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제거된 위선종의 장기 추적관찰 및 재발예측인자 = Long-term Outcome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Gastric Adenoma and Factors Related to Recurr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5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known as a method of local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or gastric adenoma. It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useful method due to its minimal invasiveness, safety and satisfactor...

      Background/Aim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has been known as a method of local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or gastric adenoma. It has been widely accepted as a useful method due to its minimal invasiveness, safety and satisfactory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recurrence after EMR. Methods: Three hundred twenty adenomas in 297 patients were treated by EMR from January, 1991 until July 2003. Among those, 197 lesions in 184 patients that could have been followed-up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5.0 (1∼89) months. Of the 197 lesions, there were 35 recurrences (17.7%). The recurrence rate was higher in lesions associated with severe mucosal atrophy and intestinal metaplasia in surrounding mucosa (p=0.035). Other facto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the presence of intestinal metaplasia and severe atrophic background mucosa were related to the recurrence of gastric adenoma after EM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은 안전성과 최소 침습성, 그리고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로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치료로써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시술 후의 경과에 대한 장기 추적관찰 및 재발의...

      목적: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은 안전성과 최소 침습성, 그리고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로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치료로써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시술 후의 경과에 대한 장기 추적관찰 및 재발의 예측인자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국소 위점막병변으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위선종으로 확진된 184명의 197병변에 대해 추적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재발의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 1일부터 2003년 7월 31일까지 충남대학병원에서 위선종으로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을 시행 받은 297명의 환자, 320예의 병변 중 추적 가능했던 184명의 197병변에 대해 의무기록지, 내시경 기록지 및 조직검사 결과지를 기초로 하여 재발의 예측인자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추적기간은 1~89개월로 평균 15.0개월이었고 중앙추적기간은 9개월이었다. 184명의 197병변 중 35병변에서 재발하여 17.7%의 재발률을 보였고, 내시경 절제 후 재발하였을 때까지의 기간은 1~79개월로 평균 12.3개월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인자를 보면 성별, 나이, 위치, 크기, 형태, 완전절제유무, 이형성의 정도에 따라 재발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변 점막이 장상피화생을 포함한 심한 점막의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가 118병변 중 27예(22.9%)로 중등도 이하의 위축성 위염이 있는 79병변 중 8예(10.1%)보다 재발률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5). 결론: 장상피화생을 포함한 주변점막의 심한 만성 위축성 위염이 있는 경우에 재발이 잘 되므로 추적 내시경 검사시 보다 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편평형 위선종의 내시경적 치료 및 경과관찰" 13 : 57-60, 1993

      2 "조기위암과 위선종에 대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의 임상병리학적 검토" 16 : 15-24, 1996

      3 "조기위암 및 위 편평선종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장기 추적 관찰에 관한 연구" 21 : 891-897, 2000

      4 "위선종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추적관찰" 18 : 658-664, 1998

      5 "위선종 환자의 장기간 추적관찰" 11 : 251-260, 1991

      6 "내시경적으로 절제된 위용종 126예의 임상적 및 조직학적 고찰" 15 : 40-45, 1995

      7 "survey of 23 centres in Germany" 8-11, endoscopy1983

      8 "The significance of polypectomy in the stomach" 15 : 144-147, 1983

      9 "The Sydney system:histologic division" 6 : 209-222, 1999

      10 "Study of the gastric mucosal background in patients with gastric polyps" 36 : 39-42, 1990

      1 "편평형 위선종의 내시경적 치료 및 경과관찰" 13 : 57-60, 1993

      2 "조기위암과 위선종에 대한 내시경적 점막절제술의 임상병리학적 검토" 16 : 15-24, 1996

      3 "조기위암 및 위 편평선종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장기 추적 관찰에 관한 연구" 21 : 891-897, 2000

      4 "위선종의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및 추적관찰" 18 : 658-664, 1998

      5 "위선종 환자의 장기간 추적관찰" 11 : 251-260, 1991

      6 "내시경적으로 절제된 위용종 126예의 임상적 및 조직학적 고찰" 15 : 40-45, 1995

      7 "survey of 23 centres in Germany" 8-11, endoscopy1983

      8 "The significance of polypectomy in the stomach" 15 : 144-147, 1983

      9 "The Sydney system:histologic division" 6 : 209-222, 1999

      10 "Study of the gastric mucosal background in patients with gastric polyps" 36 : 39-42, 1990

      11 "P53 expression in precancerous gastric lesions: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Ab 1801 monoclonal antibody on adenomatous and hyperplastic gastric polyps" 88 : 1916-1919, 1993

      12 "Molecular pathogenesis of adenoma and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46 : 834-841, 1996

      13 "Microsatellite alterations in adenoma and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55 : 1933-1936, 1995

      14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epithelial gastric polyps" 90 : 2152-2159, 1995

      15 "Long-term follow-up study on gastric adenoma and its relation to gastric protruded carcinoma" 50 : 2496-2503, 1982

      16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and malignant change in gastric polyps" 38 : 754-764, 1985

      17 "Histological typing of gastric and esophageal tumor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tumors" 1977

      18 "Histological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gastric adenomatous polyps and gastric cancer" 11 : 1149-1115, 1958

      19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neoplasia:correlations with histological gastritis and tumor histology" 93 : 1271-1276, 1998

      20 "Gastric polyps and their relationship to carcinoma of the stomach:review of literature and report of 65 cases" 28 : 160-175, 1957

      21 "Gastric polyps" 148 : 1088-1094, 1952

      22 "Gastric polyps" 14 : 280-286, 1950

      23 "Gastric dysplasia:the Pavoda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24 : 167-176, 2000

      24 "Gastric carcinoma and pernicious anaemia in long- term endoscopic follow-up of subjects with gastric polyps" 19 : 535-540, 1984

      25 "Gastric adenomas:intestinal-type and gastric-type adenomas differ in the risk of adenocarcinoma and presence of background mucosal pathology" 26 : 1276-1285, 2002

      26 "Epidemiologic,clinicopathologic,and economic aspects of gastroscopic screening of patients with pernicious anemia" 21 : 21-30, 1986

      27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rcinoma:results of a retrospective analysis of 308 cases" 26 : 352-358, 1994

      28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following locally injecting hypertonic saline-epinephrine" 23 : 399-409, 1988

      29 "Endoscopic and histological reversibility of gastric adenoma after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34 : 1999

      30 "Diagnosis of borderline adenomas of the stomach b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28 : 425-430, 1996

      31 "Development of gastric dysplasia in pernicious anaemia:a clinical and endoscopic follow up study of 80 patients" 31 : 1105-1109, 1990

      32 "Benign gastric polyps" 42 : 339-344, 1955

      33 "Benign epithelial polyps of the stomach" 20 : 303-329, 1985

      34 "Adenomatous polyps of the stomach.A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of 153 case" 15 : 456-457, 1962

      35 "Adenocarcinoma in a small gastric polyp.A case report" 15 : 468-471, 19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