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erlant은 1940년 이전까지만 하여도 소설가로서, 특히 여성을 지독하게 멸시한 작품들을 쓴것으로만 알려졌으나, 1942년 LaReine Morte를 내놓으므로써 결코 여성의 자세를 허무러트린 작가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25864
1971
French
051
학술저널
573-588(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Montherlant은 1940년 이전까지만 하여도 소설가로서, 특히 여성을 지독하게 멸시한 작품들을 쓴것으로만 알려졌으나, 1942년 LaReine Morte를 내놓으므로써 결코 여성의 자세를 허무러트린 작가가 ...
Montherlant은 1940년 이전까지만 하여도 소설가로서, 특히 여성을 지독하게 멸시한 작품들을 쓴것으로만 알려졌으나, 1942년 LaReine Morte를 내놓으므로써 결코 여성의 자세를 허무러트린 작가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오히려 여성들을 남성들보다 더욱 고귀한 모습으로 승화시킴은 놀라운 일이다.
이작품중에 나오는 가장 年老한 王인 Ferrante의 인물 연구는 다른 작중인물 연구 내지는 Montherlant의 극작품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男주인공들은 아직 세속의 때가 묻지 않은 순결한 여주인공 이라든가 혹은 어린이들을 희생시키는 비극을 가져온다. 그리고 그 희생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거나 聖化되는데, Ferrante의 경우에서는 그 희생의 가치성마저 의문을 품게 되는 것이다.
결국 그것은 Ferrante라는 年老한 인간과 年少한 인간들의 대결이다. 즉 늙음과 젊음의 대결이다. Ferrante는 이처럼 자신의 무기력함을 결코 겉으로 나타내지 않으려고 한다. 자신의 무기력을 감추기라도 하듯 그는 자기의 아들(Pedro)의 보잘 것 없이 평범한 성격을 극도로 배격하여(In?s를 남몰래 사랑 했다는 죄명) 그를 투옥케 한다. 평범함과 저속함을 증오했던 그의 저의에는 어쩌면, 한편으로는 절음에 대한 질투의식도 있으나 스스로의 성격을 자기 아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데에서 자신에 대한 혐오의식이 있다.
아들의 태도를 비난한 그에게서 특기할만한 사실, 그리고 자기의 혈연을 이세상에서 영원히 끊어 버리려 했던 태도가 그것이다. 결국 그는 자기자신속에 내재하는 이율배반적인 성격 때문에 그의 호소력이 더욱 독자에게 강하게 오는 것이 아닐까. 강한 것 같으나 약하고 다정하면서도 거칠고 악을 규탄하는 듯 하지만 결국 악을 행함에 있어서 주저하지 않았던 자기 모순 속에서 고통하는 인물이다.
그가 범한 일이 무엇인지를 의식했으나 결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였는가를 몰랐던데에 그의 비극이 살아있는 것이다. 그러한 Ferrante의 자기 모순적인 비극은 바로 우리들 스스로의 모습이 아닐까? 우리가 범하는 일들이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결과를 가져 오는지 분별할 수 없는 데에 현대인의 비극이 있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開化期의 敎科用 圖書에 나타난 外來語 表記 實態에 關한 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