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폭염 및 고온의 노출에 따른 전형적인 건강 영향은 수분 및 염분 손실 과 혈액 량 부족, 체온 조절 중추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온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사망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폭염 및 고온의 노출에 따른 전형적인 건강 영향은 수분 및 염분 손실 과 혈액 량 부족, 체온 조절 중추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온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사망에...
연구목적: 폭염 및 고온의 노출에 따른 전형적인 건강 영향은 수분 및 염분 손실 과 혈액 량 부족, 체온 조절 중추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온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 최근 국내 폭염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폭염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질병 유병율 과의 관계 등을 조사하고 고령 노인의 사망률과 폭염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폭염으로 인한 건강 영향 위험과 질병 유병율, 사망 발생 추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기존 문헌을 고찰하였다, 2012년부터 2024년까지 기온이 가장 높은 6월에서 9월까지 기온을 통계청 자료로 분석하였다. 폭염으로 인한 노인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분석하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가통계포털,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hira.or.kr),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등 웹사이트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2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6월에서 9월까지 기온을 서울 지역의 최고 기온의 평균과 해당 연도 최고 기온을 연도 별 분석을 하였다. 2012년 평균 최고 기온은 28.6℃였다. 2012년에 비해 2018년은 1.3℃ 상승하였고, 2024년은 30.7℃로 2.1℃ 상승하였다. 2024년 33℃가 넘는 폭염 일수는 33일이었고, 30℃ 이상인 날은 80일을 기록하였다. 2014년 10년전에 비해 2024년은 평균 최고기온이 2.1℃가 상승하였고. 33℃ 이상의 폭엽일수는 31일이 증가하였다.
2014년에 비해 2022년에는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폐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가 거의 전반적으로 증가 하였다. 그 중에 알츠하이머병은 31.8명에서 12.2명로 19.6명 증가하였다. 남자의 경우 2014년에는 사망률 10위 순의 안에 없었던 알츠하이머병이 10위였다.
결론: 폭염이 건강과 사망에 영향을 미친다는 논문을 고찰하고 10년간의 기온 분석에서 폭염과 고령자의 질병 유병률, 사망자 수의 증가의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보여 진다. 초 고령 사회에서 이상기후로 인한 폭염과 관련한 노인 건강과 사망 원인의 추이를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하여 노인 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대한 연구에 집중하는 것은 노인의 신체적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낮추는 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e study: Typical health effects of heat waves and high-temperature exposure can cause heat diseases due to loss of moisture and salt, lack of blood volume, and abnormal body temperature control center functions, and in severe cases, death...
Purpose of the study: Typical health effects of heat waves and high-temperature exposure can cause heat diseases due to loss of moisture and salt, lack of blood volume, and abnormal body temperature control center functions, and in severe cases, death. As the number of days of heat waves in Korea has recently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s caused by heat waves and disease prevalence is to b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and heat waves in the elderly is to be analyzed.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temperature rise due to global warming, the temperature from June to September, when th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from 2012 to 2024, was analyzed with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xisting literature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of elderly diseases caused by heat wav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websites such as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 the Meteorological Data Opening Portal,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ira.or.kr ),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Seoul Open Data Plaza.
Research results: From 2012 to 2024,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highest temperature in Seoul and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year were analyzed by year.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2012 was 28.6℃. Compared to 2012, 2018 increased by 1.3℃, and in 2024, it increased by 2.1℃ to 30.7℃. In 2024, the number of days of heatwaves exceeding 33℃ was 33 days, and 80 days of 30℃ or higher were recorded. Compared to 10 years ago in 2014, the average maximum temperature in 2024 increased by 2.1℃. The number of days of foliage above 33℃ increased by 31 days.
Compared to 2014, deaths from cancer, heart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pneumonia, and Alzheimer's disease increased almost overall in 2022. Among them, Alzheimer's disease increased by 19.6 from 31.8 to 12.2. For men, Alzheimer's disease, which was not in the top 10 death rates in 2014, was ranked 10th.
Conclusion: Considering the thesis that heat waves affect health and deat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t waves, disease prevalence in the elderly,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eaths appears to be significant in a 10-year temperature analysis. In a super-aged society, focusing on research on lowering the prevalence and mortality of elderly diseases by more closely analyzing trends in elderly health and death causes related to heat waves caused by abnormal climates could help lower the social and economic negative effects as well as physical problems of the elderly.
업무연속성관리체계(BCMS)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ISO 22301 Plan의 ‘기획’을 중심으로)
원자력발전소 화재 CDF 저감을 위한 주요 요소 분석 연구
건설사고 감소를 위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andom Forest 연구방법을 적용한 이륜차의 지역별 사고 심각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