, 2011
116 김혜숙, "노년기의 내세관, 죽음준비도, 영적 안녕감이 죽음에 대한 태 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사회복지, 3(1), 2015
117 신동민, "노인의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영성과 사회복지학회, 영성과 사회복지, 2(1), 2013
118 이예종, "노인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관 이 용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5
119 정명선, "한지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과 삶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03
120 김정희, "부부갈등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母의 영적 안녕감의 조 절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4
121 장경은, "“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0(5), 2011
122 이현지, 조계화, "중. 노년의 죽음불안과 죽음의 개인적 의미가 품위 있 는 죽음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3(5), 482-493, 2011
123 김세원, "노년기 영성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통 합감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9
124 김지연, "노인세대 위협에 대한 인식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5
125 남기민, 문남숙,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회, 28(4), 1227-1248, 2008
126 강현숙, "재활 강화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 간호 수행에 미치 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984
127 윤매옥,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4), 513-521, 2009
128 김춘경, 여인숙, "노년기 우울과 죽음불안 감소를 위한 생애 회고적 이 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3-128, 2007
129 전은희,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심리적 안녕감이 미치는 영향, 자아 존중감과 우울을 매개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8
130 강은나, 이한나, 김세원,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 연구:가족기능, 영적 안녕 -감 및 자아통합감의 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지, 49, 311-332, 2010
131 문현공, "초기불교 수행법을 적용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연구 –청소년 종교성 교육과 관련하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경주, 2016
132 오혜영, "기독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 : 영적안녕감 매개효과",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성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5
133 김형철, "죽음준비교육이 일 노인복지관 노인들의 죽음불안과 태도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04
134 신경인, "“노인차별경험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3
135 문남숙, "노인의 죽음분비 및 용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청주, 2009
136 심민경, "노인의 죽음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 부산광 역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1
137 최상진, 최인재, "한국인의 문화 삼리적 특성이 문제대응방식, 스트레 스,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 우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2), 101-108., 2002
138 박형규,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연구-임종교육서비 스, 사회적지지, 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용인, 2009
139 배강대,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무력감, 죽음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경산, 2006
140 송예헌,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 계연구-D시 노인종합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정신간호학회, 10(4), 473-483, 2001
141 강해자, "노인의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선택 최적 화 보상 대처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기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경기, 2013
142 손용진,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GRI연구논 총, 12(3), 311-339, 2010
143 정은경, 남기민, "여성독거 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 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 노인복지학회, 52, 325-348.,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