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산 송규의 『금강경해』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Geumganggyeonghae by Chŏng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8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ster Chŏngsan published a series of Geumganggyeonghae in Hwe-Bo, a periodical of Wo n -Buddhism, in 1936, or the 21st year of the Wo n -Buddhist Era.
      Unlike existing Korean scriptures centered on literal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effort aimed to create scriptures that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used by the public. It was a pioneering and innovative attempt to develop a Korean-style Diamond Sutra , taking into consideration Korean culture and the public. In the Geumganggyeonghae, Chŏngsan discussed the acceptance of buddha-nature (佛性) and the removal of delusions (妄想), interpreting the Diamond Sutra through a positive logic that expresses the essence of the truth. In addition, he emphasized the elimination of the four conceptions (四相) along with the ‘using mind’, regarding “responding without dwelling anywhere, giving rise to the mind (應無所住而生其心)” as the core of Diamond Sutra , and by emphasizing the ‘believing mind,’ he suggested a path for the public to access the best study. The faith and practice of Wo n -Buddhism is not aimed at personal happiness or achieving buddhahood but rather for “Selfless Service to the Public (無我奉公).” In order to help the public understand and engage in this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Truth of Il-Won-Sang. Efforts to understand the Diamond Sutra as a way to grasp The Truth of Il-Won-Sang are beneficial.
      Accordingly, Chŏngsan’s Geumganggyeonghae reveals the core of Buddhadharma for the public in an intellectually advanced era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right faith and practice. It still holds significant value and merits re-examination today.
      번역하기

      Master Chŏngsan published a series of Geumganggyeonghae in Hwe-Bo, a periodical of Wo n -Buddhism, in 1936, or the 21st year of the Wo n -Buddhist Era. Unlike existing Korean scriptures centered on literal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effort ...

      Master Chŏngsan published a series of Geumganggyeonghae in Hwe-Bo, a periodical of Wo n -Buddhism, in 1936, or the 21st year of the Wo n -Buddhist Era.
      Unlike existing Korean scriptures centered on literal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effort aimed to create scriptures that could be easily understood and used by the public. It was a pioneering and innovative attempt to develop a Korean-style Diamond Sutra , taking into consideration Korean culture and the public. In the Geumganggyeonghae, Chŏngsan discussed the acceptance of buddha-nature (佛性) and the removal of delusions (妄想), interpreting the Diamond Sutra through a positive logic that expresses the essence of the truth. In addition, he emphasized the elimination of the four conceptions (四相) along with the ‘using mind’, regarding “responding without dwelling anywhere, giving rise to the mind (應無所住而生其心)” as the core of Diamond Sutra , and by emphasizing the ‘believing mind,’ he suggested a path for the public to access the best study. The faith and practice of Wo n -Buddhism is not aimed at personal happiness or achieving buddhahood but rather for “Selfless Service to the Public (無我奉公).” In order to help the public understand and engage in this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Truth of Il-Won-Sang. Efforts to understand the Diamond Sutra as a way to grasp The Truth of Il-Won-Sang are beneficial.
      Accordingly, Chŏngsan’s Geumganggyeonghae reveals the core of Buddhadharma for the public in an intellectually advanced era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right faith and practice. It still holds significant value and merits re-examination to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산 송규 종사(이하 정산)는 1936년(원기 21) 원불교 정기간행물인 『회보』에『금강경해』를 연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직역과 풀이 중심의 한글 경전과는 달리, 대중들이 경전의 대의를 잡아서 쉽게 활용되는 경전을 위한 노력이었고우리나라의 문화와 대중을 고려한 한글다운 한글 『금강경』을 향한 선구적이고 새로운 시도였다.
      정산은 『금강경해』에서 불성(佛性)의 수용하고 망상(妄想)의 제거할 것을 말하고, 진리의 실체를 표현하는 긍정의 논리로 『금강경』을 풀어나갔다. 또한 사상(四相)의 제거와 함께 ‘내는 마음’을 강조하여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 生其心)’을 『금강경』의 핵심으로 보았고, ‘믿는 마음’을 강조하여 대중이 최상의공부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원불교의 일원상 신앙 · 수행은 나의 복락 혹은 나의 성불을 위한 것이 아닌‘무아봉공(無我奉公)’을 위한 공부이다. 이를 대중에게 이해시키고 함께 공부하기 위해 ‘일원상 진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원상의 진리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 『금강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좋은 방법이 된다. 이에 정산의 『금강경해』는 인지가 발달한 시대의 대중을 위해 불법의 핵심을 드러내어 바른 신앙수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오늘날에도 재조명되어야 할 가치가있다.
      번역하기

      정산 송규 종사(이하 정산)는 1936년(원기 21) 원불교 정기간행물인 『회보』에『금강경해』를 연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직역과 풀이 중심의 한글 경전과는 달리, 대중들이 경전의 대의를 잡...

      정산 송규 종사(이하 정산)는 1936년(원기 21) 원불교 정기간행물인 『회보』에『금강경해』를 연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직역과 풀이 중심의 한글 경전과는 달리, 대중들이 경전의 대의를 잡아서 쉽게 활용되는 경전을 위한 노력이었고우리나라의 문화와 대중을 고려한 한글다운 한글 『금강경』을 향한 선구적이고 새로운 시도였다.
      정산은 『금강경해』에서 불성(佛性)의 수용하고 망상(妄想)의 제거할 것을 말하고, 진리의 실체를 표현하는 긍정의 논리로 『금강경』을 풀어나갔다. 또한 사상(四相)의 제거와 함께 ‘내는 마음’을 강조하여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 生其心)’을 『금강경』의 핵심으로 보았고, ‘믿는 마음’을 강조하여 대중이 최상의공부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원불교의 일원상 신앙 · 수행은 나의 복락 혹은 나의 성불을 위한 것이 아닌‘무아봉공(無我奉公)’을 위한 공부이다. 이를 대중에게 이해시키고 함께 공부하기 위해 ‘일원상 진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원상의 진리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 『금강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좋은 방법이 된다. 이에 정산의 『금강경해』는 인지가 발달한 시대의 대중을 위해 불법의 핵심을 드러내어 바른 신앙수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오늘날에도 재조명되어야 할 가치가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용호, "金剛經의 成立에 對한 私見" 불교사 (89) : 1931

      2 송평인, "한글대장경 36년만에 318권 완간"

      3 월 운, "팔만대장경 한글로 옮겼지만 교정 · 재간 · 추가번역 나설 때"

      4 장진영, "증상별 마음치유 방법론" 공동체 2019

      5 임종권, "주해강설 한글금강경" 원광대학교 교학연구회 1955

      6 "정전"

      7 "정산종사법어"

      8 박제권, "정산종사 수필 법문 하" 원불교 출판사 2008

      9 김치온, "운허의 '금강경' 한글 번역에 대하여" 대각사상연구원 (21) : 37-68, 2014

      10 이운권, "삼가정수" 원불교출판사 1976

      1 허용호, "金剛經의 成立에 對한 私見" 불교사 (89) : 1931

      2 송평인, "한글대장경 36년만에 318권 완간"

      3 월 운, "팔만대장경 한글로 옮겼지만 교정 · 재간 · 추가번역 나설 때"

      4 장진영, "증상별 마음치유 방법론" 공동체 2019

      5 임종권, "주해강설 한글금강경" 원광대학교 교학연구회 1955

      6 "정전"

      7 "정산종사법어"

      8 박제권, "정산종사 수필 법문 하" 원불교 출판사 2008

      9 김치온, "운허의 '금강경' 한글 번역에 대하여" 대각사상연구원 (21) : 37-68, 2014

      10 이운권, "삼가정수" 원불교출판사 1976

      11 "불조요경"

      12 "불교정전"

      13 김영두, "불갑사 수도암 『금강경』 음역본 연구" 45 : 2010

      14 백용성, "백용성의 금강경 강의" 어의운하 2019

      15 "대종경"

      16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17 "금강반야바라밀경오가해설의"

      18 "금강반야바라밀경"

      19 정산, "금강경해"

      20 전재성, "금강경-번개처럼 자르는 지혜의 완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99

      21 각묵, "금강경 역해" 불광출판사 2001

      22 김도공, "『금강경』의 사상(四相)에 대한 해석방향 연구 : 원불교적 관점에서" 원불교사상연구원 (69) : 285-319, 2016

      23 김방룡, "『금강경』과 원불교 사상-원불교와 불교의 새로운 관계모색을 제안하며-" 원불교사상연구원 0 (0): 1-54, 2014

      24 강경구, "6종 漢譯 ≪金剛經≫에 나타난 의미의 전달과 의미의 생성" 대한중국학회 (37) : 195-21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