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정치적 쟁점에 접근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도덕 혹은 윤리적 차원으로 귀결되어 탐구되는 정치적 영역을 그것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롭게 개념화하고, 정치적 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정치적 쟁점에 접근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도덕 혹은 윤리적 차원으로 귀결되어 탐구되는 정치적 영역을 그것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롭게 개념화하고, 정치적 맥...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정치적 쟁점에 접근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도덕 혹은 윤리적 차원으로 귀결되어 탐구되는 정치적 영역을 그것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롭게 개념화하고, 정치적 맥락에 적합한 쟁점 탐구의 대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에서 쟁점을 다루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과에 필요한 쟁점의 의미를‘사회성’‘, 논쟁성’‘, 학문성’차원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쟁점에 대한 수용이 고정된 가치 갈등 형태의 정태적 수용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쟁점에 대한 판단 기준이 Kohlberg식의 인지주의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정치가 도덕 및 윤리와 구별되는 지점을 설정하여 탐구 논리의 전향을 도모하였다. 도덕 및 윤리와는 다르게 정치의 영역이 불평등한 관계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에 따라 정치적 판단이 자유주의 정치 철학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이와 함께, 정치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정치의 개념이 실증주의 정치학을 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정치적 쟁점의 교육적 수용 논리를 제안하였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 담론의 이론적 토대인 Dewey의 논의에 터하여 정치적인 것의 평가 기준을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마음의 사회화’로 설정하고, 정치적인 것의 실현을 위한 조건으로‘공감적 의사소통을 통한 사회적 지성’의 함양을 강조하였다. 교수·학습의 차원에서는 정치적 쟁점에 대한 탐구 논리를 공적인 것에 대한 숙의 과정으로 구체화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정치적 쟁점을 다루는 사회과 교육이 정치 현실에 대한 이해와 좋은 삶을 향한 교육적 이상을 균형 있게 고려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new attempt to approach political issues in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parate the political domain to be explored as moral or ethical dimensions and to newly conceptualize it,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sea...
This study is a new attempt to approach political issues in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parate the political domain to be explored as moral or ethical dimensions and to newly conceptualize it,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search for issues suitable for the political context. To achieve this aim, first of all, the method of dealing with issues in social studies was critically analyzed. The meaning of issues appropriate for social stu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controversial’, and ‘disciplinary’dimensions. It was shown that the acceptance of issues remains in the form of a fixed value conflict, and that the criterion for judgment was excessively focused on Kohlberg"s cognitivism of morality. Next, by establishing a point that differentiates politics from morality and ethics, the shift of inquiry logic was pursued. Contrary to morality and ethics, it was revealed that the essence of politics is based on unequal relations, and accordingly, it demonstrated the need for political judgment to move beyond liberal political philosophy.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politics, the concept of politics needs to go beyond positivism of politics. Finally, the logic of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political issues was proposed. Based on Dewey"s discuss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discourse,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political things is set as the ‘socialization of the mind’ that realizes democracy, and the ‘cultivation of social intelligence through empathetic communication’ as a condition for realizing the political things is emphasize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logic of inquiry on political issues was embodied as a process of deliberation on public issu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dealing with political issues has been established so that it can balance understanding of political reality and educational ideals for a good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욱,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개념 : "정치적"인 것과"사회적"인 것의 관계를 중심으로" 67 : 221-239, 2001
2 홍원표, "한국 민주화의 좌절과 도전에 관한 '이야기하기':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제자리 찾기" 한국정치학회 36 (36): 25-46, 2002
3 Ross, W. D.,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4 최준호, "정치적인 것의 합리성 -롤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91 : 345-367, 2004
5 Schmitt, C., "정치적인 것의 개념" 법문사 1992
6 이동수, "정치와 정쟁 : 근대적 정치관을 넘어서" 61 : 55-66, 2004
7 조성민,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교육연구원 29 (29): 45-65, 2013
8 이태성, "쟁점 중심 사회과 탐구 논리의 정서적 확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9 김진희, "자유주의와 사회적 실천" 책세상 2011
10 차경수, "유아사회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08
1 김선욱,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개념 : "정치적"인 것과"사회적"인 것의 관계를 중심으로" 67 : 221-239, 2001
2 홍원표, "한국 민주화의 좌절과 도전에 관한 '이야기하기': 정치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제자리 찾기" 한국정치학회 36 (36): 25-46, 2002
3 Ross, W. D., "정치학" 도서출판 숲 2009
4 최준호, "정치적인 것의 합리성 -롤즈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한철학회 91 : 345-367, 2004
5 Schmitt, C., "정치적인 것의 개념" 법문사 1992
6 이동수, "정치와 정쟁 : 근대적 정치관을 넘어서" 61 : 55-66, 2004
7 조성민,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보적 관계" 교육연구원 29 (29): 45-65, 2013
8 이태성, "쟁점 중심 사회과 탐구 논리의 정서적 확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9 김진희, "자유주의와 사회적 실천" 책세상 2011
10 차경수, "유아사회교육의 이해와 실천" 동문사 2008
11 Sandel, M. J., "왜 도덕인가" 한국경제신문 2010
12 최영진, "실증주의 정치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285-310, 2008
13 김해성, "시민교육에서 인지발달론적 가치·도덕교육의 공헌과 한계:‘정의’ 원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5 (35): 4-88, 2003
14 김상현, "상상력과 공감으로서의 공공성 ― 존 듀이(John Dewey)의 사회적 지성과 민주주의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615-646, 2014
15 이태성, "사회과에서 문제해결학습과 의사결정학습의 질적 차이: Dewey와 Engle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수업학회 7 (7): 47-73, 2019
16 손병노, "사회과교육과 반성적 사고 : 메트칼프의 관점" 15 : 79-93, 2013
17 배영민,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135-164, 2012
18 Banks, J. A., "사회과 교수법과 교재연구" 교육과학사 1995
19 손병노, "미국 사회과교육계의 근황 : 교육 과정 논쟁" 9 : 23-36, 1997
20 권정선, "듀이의『공공성과 그 문제들』에 나타난 민주주의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40 (40): 27-51, 2018
21 서용선, "듀이의 프래그마티즘과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 개념의 재구성: 인간성, 도덕성, 사회성, 정치성의 유기적 결합"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21-32, 2011
22 홍남기, "듀이의 ‘사회적 지성’ 개념의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41-159, 2013
23 이주한, "듀이 철학에서 정치적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방안" 한국교육사상학회 23 (23): 351-372, 2009
24 이동수, "도덕, 윤리 그리고 정당성" 17 (17): 187-191, 2011
25 손병노, "교원양성대학의 초등학교 사회과교육학 교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1996
26 Dewey, J., "공공성과 그 문제들" 한국문화사 2014
27 박상영, "고등학교『법과 정치』교과서에 나타난 ‘정치’ 개념의 모순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과수업학회 4 (4): 39-55, 2016
28 윤평중, "‘정치적인 것’의 이념과 공론장" 53 : 305-324, 2001
29 이종렬, "‘정체성’의 정치와 시민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65-183, 2009
30 이유선, "‘공’과 ‘사’의 구분과 민주주의-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14 : 65-89, 2013
31 심성보, "‘public’의 개념적 의미 확장을 통한 공교육사상의 재구성" 교육발전연구소 27 (27): 45-62, 2017
32 Benhabib, S., "The reluctant modernism of Hannah Arendt" Sage Publications 1996
33 Dewey, J., "The quest for certainty: A study of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Putnam 1929
34 Hess, D. E., "The political classroom: Evidence and ethics in democratic education" Routledge 2015
35 Barr, R.,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ETC 1978
36 Arendt, H., "The human con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8
37 Kohlberg, L., "The claim to moral adequacy of a highest stage of moral judgement" 70 : 630-646, 1973
38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 Inquiring, valuing, and decision-making"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7
39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1966
40 Hunt, M. P., "Teaching high school social studies: Problem in reflective thinking and social understanding" Harper and Row 1955
41 Parker, W. C., "Teaching democracy: Unity and diversity in public life" Teachers College Press 2003
42 Shaver, J. P., "Social studies and social sciences: A fifty-year perspective"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71-84, 1986
43 Shaver, J. P., "Researching and teaching social issues: The personal stories and pedagogical efforts of professors of education" Lexington Books 161-180, 2006
44 Schmitt, C., "Political theology: Four chapters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MIT Press 1985
45 Rawls, J.,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46 Arendt, H., "On Revolution" Penguin Books 1962
47 Lange, D., "Moral education and the social studies" 14 (14): 279-285, 1975
48 Kohlberg, L., "Moral development: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Jossey-Bass 83-87, 1978
49 Dewey, J.,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1: 1935-1937"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74-281, 1987
50 Ochoa-Beacker, A. S., "Handbook on teaching social issu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 1996
51 Evans, R. W., "Handbook on teaching social issu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2-5, 1996
52 Hunt, M. P., "Foundations of education: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5
53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Macmillan 1916
54 Howard, D., "Defining the political"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9
55 Hess, D. E., "Controversy in the classroom:The democratic power of discussion" Routledge 2009
56 Newmann, F. M., "Clarifying public controversy: An approach to social studies" Little, Brown 1970
57 Field, S. L., "Addressing social issue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The pedagogical efforts of pioneers in the field" Information Age Publishing 187-200, 2007
58 Levin, M., "A law and social science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public issues (Final report)" Harvard University 1969
협력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 지리적 사고의 특징 분석 :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및 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초등사회과 미래학습 실행연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태시민성” 요소 분석 -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직업계 고등학교의 노동인권교육에 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성공적인 직업생활,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