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09076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표현예술치료학과 미술심리치료학 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615.85156 판사항(20)
서울
The Effects of Group Art Psychotherapy Based on 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on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xpression for University Students
90 장: 삽도; 26cm.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선희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2. 인구통계학적 기본정보--3. 한국형 자아정체감 척도--4. 대인관계 변화 척도(RCS)--5. wkrlvygusvudwjd cjreh(ABAS)
참고문헌: p.66-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이 대학생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39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1명, 통제집단에서 8명이 제외되어 최종적으로 30명의 데이터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에 15명, 통제집단에 15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2015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주 2회 총 16회기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4단계의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연구 대상자들은 매 회기 스스로 자유롭게 주제를 선택하거나 이전의 작업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기결정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자신을 탐색하고 표현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대인관계 검사(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자기표현 검사(Assertive Behavior Assessment Scale: AB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후 대학생의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반면, 통제집단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 점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및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대학생들이 정상적인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성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논의하는 바이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 집단미술심리치료, 대학생,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자기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