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무용 학술연구의 구조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678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 2017. 8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alysis on academic research on newly arts dance

      • 형태사항

        v, 84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안병주
        참고문헌: p. 77-82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068892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mentioning Newly Arts Dance, there are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used at the same time. The confusion of its definitions’ vague usage is not only problematic in academic fields but also shown in several activity groups and artistic activit...

      When mentioning Newly Arts Dance, there are various conceptual definitions used at the same time. The confusion of its definitions’ vague usage is not only problematic in academic fields but also shown in several activity groups and artistic activities. (Byeong-Ju, Ahn, 2016). Yet, scholars interpret the concept in accordance with historic events and as its interpretation varies the confusion regarding the starting point of Newly Arts Dance is under way.
      So forth, I studied prior studies and contractual features implied in their contents, based on which I tried to narrow the gap among diversified understandings. In regards to differences of fundamental understandings shown in studies on Newly Arts Dance, it is a crucial work to set a clear conceptual defini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ollow-up studies. In other words, as the point where we encounter the 90th anniversary of Newly Arts Dance, the importance of its study, in terms of its starting point, concept, dancers, lies a technical cause to state its historical meaning in a boundary of Korean Modern Dance, not in a rank of individual dancers.
      On the basis of the different views on setting Newly Arts Dance’s starting point, concept or dancers, I tried to study its differences of fundamental understanding.
      I believe that analyzing prior studies not only helps us to have re-awareness of contemporary dance but also suggests a direction for a future-oriented development of Newly Arts Dance’s entity and Korean Dance. Furthermore, such studies will be a significant opportunity for them to get away from a simple series of historical facts and establish their identities with a new status.
      Newly Arts Dance does not reside at one period but it follows the times as pursued. It is necessary to obviously acknowledge that the 2nd generation of Newly Arts Dance after Korea’s Liberation has contributed to its traditional transformation and reacceptance by conducting numerous creative researches and experiments.
      In order to get rid of remaining lack of understanding in Newly Arts Dance, I think that the 2nd generations’ further follow-up studies on analyzing exquisite pieces with overall artistic values in terms of their genres and periods are essenti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연구절차 및 방법
      • 4. 연구의 제한점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연구절차 및 방법
      • 4. 연구의 제한점
      • 5. 선행연구의 분석
      • Ⅱ. 이론적 배경
      • 1. 신무용의 이해
      • 1) 신무용의 태동과 발전
      • 2) 신무용 시대사적 배경
      • 2. 신무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의 중요성
      •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 1. 신무용에 대한 기록 실태
      • 1) 신무용 기점에 관한 기록 실태
      • 2) 신무용 개념에 관한 기록 실태
      • 3) 신무용가에 관한 기록 실태
      • 2. 신무용에 대한 연구의 내용별 빈도분석
      • 1) 신무용 기점에 대한 내용 빈도분석
      • 2) 신무용 개념에 대한 내용 빈도분석
      • 3) 신무용가에 대한 내용 빈도분석
      • 3. 신무용에 대한 내용의 질적 분석
      • 1) 신무용 기점에 대한 연구의 내용
      • 2) 신무용 개념에 대한 연구의 내용
      • 4. 신무용에 대한 내용의 인용과 해석
      • 1) 신무용 기점에 관한 내용의 인용과 해석
      • 2) 신무용 개념에 관한 내용의 인용과 해석
      • Ⅳ. 신무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구조적 특성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