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 = A Proposal for Reform of Reelection and By-election in Local El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ways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of re-by-elections and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to reduce the number of re-election and by-elections, afte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re-by-election system and reviewing th...

      This study suggests ways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of re-by-elections and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to reduce the number of re-election and by-elections, afte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re-by-election system and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by-elections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voting rights of voters, candidates' election rights, local government system, in order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by-election system in local ele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pproaching the question of how to improve the re-by-election system in local elections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t will come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consider comprehensively the constitutional demand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voting rights of voters, candidates' election rights, local government system.
      Second, the first thing to consider as a way to minimize the social costs of re-by-elections and to improve the electoral system to reduce the incidence of re-election and by-elections is to reduce the reasons for the re-by-election.
      Third, if it is not appropriate to reduce the reasons for the re-by-election, it may be considered to abolish the re-election and by-election. If it is not appropriate to abolish re-by-elections in national elections, such as in parliamentary elections,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abolishing re-by-elections only in local elections.
      Fourth, as the costs in the local elections are spent entirely by local governments in the region, the cost of the re-by-election campaigns exacerbates poor local fin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ways to impose election cost on cause providers and political parties for re-by-election.
      Fifth, in order to resolve the phenomenon of local politics being subordinated to central politics and to maintain the trust of the local people to the local governor or local councilor elected in the local elections, at leas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rohibiting a candidate from running for a parliamentary election in the office of a local governor or a member of a local council. In addition, the prohibition of running for a parliamentary election in the office of a local governor or a member of a local council is considered to be able to obtain constitutional legitim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재․보궐 선거의 헌법적 의미를 탐구하고, 재․보궐 선거와 대의제 민주주의, 선거권자의 선거권, 후보...

      이 연구는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재․보궐 선거의 헌법적 의미를 탐구하고, 재․보궐 선거와 대의제 민주주의, 선거권자의 선거권, 후보자의 피선거권, 지방자치제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뒤, 마지막으로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고 관련 헌법적 쟁점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제도 개선방안의 문제를 헌법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대의제 민주주의, 선거권자의 선거권, 후보자의 피선거권, 지방자치제도의 헌법적 보장이라는 제반 헌법적 요청들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인가의 문제로 귀결되게 된다.
      둘째, 재․보궐 선거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과 재․보궐 선거 발생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거제도 개선방안으로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안은 재․보궐 선거 실시 사유 등 실시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이다.
      셋째, 재․보궐 선거 실시 사유를 축소하는 방안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한다면, 재․보궐 선거 자체를 폐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만약 국회의원선거와 같이 전국선거에서 재․보궐 선거를 폐지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한다면, 지방선거에서만은 재․보궐 선거를 폐지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넷째, 지방선거에서의 재․보궐 선거비용은 전적으로 해당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모두 지출하고 있어서, 이러한 재․보궐 선거비용은 열악한 지방재정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재․보궐 선거 원인제공자 및 정당에 대해서 선거비용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지방정치가 중앙정치에 종속되는 현상을 해소하며,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회의원에 대한 지역 주민의 신뢰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최소한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지방의회의원의 재직 중 실시되는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장 또는 지방의회의원의 재직 중 국회의원선거 출마 금지는 헌법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윤식, "후보자와 정당을 위한 공직선거법 해설" 피앤씨미디어 2016

      2 박이석, "형법론과 공직선거법" 상원사 2012

      3 정만희, "현행 선거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원 35 (35): 2002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6

      5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7 한국지방자치학회, "한일 지방자치 비교" 대영문화사 2010

      8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행정론"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 지방자치발전위원회, "한국지방자치 발전과제와 미래" 박영사 2017

      10 문재우, "한국 지방선거제도의 현재와 미래"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1 오윤식, "후보자와 정당을 위한 공직선거법 해설" 피앤씨미디어 2016

      2 박이석, "형법론과 공직선거법" 상원사 2012

      3 정만희, "현행 선거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원 35 (35): 2002

      4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6

      5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7 한국지방자치학회, "한일 지방자치 비교" 대영문화사 2010

      8 육동일, "한국지방자치행정론"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9 지방자치발전위원회, "한국지방자치 발전과제와 미래" 박영사 2017

      10 문재우, "한국 지방선거제도의 현재와 미래"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11 안순철, "한국 지방선거제도 개혁의 방향과 과제" 한국정치정보학회 4 (4): 97-118, 2001

      12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2016

      13 허전, "지방자치의 법과 과제" 법문사 2017

      14 박진오, "지방자치와 지방선거" B&C 미디어 2002

      15 최우용, "지방자치법의 주요쟁점" 동방문화사 2014

      16 최봉석, "지방자치법론" 삼원사 2018

      17 이승종, "지방자치론 : 정치와 정책" 박영사 2014

      18 임승빈, "지방자치론" 법문사 2017

      19 김병준, "지방자치론" 법문사 2017

      20 이동기,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선거비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115-133, 2012

      21 김동엽, "지방자치 재·보궐선거의 제도개선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9

      22 김영수, "지방선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3대 전국 동시선거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223-242, 2004

      23 천병태, "지방선거의 특수성과 현행 지방선거의 문제점" 한국공법학회 29 (29): 2001

      24 안성호, "지방선거와 지방민주주의 – 지방의회 의원선거에 관한 주민의식조사 -" 한국지방자치학회 2 (2): 1991

      25 정만희, "지방선거와 정당참여에 관한 헌법적 고찰" 한국공법학회 33 (33): 1-32, 2004

      26 지충남, "지방 재보궐선거 유발 요인과 비용 부담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기초단체장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정보학회 12 (12): 275-304, 2009

      27 임재주, "정치관계법" 박영사 2008

      28 박명호, "재보궐 선거 정치참여에 관한 시론" 한국정당학회 5 (5): 2006

      29 이정진, "재ㆍ보궐선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 (1): 127-152, 2017

      30 조진만, "재․보궐선거의 정치적 비중 차이가 투표율과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3 (33): 345-376, 2011

      31 음선필, "재·보궐선거제도의 합리화를 위한 제언 -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 유럽헌법학회 (18) : 265-309, 2015

      32 지충남, "재·보궐선거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56) : 2010

      33 김영필, "일본의 재 ․ 보궐선거와 한국에서의 시사점" 한국정당학회 4 (4): 2005

      34 김영태, "유럽정치" 백산서당 2004

      35 홍정선, "신 지방자치법" 박영사 2018

      36 배행식, "세계의 선거제도" 홍익출판사 2012

      37 안순철, "선거체제 비교 : 제도적 효과와 정치적 영향" 법문사 2016

      38 이현우, "선거제도 및 관리가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 제 5회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5 (25): 329-357, 2010

      39 안병영, "선거제도 개혁론" 11 : 1991

      40 성낙인, "선거법론" 법문사 1998

      41 최준영, "변화하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중앙정치 대 지역정치" 한국정당학회 10 (10): 133-156, 2011

      42 조진만, "민주화 이후 한국 재·보궐선거의 투표율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당학회 8 (8): 5-34, 2009

      43 이부하, "민주적 선거를 위한 선거제도 개편" 피앤씨미디어 2015

      44 조성대, "미국 지방 선거제도와 정치적 효과에 관한 고찰: 정당공천제와 선거구제를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 23 (23): 243-261, 2010

      45 정재각, "독일 지방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4 (14): 199-222, 2004

      46 금창호, "기초지방선거 정당공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78-289, 2013

      47 박창규, "기초의회의원선거제도의 문제점 : 제4차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선거결과를 보고" 지방의회발전연구원 13 (13): 2010

      48 조기숙, "국회의 위상강화를 위한 정당 및 선거제도의 개혁" 한국정당학회 1 : 2002

      49 손재권, "공직선거의 이해" 동양미디어 2017

      50 정병욱, "공직선거법" 박영사 2006

      51 이재철, "공정사회와 정치개혁" 나남 2013

      5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각 국의 재 ․ 보궐선거제도"

      53 최봉기, "第7次 地方議員選擧分析과 地方選擧制度의 改革方案" 한국지방자치학회 15 (15): 2003

      54 행정안전부, "2018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 개요(상) - 예산 및 기금운용 개요"

      55 행정안전부, "2018(2017.12.31. 기준) 행정안전통계연보"

      56 황아란, "2000년대 지방선거의 변화와 지속성: 현직효과와 중앙정치의 영향" 한국정치학회 47 (47): 277-29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6 0.8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