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미세먼지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위해성이 알려지면서 미세먼지 발생원 감소,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저감,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에 관한 기술과 정책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5701
2021
Korean
학술저널
91-9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기 중 미세먼지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위해성이 알려지면서 미세먼지 발생원 감소,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저감,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에 관한 기술과 정책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
대기 중 미세먼지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위해성이 알려지면서 미세먼지 발생원 감소,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저감,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에 관한 기술과 정책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은 실내공기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련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 왔다. 식물의 오염물질 저감 매커니즘 과정이 구명되어 왔으며 특히, 미세먼지는 식물의 기공에 의해 흡수되거나 잎 표면에 흡착, 양성의 입자가 식물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에 의해 저감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의 미세머지 저감 원리를 바탕으로 농촌진흥청에서는 실내외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해 다양한 식물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챔버를 활용하여 식물별 저감 잠재력을 평가하고 DB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내 수직정원 시스템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실, 도서관, 지하철 역사 등 다중이용 공간에서 미세먼지 농도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식물 배치와 바이오필터시스템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실외에서 보행자의 미세먼지 영향을 줄이기 위한 가로 녹지대의 식재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과 전산유체역학을 통해 효과 예측을 진행 중이다. 식물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는 공기청정기 등의 기기 이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나, 공기질 개선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저감, 온습도 조절, 경관 향상, 심리적 안정 등의 식물에 의한 긍정적 영향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공조시스템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식물 활용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Active LP-DOAS를 이용한 서울 성북구 지역의 NO₃ 농도 관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